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화학/용액의 농도1344

3.5 N H2SO4 용액 50 mL를 1.5 N H2SO4 용액으로 묽힘 3.5 N H2SO4 용액 50 mL를 1.5 N H2SO4 용액으로 묽힘 3.5 N H2SO4 용액 50 mL를 1.5 N H2SO4 용액으로 만들고자할 때, 증류수를 얼마(mL)만큼 첨가해야 하는가? --------------------------------------------------- NV = N’V’ ( 참고 https://ywpop.tistory.com/2859 ) (3.5 N) (50 mL) = (1.5 N) (? mL) ? = (3.5) (50) / (1.5) = 116.7 mL 3.5 N H2SO4 용액 50 mL에다가 최종 용액의 부피가 116.7 mL 되도록 증류수를 가하면, 1.5 N H2SO4 용액 116.7 mL가 됩니다. [참고] 116.7 mL – 50 mL = 66.7 .. 2021. 5. 25.
95% 알코올 용액으로 70% 알코올 용액 500 mL 만들기 95% 알코올 용액으로 70% 알코올 용액 500 mL 만들기 95% alcohol 용액을 70% alcohol 500 mL를 만들려면 95% alcohol 몇 mL가 필요한가? --------------------------------------------------- 알코올 용액의 농도는 % v/v이므로, ( 참고 https://ywpop.tistory.com/9034 ) 70% 알코올 용액 500 mL 제조에 필요한 95% 알코올 용액의 부피를 묽힘법칙으로 계산하면, MV = M’V’ ( 참고 https://ywpop.tistory.com/2859 ) (95%) (? mL) = (70%) (500 mL) ? = 70 × 500 / 95 = 368.42 mL 답: 368 mL [참고] 95% 알코올 .. 2021. 5. 23.
분자량 111를 갖는 물질이 11.1 g이 500 mL에 분자량 111를 갖는 물질이 11.1 g이 500 mL에 분자량 111를 갖는 물질이 11.1 g이 500 mL에 녹아있다면 몇 N인가? --------------------------------------------------- 이 문제 출제자는 노르말농도의 개념을 모르는 사람이다. 물질의 분자식이 주어져야 당량수를 구할 수 있고, 당량수를 알아야 노르말농도를 계산할 수 있기 때문이다. 11.1 g / (111 g/mol) = 0.1 mol 용질 ( 참고 https://ywpop.tistory.com/7738 ) 만약 용질의 당량수 = 1 eq/mol 이면, 0.1 mol × (1 eq/mol) = 0.1 eq 용질 ( 참고: 당량수 https://ywpop.tistory.com/4105 ) 노르말농도.. 2021. 5. 23.
0.5 N 옥살산 용액 50 mL 만들기 ★ 0.5 N 옥살산 용액 50 mL 만들기 0.5 N H2C2O4 용액 50 mL 만들기 --------------------------------------------------- 0.5 N 옥살산 용액 50 mL에 들어있는 옥살산의 eq수를 계산하면, (0.5 eq/L) (50/1000 L) = 0.025 eq H2C2O4 ( 참고 https://ywpop.tistory.com/7787 ) H2C2O4(aq) ⇌ 2H^+(aq) + C2O4^2-(aq) 옥살산의 당량수 = 2 eq/mol 이므로, ( 참고: 당량수 https://ywpop.tistory.com/4105 ) 0.025 eq H2C2O4의 몰수를 계산하면, 0.025 eq / (2 eq/mol) = 0.0125 mol H2C2O4 H2C2.. 2021. 5. 22.
1 m CaCl2 용액 만들기 1 m CaCl2 용액 만들기 --------------------------------------------------- 1 m 용액 = 1 mol 용질 / 1 kg 용매 ( 참고 https://ywpop.tistory.com/2667 ) CaCl2의 몰질량 = 110.98 g/mol 이므로, 110.98 g CaCl2 + 1 kg 증류수, 또는 11.098 g CaCl2 + 100 g 증류수, 이렇게 혼합하면 1 m(몰랄농도) CaCl2 용액이 됩니다. 2021. 5. 21.
0.85% NaCl 용액 2 L 제조에 필요한 용질의 질량(g) 0.85% NaCl 용액 2 L 제조에 필요한 용질의 질량(g) 17 0.85 2 8.5 5 --------------------------------------------------- 0.85% 묽은 용액이므로, 용액의 밀도 = 1 g/mL 라 가정하면, 2 L = 2000 mL ≒ 2000 g 용액 용질 질량 = 용액 질량 × (%농도/100) ( 참고 https://ywpop.tistory.com/9293 ) 2000 g × (0.85/100) = 17 g 답: 17 g 2021. 5. 19.
HCl 250. mL excess Cd STP H2 gas 4.20 L HCl 250. mL excess Cd STP H2 gas 4.20 L 카드뮴은 HCl과 반응하여 염화 카드뮴과 수소 기체를 발생한다. Cadmium reacts with HCl to produce hydrogen gas and cadmium chloride. What is the molarity(M) of the HCl solution if 250. mL of the HCl solution reacts with excess cadmium to produce 4.20 L of H2 gas measured at STP? Cd(s) + 2HCl(aq) → H2(g) + CdCl2(aq) --------------------------------------------------- 4.20 L × (1 mol .. 2021. 5. 18.
NaOH 용액의 표준화. 0.50 g KHP + ? N NaOH 4.87 mL NaOH 용액의 표준화. 0.50 g KHP + ? N NaOH 4.87 mL KHP의 몰질량 = 204.22 g/mol 이므로, 0.50 g KHP의 몰수를 계산하면, 0.50 g / (204.22 g/mol) = 0.00244834 mol ( 참고 https://ywpop.tistory.com/7738 ) KHP(aq) + NaOH(aq) → KNaP(aq) + H2O(l) KHP : NaOH = 1 : 1 반응하므로, ( KHP reacts with NaOH in 1:1 molar ratio ) 반응한 NaOH 몰수 = KHP 몰수 = 0.00244834 mol NaOH의 당량수 = 1 eq/mol 이므로, ( 참고: 당량수 https://ywpop.tistory.com/4105 ) (0.00244.. 2021. 5. 18.
[농도 환산] 499 ppm을 g/kg으로 환산 [농도 환산] 499 ppm을 g/kg으로 환산 --------------------------------------------------- 499 ppm이 수용액의 농도라면, 499 ppm = (499 g 용질 / 10^6 g 용액) × 10^6 ( 참고: ppm 농도 https://ywpop.tistory.com/2657 ) (10^6 g) (1 kg / 1000 g) = 1000 kg 용액 499 g 용질 / 1000 kg 용액 = 0.499 g/kg 답: 0.499 g/kg 2021. 5. 18.
[답답한] 30.0 wt% NaOH 용액 200 mL 만들기 [답답한] 30.0 wt% NaOH 용액 200 mL 만들기 (NaOH 몰질량 = 40.0 g/mol) --------------------------------------------------- 만들고자 하는 용액의 농도가 wt%, 즉 질량 백분율 농도이다. 근데, 그 조건이 1) 용질이 고체 시약이다. 2) 용액의 단위가 질량이 아닌, 부피이다. ---> 정확한 농도의 용액을 만들 수 없다. ---> 이 용액을 만들라고 하는 사람은 질량 백분율 농도의 개념을 모르는 사람이다. ( 참고 https://ywpop.tistory.com/5711 ) 30.0 wt% = (30.0 g NaOH / 100 g 용액) × 100 ( 참고 https://ywpop.tistory.com/2656 ) 30.0 wt% .. 2021. 5. 1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