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일반화학/[08장] 화학결합의 기본 개념179 화학결합의 원리. 원자가 원소 화합물이 되는 이유 화학결합의 원리. 원자가 원소 화합물이 되는 이유 비활성기체족을 제외한,지구상에 존재하는 모든 원자들은 불안정하다.이 때문에원자는 자연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존재할 수 없다. > 원자가 불안정한 이유는원자의 원자가전자 수가 8개가 아니기 때문이라고,과학자들은 설명한다. > 비활성기체족이 안정한 이유는이들의 원자가전자 수가 8개이기 때문이라고,과학자들은 설명한다.( 참고: 옥텟 규칙 https://ywpop.tistory.com/2634 ) 이 때문에, 즉 원자는 불안정하기 때문에,원자들은 같은 원자, 또는다른 원자와 화학결합을 통해,안정한 원소 또는 화합물을 형성한다. [그림] CH4의 전자 점 구조식. 화합물이 되었을 때,C는 자신과 가장 가까운 비활성.. 2019. 5. 4. TiCl4는 공유결합 화합물 TiCl4는 공유결합 화합물TiCl4 ionic or covalent. TiCl4 ionic or molecular Why does TiCl4 have covalent bonds? ---------------------------------------------------▶ 참고: 공유결합 화합물과 이온결합 화합물의 구별[ https://ywpop.tistory.com/8857 ]--------------------------------------------------- TiCl4는 [금속 + 비금속] 화합물이기 때문에,이온결합 화합물이라 생각(착각)할 수 있지만,Ti(1.54)와 Cl(3.16)의 전기음성도 차이(1.62)가 작기 때문에,TiCl4는 공유결합 화합물에 해당된다.( 참고:.. 2019. 3. 25. AlCl3는 공유결합 화합물. AlCl3 ionic or covalent AlCl3는 공유결합 화합물. AlCl3 ionic or covalent파얀스 규칙. 파잔스 규칙. Fajans' rules Al^3+는 크기가 작고, 전하가 높기 때문에,전하 밀도(charge density)가 높다.( Al^3+와 같은 양이온을 “hard cation”이라 부른다. ) Cl^-는 크기가 크고, 전하가 낮기 때문에, 전하 밀도가 낮다.( Cl^-와 같은 음이온을 “soft anion”이라 부른다. ) 이 때문에 Cl^-는 Al^3+와 같은 hard cation에 의해 쉽게 분극(편극)된다.그 결과 Al–Cl 결합은 공유 결합 성질을 갖게 된다. [ 관련 글 https://ywpop.tistory.com/8370 ] Fajans' rules [그림.. 2019. 3. 6. 물 분자. H2O molecule 물 분자. H2O molecule ▶ 전기음성도의 크기: O(3.44) > H(2.20) ( 참고: 전기음성도 https://ywpop.tistory.com/2567 ) ▶ H2O의 쌍극자 모멘트 (dipole moment) > H2O는 영구 쌍극자를 가진 극성 분자이다. > The dipole moment of water is 1.85 D. ( 참고: 분자의 극성 https://ywpop.tistory.com/2581 ) [그림] dipole moment of the water (H2O). μ = 1.85 D [그림] 케쿨레 구조식. Kekule structure. ( 참고 https://ywpop.tistory.com/13100 ) [그림] Lewis structure of H2O. ( 참고 http.. 2019. 1. 26. NO2 루이스 구조 그리기. 이산화질소 NO2 루이스 구조 그리기. 이산화질소 Lewis structure of NO2. nitrogen dioxide --------------------------------------------------- ▶ 참고: 루이스 구조 그리기 [ https://ywpop.tistory.com/6302 ] --------------------------------------------------- [1단계] 각 원자의 원자가전자 수의 합을 구한다. NO2 = (5) + 2(6) = 17 [2단계] 화합물의 기본 골격 구조를 그린다. ( 단일결합 수만큼 전자 수를 뺀다. ) O–N–O 17 – 2(2) = 13 [3단계] 주위 원자들이 팔전자 규칙에 맞도록 전자를 한 쌍씩 그린다. ( 무조건, 그냥 주위 원자 주변.. 2018. 12. 12. H3O^+의 루이스 구조와 형식 전하 H3O^+의 루이스 구조와 형식 전하 [그림] 하이드로늄 이온의 루이스 구조. Lewis structure of hydronium ion.> 공유 전자쌍(= 결합 선) 수: 3개> 비공유 전자쌍 수: 1개 형식전하 = 원자가전자수 – 비결합전자수 – (결합전자수/2)( 참고 https://ywpop.tistory.com/2544 ) > O의 형식 전하 = 6 – 2 – 3 = +1> H의 형식 전하 = 1 – 0 – 1 = 0 [그림] H3O^+의 기하 구조. 삼각피라미드(삼각뿔, trigonal pyramidal).( 참고: 하이드로늄 이온의 기하 구조 https://ywpop.tistory.com/6161 ) ( 참고.. 2018. 11. 26. 단일결합과 다중결합의 평균 결합 길이 단일결합과 다중결합의 평균 결합 길이 ▶ 결합 수가 증가할수록 (단일 결합 → 다중 결합), 평균 결합 길이는 감소.※ 참고: 결합 수가 증가할수록, 평균 결합 에너지는 증가.( 참고: 결합 엔탈피 https://ywpop.tistory.com/2558 ) ▶ 다중결합일수록, 결합 길이는 감소, 결합 에너지는 증가. [Table] Average Bond Energies (kJ/mol) and Bond Lengths (pm) [ 관련 글 https://ywpop.tistory.com/19622 ] A원자와 B 원자의 결합 길이▶ (이론적) 두 원자간 결합 길이 = 두 원자 반지름의 합 [ 관련 글 https://.. 2018. 11. 16. SF4 루이스 구조 그리기. SeF4 루이스 구조 그리기 SF4 루이스 구조 그리기. SeF4 루이스 구조 그리기Lewis structure of SF4. Lewis structure of SeF4 [ 블로그스팟 https://ywpop.blogspot.com/2023/11/sf4-sef4.html ] [참고] 루이스 구조 그리기[ https://ywpop.tistory.com/6302 ] [1단계] 각 원자의 원자가전자 수의 합을 구한다.SF4 = (S) + 4(F) = (6) + 4(7) = 34 [2단계] 화합물의 기본 골격 구조를 그린다.( 단일결합 수만큼 전자 수를 뺀다. ) 34 – 4(2) = 26 [3단계] 주위 원자들이 팔전자 규칙에 맞도록 전자를 한 쌍씩 그린다.( 무조건, 그.. 2018. 10. 20. 왜 NH4^+는 양이온이고 BH4^-는 음이온인가? 왜 NH4^+는 양이온이고 BH4^-는 음이온인가? 왜 NH3에 수소가 하나 더 결합된 NH4^+는 양이온이고,왜 BH3에 수소가 하나 더 결합된 BH4^-는 음이온인가? [참고] 배위결합 조건. 배위공유결합 조건[ https://ywpop.tistory.com/6023 ] NH3의 N에는 비공유전자쌍이 있고,BH3의 B에는 비공유전자쌍이 없고 차이 때문입니다.( 대신에 B는 비어있는 p 오비탈이 있습니다. ) 이 때문에NH4^+는 질소의 비공유전자쌍으로 결합하고,( 수소의 빈 오비탈에 질소와 비공유전자쌍이 전자를 제공하는 배위공유결합 ) BH4^-는 수소의 비공유전자쌍으로 결합합니다.( 붕소의 빈 오비탈에 수소의 비공유전자쌍이 전자를 .. 2018. 10. 8. SO2 루이스 구조 그리기 (추가자료) SO2 루이스 구조 그리기 (추가자료) [참고] SO2 루이스 구조 그리기[ https://ywpop.tistory.com/3595 ]에 이어지는 글입니다. 실험으로 증명된 실제 SO2의 구조는공명 구조를 갖는 아래와 같은 구조이지만,형식 전하도 공부할 겸, SO2의 형식 전하를 계산해보니, 1개 산소 원자에 –1, 황 원자에 +1의 형식 전하가 할당된다. 모든 원자들이 0에 가까운 형식 전하를 갖는 구조가 더 안정하고,또한 황은 다음과 같은 경우에 해당되기 때문에, ① 중심 원자가 3주기 이상 원자이고, and,② 형식 전하를 없앨 수 있다면,---> 팔전자(옥텟규칙)를 초과할 수 있다.---> 확장 팔전자 규칙 또는 18 전자 규칙( 참고: SOCl.. 2018. 10. 6. 이전 1 ··· 9 10 11 12 13 14 15 ··· 18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