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일반화학/[04장] 수용액 반응652 PF3의 산화수. PCl3의 산화수. PCl5의 산화수 PF3의 산화수. PCl3의 산화수. PCl5의 산화수 --------------------------------------------------- ▶ 참고: 산화수 구하는 규칙 [ https://ywpop.tistory.com/2719 ] --------------------------------------------------- PF3 에서, F의 산화수 = –1 (넘버 1) 이므로, (P) + 3(F) = 0 (P) + 3(–1) = 0 따라서 P의 산화수 = +3. [참고] PCl3의 산화수 PCl3 에서, Cl의 산화수 = –1 (넘버 1인 F의 동족, 사촌) 이므로, (P) + 3(Cl) = 0 (P) + 3(–1) = 0 따라서 P의 산화수 = +3. [참고] PCl5의 산화수 PCl5 에서.. 2020. 7. 6. redox Cu + AgNO3 → Ag + Cu(NO3)2 redox Cu + AgNO3 → Ag + Cu(NO3)2 다음 균형 맞지 않은 반응식에서 산화되는 원소와 환원되는 원소를 밝히시오. 그리고 산화제와 환원제를 밝히시오. (a) Cu + AgNO3 → Ag + Cu(NO3)2 --------------------------------------------------- ▶ 참고: 질산은 수용액과 구리 금속의 산화-환원 반응 [ https://ywpop.tistory.com/6397 ] --------------------------------------------------- > 산화되는 원소: Cu > 환원되는 원소: Ag > 산화제: AgNO3 > 환원제: Cu 2020. 6. 19. FeO의 산화수 FeO의 산화수 ---------------------------------------------------▶ 참고: 산화수 구하는 규칙[ https://ywpop.tistory.com/2719 ]--------------------------------------------------- FeO 에서,O의 산화수 = –2 (넘버 3) 이므로,(Fe) + (O) = 0(Fe) + (–2) = 0 따라서Fe의 산화수 = +2. [ 관련 글 https://ywpop.tistory.com/22144 ] 산화철의 종류. iron oxides [키워드] FeO의 산화수 기준 2020. 6. 18. 식초 정량분석. 식초 8 g을 100 mL 메스플라스크에 식초 정량분석. 식초 8 g을 100 mL 메스플라스크에식초를 묽히고 일부를 분취해서 적정 시판 식초 8 g을 100 mL 메스플라스크에 옮겨 표선까지 물을 가하고이 용액 25 mL를 취해 0.1 N NaOH(f=1.000) 표준용액으로 적정하였더니20 mL가 소모되었다.식초 중 CH3COOH의 함량을 구하시오.(CH3COOH의 화학식량 60, 식초의 밀도 1.05) [참고] 식초 정량분석[ https://ywpop.tistory.com/7176 ] NV = N’V’ = eq적정한 NaOH의 eq수 = 반응한 CH3COOH의 eq수( 참고 https://ywpop.tistory.com/4689 ) (0.1 N) (1.000) (0.020 L) = 0.002 eq Na.. 2020. 6. 3. redox Fe + CuSO4 → FeSO4 + Cu redox Fe + CuSO4 → FeSO4 + Curedox CuSO4 + Fe → Cu + FeSO4 산화-환원 반응 해석Fe(s) + CuSO4(aq) → FeSO4(aq) + Cu(s) ---------------------------------------------------▶ 참고: 금속의 활동도 계열[ https://ywpop.tistory.com/3195 ]▶ 참고: 산화수 구하는 규칙(rule)[ https://ywpop.tistory.com/2719 ]--------------------------------------------------- ▶ 분자 반응식Fe(s) + CuSO4(aq) → FeSO4(aq) + Cu(s) ▶ 완전 이온 반응식Fe(s) +.. 2020. 5. 11. redox 4P + 5O2 → 2P2O5 redox 4P + 5O2 → 2P2O5 --------------------------------------------------- ▶ 참고: 인의 화학식. 인의 분자식 [ https://ywpop.tistory.com/6743 ] 4P(s) + 5O2(g) → 2P2O5(s) > P is a reducing agent, O2 is an oxidizing agent. ▶ 산화: 4P → 2P2O5 (P의 산화수는 0에서 +5로 증가, P는 산화됨.) ( 4P → 4P^5+ + 20e^- ) ▶ 환원: 5O2 → 2P2O5 (O의 산화수는 0에서 –2로 감소, O2는 환원됨.) ( 10O + 20e^- → 10O^2- ) [키워드] redox P + O2, P4 + O2 [참고] ▶ P4 + 5O2 → .. 2020. 5. 7. 0.01 M NaOH 100 mL 중화에 0.1 N H2SO4 몇 mL 0.01 M NaOH 100 mL 중화에 0.1 N H2SO4 몇 mL 0.01 M NaOH 100 mL를 중화하는데0.1 N H2SO4 몇 mL가 소비되는가? NaOH의 당량수 = 1 eq/mol 이므로,( 참고: 당량수 https://ywpop.tistory.com/4105 ) 0.01 M NaOH = 0.01 N NaOH NV = N’V’ = eq산의 eq수 = 염기의 eq수( 참고 https://ywpop.tistory.com/4689 ) (0.1 N) (? mL) = (0.01 N) (100 mL) ? = (0.01) (100) / (0.1) = 10 mL 답: 10 mL [참고]H2SO4의 당량수 = 2 eq/mol.. 2020. 5. 6. 알짜 Al(NO3)3 + Li2CO3. Al2(CO3)3 침전반응 알짜 Al(NO3)3 + Li2CO3. Al2(CO3)3 침전반응 알짜 Li2CO3 + Al(NO3)3 2Al(NO3)3 + 3Li2CO3 → Al2(CO3)3 + 6LiNO3 3Li2CO3 + 2Al(NO3)3 → 6LiNO3 + Al2(CO3)3 알루미늄 이온과 탄산 이온이 반응하면 물에 녹지 않는 탄산 알루미늄이 생성된다. 이 반응의 알짜 이온 반응식을 써라. --------------------------------------------------- ▶ 참고: 분자반응식 → 알짜이온반응식 [ https://ywpop.tistory.com/2523 ] ▶ 참고: 용해도 지침 [ https://ywpop.tistory.com/2942 ] -----------------------------------.. 2020. 5. 4. 알짜 ZnSO4 + KOH. Zn(OH)2 침전반응 알짜 ZnSO4 + KOH. Zn(OH)2 침전반응알짜 KOH + ZnSO4ZnSO4 + 2KOH → Zn(OH)2 + K2SO42KOH + ZnSO4 → Zn(OH)2 + K2SO4 다음의 1 M 수용액들을 혼합하였을 때 침전이 형성된다면그 반응의 알짜 이온 반응식을 써라.> 황산 아연과 수산화 포타슘 [ 블로그스팟 https://ywpop.blogspot.com/2023/11/znso4-koh-znoh2.html ] [참고] 분자반응식 → 알짜이온반응식[ https://ywpop.tistory.com/2523 ] [참고] 용해도 지침[ https://ywpop.tistory.com/2942 ] 분자 반응식ZnSO4(aq) + 2KOH(aq) → Zn(OH)2(.. 2020. 5. 2. [H^+] = 5.0×10^(-3) mol/L 용액의 pH [H^+] = 5.0×10^(-3) mol/L 용액의 pH [H^+] = 5.0×10^-3 mol/L인 용액의 pH pH = –log[H^+]( 참고 https://ywpop.tistory.com/2706 ) = –log(5.0×10^(-3))= 2.30 답: pH = 2.3 [ 관련 글 https://ywpop.blogspot.com/2024/12/h-5010-6-moll-ph.html ][H^+] = 5.0×10^(-6) mol/L 용액의 pH10. [H+] = 5.0×10-6 mol/L인 용액의 pH는? [키워드] pH의 정의 기준 2020. 4. 28. 이전 1 ··· 36 37 38 39 40 41 42 ··· 66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