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공학&기술/위험물기사548

원자량 56 금속 M 1.12 g 실험식 MxOy 산화물 1.60 g 원자량 56 금속 M 1.12 g 실험식 MxOy 산화물 1.60 g 원자량이 56인 금속 M 1.12 g을 산화시켜 실험식이 MxOy인 산화물 1.60 g을 얻었다. x, y는 각각 얼마인가? 원자량이 56인 금속 M 1.12g을 산화시켜 실험식이 MxOy인 산화물 1.60g을 얻었다. x, y는 각각 얼마인가? --------------------------------------------------- 금속 M의 몰수 = 1.12 g / (56 g/mol) = 0.02 mol ( 참고 https://ywpop.tistory.com/7738 ) 산소 원자의 질량 = 1.60 – 1.12 = 0.48 g O 산소 원자의 몰수 = 0.48 g / (16 g/mol) = 0.03 mol 몰수의 가장 작은 정.. 2020. 11. 15.
염기성 물질. C6H5NH2 염기성 물질. C6H5NH2 다음 물질 중 염기성인 것은? 1) C6H5NH2 2) C6H5NO2 3) C6H5OH 4) C6H5COOH --------------------------------------------------- 답: 1) C6H5NH2 NH3는 대표적인 염기이다. ( 참고 https://ywpop.tistory.com/7421 ) 그리고 NH3에서 H가 알킬기로 치환된 아민도 대표적인 염기이다. ( 참고 https://ywpop.tistory.com/10625 ) [ 관련 글 https://ywpop.tistory.com/10230 ] 아민은 루이스 염기 2020. 8. 22.
0.1 M HCl 25.0 mL + 0.1 M NaOH 10.0 mL 혼합 용액의 pH 0.1 M HCl 25.0 mL + 0.1 M NaOH 10.0 mL 혼합 용액의 pH 10.0 mL의 0.1 M NaOH + 25.0 mL의 0.1 M HCl 혼합 용액의 pH 10.0mL 의 0.1M-NaOH 을 25.0mL 의 0.1M-HCl 에 혼합하였을 때 이 혼합 용액의 pH 는 얼마인가? ① 1.37 ② 2.82 ③ 3.37 ④ 4.82 --------------------------------------------------- > HCl의 몰수 = (0.1 mol/L) (25.0/1000 L) = 0.0025 mol > NaOH의 몰수 = (0.1 mol/L) (10.0/1000 L) = 0.001 mol ---> HCl이 더 많다. HCl + NaOH → NaCl + H2O 반응 후, 남.. 2020. 8. 15.
PV는 일정. 1기압 2 L 기체를 4기압으로. 부피는 PV는 일정. 1기압 2 L 기체를 4기압으로. 부피는 1기압에서 2 L의 부피를 차지하는 어떤 이상기체를 온도의 변화 없이 압력을 4기압을 하면 부피는 얼마가 되겠는가? --------------------------------------------------- PV = P’V’ ( 참고 https://ywpop.tistory.com/1977 ) V’ = PV / P’ = (1) (2) / (4) = 0.5 L 답: 0.5 L 2020. 6. 10.
산소 50 wt%, 황 50 wt% 물질의 실험식 산소 50 wt%, 황 50 wt% 물질의 실험식 어떤 물질이 산소 50wt%, 황 50wt%로 구성되어 있다. 이 물질의 실험식은? 어떤 물질이 산소 50Wt%, 황 50Wt% 로 구성되어 있다. 이 물질의 실험식을 옳게 나타낸 것은? ① SO ② SO2 ③ SO3 ④ SO4 --------------------------------------------------- ▶ 참고: 원소분석 [ https://ywpop.tistory.com/64 ] --------------------------------------------------- 시료의 질량 = 100 g 이라 가정하면, 각 성분의 함량(%) = 질량(g) 각 성분의 몰수를 계산하면, O의 몰수 = 50 g / (16 g/mol) = 3.125 .. 2020. 6. 5.
금속 1.0 g을 묽은 황산에 넣었더니 560 mL 수소 발생 금속 1.0 g을 묽은 황산에 넣었더니 560 mL 수소 발생 어떤 금속 1.0 g을 묽은 황산에 넣었더니 표준상태에서 560 mL의 수소가 발생하였다. 이 금속의 원자가는 얼마인가? (단, 금속의 원자량은 40) 어떤 금속 1.0g 을 묽은 황산에 넣었더니 표준상태에서 560 mL의 수소가 발생하였다. 이 금속의 원자가는 얼마인가? (단, 금속의 원자량은 40 으로 가정한다.) ① 1가 ② 2가 ③ 3가 ④ 4가 --------------------------------------------------- xM + 2H^+ → M^y+ + H2 xM(s) + 2H^+(aq) → M^y+(aq) + H2(g) 표준상태 ≒ STP 이면, 0.560 L × (1 mol / 22.4 L) = 0.025 mol .. 2020. 5. 30.
100℃ 포화용액(비중 1.4) 100 mL를 20℃ 포화용액으로 100℃ 포화용액(비중 1.4) 100 mL를 20℃ 포화용액으로 100℃ 포화용액(비중 1.4) 100 mL를 20℃ 포화용액으로 만들려면 몇 g의 물을 가해야 하는가? 단, 100℃ 용해도 180, 20℃ 용해도 100. 다음의 그래프는 어떤 고체물질의 용해도 곡선이다. 100℃ 포화용액(비중 1.4) 100mL 를 20℃ 의 포화 용액으로 만들려면 몇 g 의 물을 더 가해야 하는가? ① 20g ② 40g ③ 60g ④ 80g --------------------------------------------------- ▶ 참고: 고체의 용해도 [ https://ywpop.tistory.com/7320 ] --------------------------------------------------- 10.. 2020. 5. 27.
Al2O3는 양쪽성 산화물 Al2O3는 양쪽성 산화물 다음 중 양쪽성 산화물은? ① Na2O ② Al2O3 ③ P2O5 ④ Cl2O7 --------------------------------------------------- ▶ 참고: 산성 산화물, 염기성 산화물, 양쪽성 산화물 [ https://ywpop.tistory.com/6840 ] --------------------------------------------------- ① Na2O: 염기성 산화물 ② Al2O3: 염기성 또는 양쪽성 산화물 ③ P2O5: 산성 산화물 ④ Cl2O7: 산성 산화물 답: ② Al2O3 [참고] SO2 + H2O → H2SO3 (acid) SO3 + H2O → H2SO4 (acid) P2O5 + 3H2O → 2H3PO4 (acid) [예제.. 2020. 5. 10.
요소 6 g 물에 녹여 1000 L 만든 용액의 27℃ 삼투압 요소 6 g 물에 녹여 1000 L 만든 용액의 27℃ 삼투압 요소 6 g을 물에 녹여 1000 L로 만든 용액의 27℃에서의 삼투압은 약 얼마인가? (단, 요소의 분자량은 60이고, 기체상수는 0.08205 atm•L/mol•K이다.) 요소 6g 을 물에 녹여 1000L 로 만든 용액의 27℃ 에서의 삼투압은 약 몇 atm 인가? (단, 요소의 분자량은 60 이다.) --------------------------------------------------- 6 g / (60 g/mol) = 0.1 mol 요소 ( 참고 https://ywpop.tistory.com/7738 ) 몰농도 = 0.1 mol / 1000 L ( 참고 https://ywpop.tistory.com/3222 ) = 0.0001 .. 2020. 5. 9.
수소 2.24 L가 염소와 완전 반응, 염화수소의 부피(L) 수소 2.24 L가 염소와 완전 반응, 염화수소의 부피(L)     수소 2.24 L가 염소와 완전히 반응했다면표준상태에서 생성한 염화수소의 부피는 몇 L가 되는가?     표준상태를 기준으로 수소 2.24 L가 염소와 완전히 반응했다면생성된 염화수소의 부피는 몇 L인가?     표준상태를 기준으로 수소 2.24L 가 염소와 완전히 반응했다면생성된 염화수소의 부피는 몇 L 인가?① 2.24② 4.48③ 22.4④ 44.8       균형 맞춘 반응식H2(g) + Cl2(g) → 2HCl(g)       H2 : HCl = 1 : 2 계수비(= 몰수비 = 부피비) 이므로,( 참고 https://ywpop.tistory.com/8512 )   즉, HCl의 부피는 H2의 2배이므로,2 × 2.24 .. 2020. 4. 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