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화학12777

130 g NaOH가 들어있는 용액 4 L의 몰농도 130 g NaOH가 들어있는 용액 4 L의 몰농도130 g NaOH 4 L 몰농도       ① 용질 몰질량(M) 계산   NaOH의 몰질량 = (23) + (16) + (1) = 40 g/mol( 참고 https://ywpop.tistory.com/16840 )       ② 용질 몰수(n) 계산   n = W / M= (130 / 40) mol( 참고 https://ywpop.tistory.com/7738 )       ③ 용액 몰농도(M) 계산   몰농도 = 용질 mol수 / 용액 L수( 참고 https://ywpop.tistory.com/3222 )   = (130 / 40) mol / 4 L= 0.8125 mol/L       답: 0.8125 M         [키워드] Na.. 2024. 10. 2.
50 wt% H2O2 용액(d 1.18)의 몰농도 50 wt% H2O2 용액(d 1.18)의 몰농도       > H2O2의 몰질량 = 34.0147 ≒ 34 g/mol       몰농도 = (wt% / 몰질량) × 밀도 × 10( 참고 https://ywpop.tistory.com/4241 )   = (50 / 34) × 1.18 × 10= 17.35 M       답: 17.35 M         [키워드] H2O2 몰농도 기준, 퍼센트농도를 몰농도로 기준 2024. 9. 30.
solution containing equal masses glycerol and water density 1.10 g/mL solution containing equal masses glycerol and water density 1.10 g/mL     A solution containing equal masses of glycerol and water has a density of 1.10 g/mL. Calculate (a) the molality of glycerol, (b) the mole fraction of glycerol, and (c) the molarity of glycerol in the solution.     같은 질량의 글리세롤(C3H8O3)과 물을 포함하는용액의 밀도가 1.10 g/mL이다. 이 용액에서(a) 글리세롤의 몰랄농도,(b) 글리세롤의 몰분율,(c) 글리세롤의 몰농도를 계산하시오.   .. 2024. 9. 23.
50.0 g of ethanol (C2H5OH) in 1000 g H2O 50.0 g of ethanol (C2H5OH) in 1000 g H2O     A solution is made containing 50.0 g of ethanol (C2H5OH)in 1000 g H2O. Calculatea) the mole fraction of C2H5OH,b) the mass percent of C2H5OH,c) the molality of C2H5OH.     물 1000 g에 에탄올(C2H5OH) 50.0 g이 포함된 용액이 있다.다음을 계산하시오.a) C2H5OH의 몰분율b) C2H5OH의 질량 백분율c) C2H5OH의 몰농도       C2H5OH의 몰질량 = 46.068 g/mol 이므로,50.0 g / (46.068 g/mol) = 1.08535 mol C2H5OH(.. 2024. 9. 19.
단풍나무 수액은 물에 설탕이 3.0 wt% 용액 단풍나무 수액은 물에 설탕이 3.0 wt% 용액     단풍나무의 수액은 물에 설탕이 3.0 wt%로녹아 있는 용액으로 간주할 수 있다.설탕이 수용액에서 해리되지 않으며단풍나무는 연간 12갤런의 수액을 생산한다고 할 때,이 부피의 수액에 들어 있는 설탕은 약 몇 g인가?(단, 1갤런은 3.785 L이고, 수액의 밀도는 1.010 g/cm3이다.)   ---------------------------------------------------   답: 약 1376 g[ 해설 https://ywpop.blogspot.com/2024/08/30-wt.html ]       [키워드] 단풍나무 수액 기준, 단풍나무 기준, 단위 환산 기준 2024. 8. 6.
묽힘법칙. 1 M NaCl, 0.5 M KCl, 0.25 M HCl 준비 묽힘법칙. 1 M NaCl, 0.5 M KCl, 0.25 M HCl 준비     1 M NaCl, 0.5 M KCl, 0.25 M HCl이 준비되어 있다.최종 농도 0.1 M NaCl, 0.1 M KCl, 0.1 M HCl혼합수용액 1000 mL를 제조하고자 할 때각각 첨가되어야 할 시약의 부피는 얼마인가?       답: 1 M NaCl 용액 100 mL,0.5 M KCl 200 mL,0.25M HCl 400 mL를 첨가 후물 300 mL를 첨가한다.[ https://ywpop.blogspot.com/2024/06/1-m-nacl-05-m-kcl-025-m-hcl.html ]       [키워드] 묽힘법칙 기준 2024. 6. 26.
light beer contains 4.2% v/v alcohol 16-ounce bottle light beer contains 4.2% v/v alcohol 16-ounce bottle     A common light beer contains 4.2% (v/v) alcohol.What is the volume of alcohol (in ounces and in milliliters)in a 16-ounce bottle of beer?     일반 라이트 비어의 알코올 함량은 4.2% (v/v)이다.16온스 맥주 한 병에 담긴 알코올의 부피(온스와 mL로)를 구하시오.     일반 맥주의 알코올 함량은 4.2% (v/v).16 온스 맥주 한 병에 담긴 알코올의 부피는(온스와 mL로)?   ---------------------------------------------------   답:.. 2024. 6. 12.
1.35 m solution of NaOCl in water mole fraction of NaOCl 1.35 m solution of NaOCl in water mole fraction of NaOClmolality of KBr solution mole fraction KBr 0.245     [1] A 1.35 m solution of NaOCl in water is prepared.What is the mole fraction of the NaOCl?     [2] What is the molality of an aqueous KBr solutionwith a mole fraction of KBr, X, equal to 0.245?   ---------------------------------------------------   [1] 답: 0.0237[ https://ywpop.blogspo.. 2024. 6. 11.
아스피린 합성. 2.5 g 살리실산, 3.7 g 아스피린 수득률 아스피린 합성. 2.5 g 살리실산, 3.7 g 아스피린 수득률     아스피린 합성 실험에서사용한 살리실산이 2.5 g,얻어진 아스피린이 3.7 g일 때,아스피린 수득률은?수득률은 소수점 둘째자리까지 나타낼 것.       [참고] 아스피린 합성. 살리실산 2.5 g + 아세트산무수물 3 mL[ https://ywpop.tistory.com/11397 ]   ---> 이론적 수득량 = 3.2609 g       사용한 살리실산이 2.5 g---> 살리실산이 한계시약이라 가정   얻어진 아스피린이 3.7 g= 실제 수득량       수득률 = (실제 수득량 / 이론적 수득량) × 100( 참고 https://ywpop.tistory.com/61 )   = (3.7 / 3.2609) × 100= .. 2024. 5. 2.
6.0 M 저장 용액으로 0.15 M NaCl 수용액 0.80 L 만들기 6.0 M 저장 용액으로 0.15 M NaCl 수용액 0.80 L 만들기등장 염수       M1V1 = M2V2( 참고 https://ywpop.tistory.com/2859 )   (6.0 M) (? L) = (0.15 M) (0.80 L)   ? = (0.15) (0.80) / (6.0) = 0.02 L       6.0 M 저장 용액 0.02 L에다가최종 용액의 부피가 0.80 L가 되도록 증류수를 가하면,0.15 M NaCl 수용액(등장 염수) 0.80 L가 된다.         [키워드] 등장 염수 기준, 등장 염수 사전 2024. 4. 2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