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일반화학5684

커피컵 열량계를 사용한 ΔH 측정. HCl + NaOH 중화열 측정 ★ 커피컵 열량계를 사용한 ΔH 측정. HCl + NaOH 중화열 측정 - 일정 압력 열계량법 (Constant Pressure Calorimetry) 커피컵 열량계에 1.0 M HCl 50 mL와 1.0 M NaOH 50 mL를 넣고 충분히 혼합했더니, 온도계의 눈금이 21.0℃에서 27.5℃로 상승하였다. 계의 반응 엔탈피 변화를 결정하시오. (단, 용액의 밀도 ≈ 물의 밀도) --------------------------------------------------- ▶ 참고: 산-염기 중화반응과 중화열 [ https://ywpop.tistory.com/3925 ] > 중화열: 산-염기 중화반응 결과, “H2O(l) 1 mol이 생성될 때 발생하는 열” ▶ 참고: 열용량과 비열 [ https://ywp.. 2014. 11. 30.
3가지 화학 결합 ★ 3가지 화학 결합 --------------------------------------------------- ▶ 참고: 제8장 화학 결합의 기본 개념. 목차 [ https://ywpop.tistory.com/15249 ] --------------------------------------------------- 화학 결합의 종류에는 크게 3가지가 있다. There are three main types of bonds: ionic, covalent and metallic. [1] 이온 결합 ▶ 양이온과 음이온의 정전기적 인력에 의한 결합 ▶ 전자를 잃어 양이온이 되기 쉬운 금속 원소와 전자를 얻어 음이온이 되기 쉬운 비금속 원소 사이에서 형성 예) NaCl, KBr, AgNO3 ( 관련 글 https:.. 2014. 11. 29.
이론적 수득량. 0.500 g Ni(CH3CO2)2 + HCO2H ★ 이론적 수득량. 0.500 g Ni(CH3CO2)2 + HCO2H 0.500 g의 아세트산니켈과 과량의 폼산의 반응에서 생성된 폼산니켈(II)의 이론적 수득량은 얼마인가? Ni(CH3CO2)2 + 2HCO2H → Ni(HCO2)2 + 2CH3CO2H --------------------------------------------------- 폼산이 과량 존재하므로, 아세트산니켈이 한계시약. ---> 폼산니켈(II)의 수득량은 아세트산니켈의 양에 의해 결정. ( 참고: 한계 반응물 https://ywpop.tistory.com/3318 ) > 아세트산니켈의 몰질량 = 176.7814 g/mol > 폼산니켈(II)의 몰질량 = 148.7283 g/mol 반응한 아세트산니켈의 몰수 = 0.500 g / (17.. 2014. 11. 28.
수소의 생산(hydrogen production)과 이용 ★ 수소의 생산(hydrogen production)과 이용       ▶ 소량 생산(실험실): 금속 + 강산(묽은 수용액)   Zn(s) + 2H^+(aq) → Zn^2+(aq) + H2(g)( 참고 https://ywpop.tistory.com/9735 )         ▶ 대량 생산(공장)   ① 1100℃에서, 메탄과 물(수증기)의 반응       ② 1000℃ 이상에서, 탄소와 물(수증기)의 반응       ※ 물을 전기 분해시켜 수소를 생산할 수는 있으나, 에너지 측면에서 비효율적.( 참고: 물의 전기분해 https://ywpop.tistory.com/5654 )         ▶ 수소의 이용   1) 암모니아 합성N.. 2014. 11. 28.
산소의 득실과 산화-환원 반응의 동시성 산소의 득실과 산화-환원 반응의 동시성 산소의 환원. C + O2 → CO2 --------------------------------------------------- ▶ 참고: 산화-환원과 전자의 이동 그리고 산화수 > 최초 산화의 정의: 산소와 반응하여 산화물을 형성하는 반응 > 최초 환원의 정의: 금속 산화물인 금속 광석을 가열할 때 발생하는 질량 손실 [ https://ywpop.tistory.com/6525 ] --------------------------------------------------- ‘산화’란 용어는, 처음에는, 에서와 같이 “산소와 반응하여 산화물을 형성하는 반응”을 의미했다. 이 때문에 역사적으로 최초의 산화제는 산소 기체(O2)이다. ‘환원’이란 용어는, 처음에는, 금.. 2014. 11. 25.
Lewis dot structure of H3PO4 (phosphoric acid) Lewis dot structure of H3PO4 (phosphoric acid) 인산의 루이스 구조식 --------------------------------------------------- ▶ 인산의 중심 원자인 인(P)의 원자가 전자 수는 (8개가 아닌) 10개. > P는 3주기 원소이기 때문에, 비어있는 d 오비탈을 갖고 있다. ---> 화합물이 될 때 d 오비탈을 결합에 사용할 수 있다. ( 참고 https://ywpop.tistory.com/41 ) ( 참고: 옥텟 규칙의 예외 https://ywpop.tistory.com/8577 ) [ 참고 https://ywpop.tistory.com/3752 ] PF5의 루이스 구조 [참고] 인산염. phosphate > 인산의 수소 이온이 금속 .. 2014. 11. 20.
깁스 자유 에너지(Gibbs free energy), ΔG = ΔH – TΔS 식의 부호 깁스 자유 에너지(Gibbs free energy), ΔG = ΔH – TΔS 식의 부호 반응 온도에 따른 ΔG의 부호. 반응 온도와 ΔG의 부호 반응 온도에 따른 자발적 반응. 반응 온도와 자발적 반응 --------------------------------------------------- ΔH와 ΔS의 부호, 그리고 온도에 따라 ΔG의 부호가 위와 같이 결정된다는 것이 쉽게 이해되지 않으면, 다음과 같이 적당한 수치를 ΔG = ΔH – TΔS 식에 대입시켜 계산해보면 어떨까요? ① ΔH = +500 ② ΔH = –500 ③ ΔS = +2 ④ ΔS = –2 ⑤ T = 100 (저온) ⑥ T = 1000 (고온) [I]의 경우, ②③에 해당되므로 ②③⑤ 조합이면, ΔG = (–500) – [100 ×.. 2014. 11. 19.
알칼리 금속 화합물의 불꽃 반응, Flame test 알칼리 금속 화합물의 불꽃 반응. Flame test   ---------------------------------------------------▶ 참고: 제7장 원소의 주기적 성질. 목차[ https://ywpop.tistory.com/15245 ]---------------------------------------------------   알칼리 금속 화합물은 무색이지만,불꽃에 넣으면 특정 색깔(파장)의 빛을 방출한다.       불꽃 속에서, 높은 온도로 인해,ⓛ 알칼리 금속 이온은 기체 상태의 금속 원자로 환원된다.예를 들어, 물에 적신 면봉으로 NaCl을 찍어서 불꽃에 넣으면,Na^+(aq) → Na(g)   ② 금속 원자의 원자가전자는 열에너지를 흡수하여바닥 상태에서 들뜬 상태로 전이.. 2014. 11. 18.
반응열과 반응엔탈피의 관계 반응열과 반응엔탈피의 관계 --------------------------------------------------- 이 관계식은 엔탈피 함수를 정의하는 과정에서 유도된 식으로, ( 참고 https://ywpop.tistory.com/4672 ) 이 관계식이 뜻하는 것은 “엔탈피 변화(ΔH)는 일정 압력에서, 계가 얻은 열 또는 잃은 열과 같다.” 라는 것이다. 위 설명에서 “얻은 열 또는 잃은 열”에 주목하자. 즉, 이 관계식은 ‘엔탈피의 본질’에 대한 설명이다. 엔탈피(ΔH) ≡ 반응열(q) 실제 열역학 문제를 풀이할 때는 반응열과 반응엔탈피는 절대값은 같고, 부호는 반대이다. [ 관련 글 https://ywpop.tistory.com/6398 ] 열화학 반응식 [키워드] 반응 엔탈피와 반응열 기준.. 2014. 11. 18.
왜 전자 껍질(오비탈)의 이름이 K L M N일까요? 왜 전자 껍질(오비탈)의 이름이 K L M N일까요?Why orbits are named K L M N?       전자 껍질의 이름은Charles G. Barkla (찰스 글러버 바클라) 라는분광학자(spectroscopist)가 붙였습니다.     ( 참고 https://en.wikipedia.org/wiki/Charles_Glover_Barkla )       그는 원자에다 높은 에너지를 가진 전자를 충돌시켜,즉 원자와 전자를 충돌시켜이때 “원자에서 방출되는 X-선”을 연구하였습니다.       연구 결과, 원자에서 두 종류의 X-선이 방출되는 것을 발견하고는,보다 높은 에너지의 X-선을 A,보다 낮은 에너지의 X-선을 B 라 이름을 붙였습니다.       그러다가 나중에 이름을 각각 .. 2014. 11. 1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