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일반화학/[09장] 분자의 기하구조와 결합 이론212

CCl2F2의 결합각도. bond angle for CCl2F2 CCl2F2의 결합각도. bond angle for CCl2F2 Dichlorodifluoromethane의 결합각도 --------------------------------------------------- 중심 원자의 전자 영역 = 4 이므로, 기본적인 결합각도는 109.5도. ( 참고 https://ywpop.tistory.com/2571 ) 원자의 크기가 더 큰 Cl은 F보다 더 많은 공간을 차지한다. ( 경차 뒷좌석에 강호동과 유재석이 앉아있다고 상상해봐라. 누가 더 많은 공간을 차지하고 있을까? ) 이 때문에 Cl을 포함하는 결합각도는 109.5도보다 약간 더 크고, F를 포함하는 결합각도는 109.5도보다 약간 더 작다. ∠Cl-C-Cl = 111.1° ∠F-C-F = 106.5° ∠F-C.. 2020. 3. 4.
프로필렌(CH3-CH=CH2)에 존재하는 화학 결합 방식 프로필렌(CH3–CH=CH2)에 존재하는 화학 결합 방식 프로필렌(CH3–CH=CH2)에 존재하는 화학 결합 방식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 sp3-1s 2) sp2-sp2 3) sp3-sp3 4) 2p-2p --------------------------------------------------- 1) sp3-1s > 혼성 sp3 탄소와 비혼성 1s 수소의 시그마 결합 > 3개의 C–H 시그마 결합 2) sp2-sp2 > 혼성 sp2 탄소와 혼성 sp2 탄소의 시그마 결합 > C=C 이중 결합 중 1개의 C–C 시그마 결합 3) sp3-sp3 > 존재하지 않음 4) 2p-2p > 비혼성 2p 탄소와 비혼성 2p 탄소의 파이 결합 ( 참고 https://ywpop.tistory.com/2938 ) >.. 2020. 2. 11.
XeF2의 루이스 구조 XeF2의 루이스 구조Lewis structure for XeF2       ▶ 참고: 중심원자의 전자영역과 혼성오비탈[ https://ywpop.tistory.com/11542 ]                   ▶ Xe의 전자 영역 = 5> sp3d 혼성 ---> Trigonal bipyramidal 기하구조   > 주위원자, X = 2> 비공유전자쌍, E = 3---> AX2E3 이므로, 분자의 기하구조는 Linear   > XeF2는 무극성(nonpolar) 분자이다.         [Molecular geometry]> Electron domain geometry: Trigonal bipyramidal> Molecular geometry: Linear         [ .. 2020. 2. 1.
분자 오비탈 이론. σ MO와 π MO 분자 오비탈 이론. σ MO와 π MO --------------------------------------------------- ▶ 참고: 제9장 분자의 기하학적 구조와 결합 이론. 목차 [ https://ywpop.tistory.com/15257 ] --------------------------------------------------- ▶ VBT 에서 > head-to-head overlap ---> σ bond > side-by-side overlap ---> π bond ( 참고 https://ywpop.tistory.com/4805 ) ▶ MOT 에서도 > head-to-head combination ---> σ MO > side-by-side combination ---> π MO ( .. 2019. 12. 31.
Li2 분자의 MO 도표. MO diagram of Li2 Li2 분자의 MO 도표. MO diagram of Li2 Li2, Li2^+, Li2^- 안정도 비교 --------------------------------------------------- ▶ 참고: 제9장 분자의 기하학적 구조와 결합 이론. 목차 [ https://ywpop.tistory.com/15257 ] --------------------------------------------------- ▶ Li 원자의 전자배치: 1s^2 2s^1 ▶ Li2 분자의 전자배치: σ_1s^2 σ*_1s^2 σ_2s^2 > 결합성 MO에 있는 전자 수 = 4개 > 반결합성 MO에 있는 전자 수 = 2개 [그림] MO of Li2. ▶ Li2 분자의 결합 차수 = (4 – 2) / 2 = 1 ( 참고: 결.. 2019. 12. 30.
MO of NO. NO의 분자오비탈 MO of NO. NO의 분자오비탈NO molecular orbital diagram       [참고] 분자 오비탈 이론. MOT[ https://ywpop.tistory.com/6048 ]         [그림] NO의 분자오비탈. 홀전자 1개가 존재하므로, NO는 상자기성 물질.     [주목1] 전기음성도가 더 큰 산소 원자(O)의 AO의 에너지 준위가질소 원자(N)의 AO의 에너지 준위보다 조금 더 낮다.( 이유는 대학교 일반화학 수준에서 설명 불가능. 대학교 1학년까지는 그냥 외울 것. )( 양자역학(의 수식)으로 설명 가능. 즉, 양자역학을 마스터한 다음에 이유를 따질 것. )     [주목2] NO의 루이스 구조에서 홀전자는 N에 위치하고 있는데,( 참고: NO의 루이스 구조 ht.. 2019. 6. 28.
I3^- 루이스 구조 그리기. I3^- Lewis structure I3^- 루이스 구조 그리기. I3^- Lewis structureLewis structure of triiodide ion   ---------------------------------------------------▶ 루이스 구조 그리기 설명 [ https://ywpop.tistory.com/6302 ]▶ 루이스 구조 그리기 예제 [ https://ywpop.tistory.com/2541 ]---------------------------------------------------   [1단계] 각 원자의 원자가전자 수의 합을 구한다.3(I) + 1 = 3(7) + 1 = 22       [2단계] 화합물의 기본 골격 구조를 그린다.I – I – I22 – 2(2) = 18       [3단.. 2019. 6. 17.
중심원자의 혼성오비탈 결정 ★ 중심원자의 혼성오비탈 결정 중심원자의 전자영역과 혼성오비탈 How do I identify the hybridization of central atom of any molecule? Determine the hybridization of the central atom for each molecule. --------------------------------------------------- ▶ 참고: 혼성오비탈 [ https://ywpop.tistory.com/2639 ] --------------------------------------------------- 분자의 루이스 구조를 보고, 또는 VSEPR로 각 원자의 전자 영역(= 입체수)이 몇 개인지 구분할 수(세릴 수) 있다면, If you ca.. 2019. 6. 15.
SCl2 루이스 구조 그리기 SCl2 루이스 구조 그리기 Lewis structure of SCl2, sulfur dichloride SeCl2 루이스 구조 그리기 Lewis structure of SeCl2, selenium dichloride --------------------------------------------------- ▶ 참고: 루이스 구조 그리기 [ https://ywpop.tistory.com/6302 ] [ https://ywpop.tistory.com/2541 ] --------------------------------------------------- [1단계] 각 원자의 원자가 전자 수의 합을 구한다. (S) + 2(Cl) = (6) + 2(7) = 20 [2단계] 화합물의 기본 골격 구조를 그린다... 2019. 6. 15.
분자의 모양. 삼각 평면, 사면체, 팔면체 분자의 모양. 삼각 평면, 사면체, 팔면체 다음의 분자의 모양을 스케치하고 그 구조에서 다양한 결합각을 제시하시오. a) 삼각 평면 b) 사면체 c) 팔면체 --------------------------------------------------- a) 삼각 평면, trigonal planar: 결합각 120도 b) 사면체, tetrahedral: 결합각 109.5도 c) 팔면체, octahedral: 결합각 90도 [ 관련 글 https://ywpop.tistory.com/2571 ] 원자가 껍질 전자쌍 반발 모형 [키워드] VSEPR 기준문서 2019. 6. 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