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화학/용액의 농도1353

2 N H2SO4 용액 1 L에 들어있는 H2SO4의 eq수 2 N H2SO4 용액 1 L에 들어있는 H2SO4의 eq수 2 N H2SO4 용액 1 L에 들어있는 H2SO4의 당량수는 얼마인가? --------------------------------------------------- H2SO4의 당량수는 용액의 농도나 양에 상관없다. H2SO4의 당량수 = 2 eq/mol ( 참고: 당량수 https://ywpop.tistory.com/4105 ) eq수, 이걸 당량수라고 읽기도 하므로, ( 당량과 관련된 용어는 통일되어 있지 않다. ) ( 참고 https://ywpop.tistory.com/5945 ) 2 N H2SO4 용액 1 L에 들어있는 H2SO4의 eq수를 계산하면, (2 eq/L) (1 L) = 2 eq ( 참고 https://ywpop.tistor.. 2022. 9. 27.
0.1 N KOH 용액 100 mL에 들어있는 KOH의 eq수 0.1 N KOH 용액 100 mL에 들어있는 KOH의 eq수 0.1 N KOH 용액 100 mL에 들어있는 KOH의 당량수는 얼마인가? --------------------------------------------------- KOH의 당량수는 용액의 농도나 양에 상관없다. KOH의 당량수 = 1 eq/mol ( 참고: 당량수 https://ywpop.tistory.com/4105 ) eq수, 이걸 당량수라고 읽기도 하므로, ( 당량과 관련된 용어는 통일되어 있지 않다. ) ( 참고 https://ywpop.tistory.com/5945 ) 0.1 N KOH 용액 100 mL에 들어있는 KOH의 eq수를 계산하면, (0.1 eq/L) (0.100 L) = 0.01 eq ( 참고 https://ywpo.. 2022. 9. 27.
1 M H2SO4 용액 1 L에 들어있는 H2SO4의 eq수 1 M H2SO4 용액 1 L에 들어있는 H2SO4의 eq수 1 M H2SO4 용액 1 L에 들어있는 H2SO4의 당량수는 얼마인가? --------------------------------------------------- H2SO4의 당량수는 용액의 농도나 양에 상관없다. H2SO4의 당량수 = 2 eq/mol ( 참고: 당량수 https://ywpop.tistory.com/4105 ) eq수, 이걸 당량수라고 읽기도 하므로, ( 당량과 관련된 용어는 통일되어 있지 않다. ) ( 참고 https://ywpop.tistory.com/5945 ) 1 M H2SO4 용액 1 L에 들어있는 H2SO4의 eq수를 계산하면, (1 mol/L) (1 L) (2 eq/mol) = 2 eq 답: 2 eq 2022. 9. 27.
98% 황산 시약(d 1.84, FW 98)으로 0.5 N H2SO4 용액 500 mL 만들기 98% 황산 시약(d 1.84, FW 98)으로 0.5 N H2SO4 용액 500 mL 만들기 0.5 N H2SO4 용액 500 mL 제조에 필요한 98% 황산 시약의 부피 H2SO4의 당량수 = 2 eq/mol 이므로, ( 참고: 당량수 https://ywpop.tistory.com/4105 ) 0.5 N / 2 = 0.25 M [공식] 용액 제조에 필요한 시약의 부피(mL) = 몰농도 × 부피(L) × 몰질량 / (순도%/100) / 밀도 = 0.25 × 0.500 × 98 / (98/100) / 1.84 = 6.79 mL ※ 이 글은 정답(필요한 시약의 부피) 확인용이며, 자세한 계산 과정/설명은 아래 글을 참고하세요. ( 공식 상세 설명 https://ywpop.tistory.com/17615 ).. 2022. 9. 26.
0.1 N NaOH 용액 100 mL에 들어있는 NaOH의 양 0.1 N NaOH 용액 100 mL에 들어있는 NaOH의 양 NaOH의 몰질량 = 40 g/mol --------------------------------------------------- NaOH의 당량수 = 1 eq/mol 이므로, ( 참고: 당량수 https://ywpop.tistory.com/4105 ) 0.1 N = 0.1 M (0.1 mol/L) (0.100 L) (40 g/mol) = 0.4 g NaOH ( 참고 https://ywpop.tistory.com/7787 ) ( 참고 https://ywpop.tistory.com/7738 ) 2022. 9. 26.
1 M 탄산나트륨 용액 250 mL에 들어있는 탄산나트륨의 양 1 M 탄산나트륨 용액 250 mL에 들어있는 탄산나트륨의 양 몇 N인가? Na2CO3의 몰질량 = 106 g/mol --------------------------------------------------- (1 mol/L) (0.250 L) = 0.250 mol Na2CO3 ( 참고 https://ywpop.tistory.com/7787 ) 0.250 mol × (106 g/mol) = 26.5 g Na2CO3 ( 참고 https://ywpop.tistory.com/7738 ) Na2CO3의 당량수 = 2 eq/mol 이므로, ( 참고: 당량수 https://ywpop.tistory.com/4105 ) ( 참고: Na2CO3의 당량수 https://ywpop.tistory.com/5310 ) 1 M.. 2022. 9. 26.
98% 황산 시약(d 1.84, FW 98)으로 0.01 M H2SO4 용액 200 mL 만들기 98% 황산 시약(d 1.84, FW 98)으로 0.01 M H2SO4 용액 200 mL 만들기 0.01 M H2SO4 용액 200 mL 제조에 필요한 98% 황산 시약의 부피 --------------------------------------------------- [공식] 용액 제조에 필요한 시약의 부피(mL) = 몰농도 × 부피(L) × 몰질량 / (순도%/100) / 밀도 = 0.01 × 0.200 × 98 / (98/100) / 1.84 = 0.11 mL ※ 이 글은 정답(필요한 시약의 부피) 확인용이며, 자세한 계산 과정/설명은 아래 글을 참고하세요. ( 공식 상세 설명 https://ywpop.tistory.com/17615 ) ( 용액 제조 방법 포함. ) [참고] 0.01 M H2SO4.. 2022. 9. 26.
35% 염산 시약(d 1.18, FW 36.5)으로 1 M HCl 용액 2 L 만들기 35% 염산 시약(d 1.18, FW 36.5)으로 1 M HCl 용액 2 L 만들기 1 M HCl 용액 2 L 제조에 필요한 35% 염산 시약의 부피 --------------------------------------------------- [공식] 용액 제조에 필요한 시약의 부피(mL) = 몰농도 × 부피(L) × 몰질량 / (순도%/100) / 밀도 = 1 × 2 × 36.5 / (35/100) / 1.18 = 176.76 mL ※ 이 글은 정답(필요한 시약의 부피) 확인용이며, 자세한 계산 과정/설명은 아래 글을 참고하세요. ( 공식 상세 설명 https://ywpop.tistory.com/8829 ) ( 공식 상세 설명 https://ywpop.tistory.com/15626 ) ( 용액 제조.. 2022. 9. 26.
물 200 g에 비타민이 40 μg 물 200 g에 비타민이 40 μg 물 200 g에 비타민이 40 μg 녹아있다. 몇 ppm의 농도로 녹아있을까? --------------------------------------------------- ppm 농도 = (용질 질량 / 용액 질량) × 10^6 ( 참고 https://ywpop.tistory.com/2657 ) 1 g = 10^6 μg 이므로, 40 μg × (1 g / 10^6 μg) = 40×10^(-6) g 비타민(용질) 물 200 g에 비타민이 40 μg 녹아있다. ---> 과학자의 입장에서, 용매와 용액을 구분 못하는 문과(?)스러운 이 표현은 참~ 받아들이기 난감하다. ( 참고: 용액론 https://ywpop.tistory.com/40 ) 만약, 수용액 200 g에 비타민.. 2022. 9. 26.
물 200 mL에 소금을 2 ppm의 농도로 넣으려면 물 200 mL에 소금을 2 ppm의 농도로 넣으려면 물 200 mL에 소금을 2 ppm의 농도로 넣으려면 얼마의 소금이 필요한가? --------------------------------------------------- 물의 밀도 = 1 g/mL 라 가정하면, 물 200 mL = 200 g ppm 농도 = (용질 질량 / 용액 질량) × 10^6 ( 참고 https://ywpop.tistory.com/2657 ) 2 ppm = x g 소금 / (x g 소금 + 200 g 물) × 10^6 x / (x + 200) = 2 / 10^6 x = (2 / 10^6) (x + 200) = (2 / 10^6)x + (2 / 10^6) (200) (1 – (2 / 10^6))x = (2 / 10^6) (200).. 2022. 9. 2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