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일반화학/[04장] 수용액 반응526

염화은의 산화-환원. AgCl의 산화-환원 염화은의 산화-환원. AgCl의 산화-환원 --------------------------------------------------- 햇빛을 받으면, 햇빛에 노출되면, 2AgCl → 2Ag + Cl2 2AgCl(s) → 2Ag(s) + Cl2(g) > 산화: 2Cl^- → Cl2 + 2e^- > 환원: 2Ag^+ + 2e^- → 2Ag > 전체: 2Ag^+ + 2Cl^ → 2Ag + Cl2 [키워드] redox AgCl 기준문서 2021. 5. 15.
식초와 마그네슘의 화학 반응식 식초와 마그네슘의 화학 반응식 CH3COOH + Mg 반응 --------------------------------------------------- ▶ 참고: 금속과 산의 산화-환원 반응 [ https://ywpop.tistory.com/11598 ] --------------------------------------------------- ▶ 식초 = 6~7% 아세트산 수용액 ( 참고 https://ywpop.tistory.com/12432 ) Mg + 2HCl → MgCl2 + H2 ( 참고 https://ywpop.tistory.com/9658 ) Mg + 2CH3COOH → Mg(CH3COO)2 + H2 Mg(s) + 2CH3COOH(aq) → Mg(CH3COO)2(aq) + H2(g) [키.. 2021. 5. 15.
redox Fe(NO3)2 + Al. redox PbS + H2O2 redox Fe(NO3)2 + Al. redox PbS + H2O2 Which element is oxidized, and which is reduced in the following reactions? 1) 3Fe(NO3)2(aq) + 2Al(s) → 3Fe(s) + 2Al(NO3)3(aq) 2) PbS(s) + 4H2O2(aq) → PbSO4(s) + 4H2O(l) --------------------------------------------------- ▶ 참고: 산화수 규칙 [ https://ywpop.tistory.com/2719 ] 1) 3Fe(NO3)2(aq) + 2Al(s) → 3Fe(s) + 2Al(NO3)3(aq) > Al의 산화수는 0에서 +3으로 증가, Al은 산화됨. > Fe의 .. 2021. 5. 12.
3.000 M HCl 용액 13.87 mL + x mmol NaOH 3.000 M HCl 용액 13.87 mL + x mmol NaOH 3.000 M HCl 용액 13.87 mL는 몇 mmol의 NaOH와 반응할 수 있는가? --------------------------------------------------- HCl + NaOH → NaCl + H2O HCl : NaOH = 1 : 1 계수비(= 몰수비) 이므로, 즉 HCl : NaOH = 1 : 1 반응하므로, HCl의 몰수 = NaOH의 몰수 (3.000 mmol/mL) (13.87 mL) = 41.61 mmol ( 참고 https://ywpop.tistory.com/7787 ) 2021. 5. 6.
2.430 M HCl 25.00 mL + 1.420 M NaOH 2.430 M HCl 25.00 mL + 1.420 M NaOH 2.430 M HCl 용액 25.00 mL를 적정하기 위하여 필요한 1.420 M NaOH 용액의 부피(mL)는 얼마인가? --------------------------------------------------- MV = M’V’ 산의 몰수 = 염기의 몰수 ( 참고 https://ywpop.tistory.com/4689 ) (2.430 M) (25.00 mL) = (1.420 M) (? mL) ? = (2.430) (25.00) / (1.420) = 42.78 mL 답: 42.78 mL [ 관련 예제 https://ywpop.tistory.com/23473 ] 1.420 M NaOH volume(mL) 2.430 M HCl 25.00 m.. 2021. 5. 5.
0.05 g KIO3를 포함한 250 mL 용액의 몰농도 0.05 g KIO3를 포함한 250 mL 용액의 몰농도 KIO3 0.05 g + KI 1 g + 0.5 M H2SO4 5 mL를 250 mL 부피플라스크에 넣고 물을 채우면 요오드 용액의 몰농도는? --------------------------------------------------- KIO3의 몰질량 = 214.00 g/mol 이므로, 0.05 g / (214.00 g/mol) = 0.0002336 mol KIO3 몰농도 = 0.0002336 mol / 0.250 L = 0.0009344 M KIO3 ( 참고 https://ywpop.tistory.com/17697 ) [참고] 비타민 C를 산화시키는 I2는 즉, 반응에 필요한 I2는 IO3^- 이온으로 I^- 이온을 산화시켜 만들기 때문에, 적.. 2021. 5. 4.
MV = M’V’. 0.5 M HCl 20 mL + NaOH 40 mL MV = M’V’. 0.5 M HCl 20 mL + NaOH 40 mL 0.5 M HCl 용액 20 mL에 페놀프탈레인을 넣고 미지농도의 NaOH 용액으로 적정 실험을 수행하였더니 40 mL가 들어갔다. NaOH의 농도는 얼마인가? --------------------------------------------------- MV = M’V’ 산의 mol수 = 염기의 mol수 ( 참고 https://ywpop.tistory.com/4689 ) (0.5 M) (20 mL) = (? M) (40 mL) ? = (0.5) (20) / (40) = 0.25 M 답: 0.25 M 2021. 5. 4.
10^(-4) M HCl 100 cc + 10^(-8) M NaOH 200 cc 혼합 용액의 pH 10^(-4) M HCl 100 cc + 10^(-8) M NaOH 200 cc 혼합 용액의 pH 10^(-4) M HCl 100 mL + 10^(-8) M NaOH 200 mL 혼합 용액의 pH --------------------------------------------------- 10^(-4) M HCl 100 mL에 들어있는 H^+의 몰수를 계산하면, (10^(-4) mol/L) (0.100 L) = 1×10^(-5) mol H^+ 순수한 물(= 중성인 물) 속에 들어있는 OH^-의 몰농도 = 10^(-7) M 이므로, ( 참고 https://ywpop.tistory.com/2706 ) 10^(-8) M NaOH 200 mL에 들어있는 OH^-의 몰수를 무시하면, 이 문제는 10^(-4) M .. 2021. 5. 4.
0.1 M H2SO4 10 mL + 0.05 M NaOH 10 mL 혼합용액의 pH 0.1 M H2SO4 10 mL + 0.05 M NaOH 10 mL 혼합용액의 pH 단, 황산은 100% 이온화된다. --------------------------------------------------- 0.1 M H2SO4 10 mL에 들어있는 H^+의 몰수 = (2) (0.1 mol/L) (10/1000 L) = 0.002 mol H^+ [참고] 2를 곱한 이유 H2SO4는 2가산이므로, 즉 1 mol H2SO4 이온화되면, 2 mol H^+ 생성되기 때문에. H2SO4(aq) → 2H^+(aq) + SO4^2-(aq) 0.05 M NaOH 10 mL에 들어있는 OH^-의 몰수 = (1) (0.05 mol/L) (10/1000 L) = 0.0005 mol OH^- 중화 반응 후 남아있는 H^+.. 2021. 5. 3.
0.1 M HCl 50 mL + 0.1 M NH3 용액의 부피 0.1 M HCl 50 mL + 0.1 M NH3 용액의 부피 0.1 M HCl 용액으로 0.1 M NH3 용액을 적정할 때, 0.1 M HCl 50 mL가 들어갔을 때 반응이 완결됐다면 사용한 0.1 M NH3 용액의 부피는? --------------------------------------------------- 산-염기 반응식 HCl(aq) + NH3(aq) → NH4Cl(aq) ( 참고 https://ywpop.tistory.com/7409 ) HCl : NH3 = 1 : 1 반응하는데, 이때 반응한 농도가 같으므로, 반응한 부피도 같다. 또는 MV = M’V’ ( 참고 https://ywpop.tistory.com/4689 ) (0.1 M) (50 mL) = (0.1 M) (? mL) ? =.. 2021. 5. 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