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화학/용액의 농도1353 H2O2 시료 2 mL + 0.0196 M KMnO4 27.7 mL 적정 H2O2 시료 2 mL + 0.0196 M KMnO4 27.7 mL 적정 H2O2의 %함량은? --------------------------------------------------- 적정한 MnO4^-의 mol수를 계산하면, (0.0196 mol/L) (27.7/1000 L) = 0.00054292 mol MnO4^- net ionic equation 5H2O2 + 2MnO4^- + 6H^+ → 2Mn^2+ + 5O2 + 8H2O ( 참고 https://ywpop.tistory.com/8703 ) H2O2 : MnO4^- = 5 : 2 계수비(= 몰수비) 이므로, 0.00054292 mol MnO4^-와 반응한 H2O2의 mol수를 계산하면, H2O2 : MnO4^- = 5 : 2 = ? mol :.. 2022. 10. 22. H2O2 시료 2 mL + 0.0196 M KMnO4 27.7 mL 적정 H2O2 시료 2 mL + 0.0196 M KMnO4 27.7 mL 적정 H2O2의 몰농도는? --------------------------------------------------- 적정한 MnO4^-의 mol수를 계산하면, (0.0196 mol/L) (27.7/1000 L) = 0.00054292 mol MnO4^- net ionic equation 5H2O2 + 2MnO4^- + 6H^+ → 2Mn^2+ + 5O2 + 8H2O ( 참고 https://ywpop.tistory.com/8703 ) H2O2 : MnO4^- = 5 : 2 계수비(= 몰수비) 이므로, 0.00054292 mol MnO4^-와 반응한 H2O2의 mol수를 계산하면, H2O2 : MnO4^- = 5 : 2 = ? mol :.. 2022. 10. 22. 23.8% w/w LiCl 용액의 몰분율 23.8% w/w LiCl 용액의 몰분율 --------------------------------------------------- 23.8% w/w LiCl 용액 = (23.8 g LiCl / 100 g 용액) × 100 LiCl의 몰질량 = 42.39 g/mol 이므로, 23.8 g / (42.39 g/mol) = 0.56145 mol LiCl ( 참고: n=W/M https://ywpop.tistory.com/7738 ) 용매의 질량 = 100 - 23.8 = 76.2 g H2O H2O의 몰질량 = 18.02 g/mol 이므로, 76.2 / 18.02 = 4.2286 mol H2O LiCl의 몰분율 = 0.56145 / (0.56145 + 4.2286) = 0.117 ( 참고: 몰분율 https:.. 2022. 10. 22. 차아염소산나트륨 용액(유효염소 4%)으로 100 ppm 소독약 2 L 만들기 차아염소산나트륨 용액(유효염소 4%)으로 100 ppm 소독약 2 L 만들기 차아염소산나트륨 용액(유효염소 4%)으로 100 ppm 소독약을 만들려고 한다. 물은 2 L당 차아염소산나트륨 용액 몇 mL가 필요한가? --------------------------------------------------- (1) 출제자는 질량과 부피의 차이를 모르거나, 무시했다. (2) 출제자는 용액과 용매의 차이를 모르거나, 무시했다. 1 ppm = 1 mg/L 이므로, ( 참고 https://ywpop.tistory.com/5345 ) 100 ppm = 100 mg/L = 0.1 g/L 2 L 용액 속 용질의 질량 = (0.1 g/L) × 2 L = 0.2 g 0.2 g 용질을 포함하는 4% 용액의 질량 = 0.2 .. 2022. 10. 20. 분자량이 96.01 g/mol인 시약으로 200 mg/dL 용액 만들기 분자량이 96.01 g/mol인 시약으로 200 mg/dL 용액 만들기 --------------------------------------------------- (200 mg/dL) (1 g / 1000 mg) (10 dL / 1 L) (1 L / 1000 mL) = (200) (1 / 1000) (10 ) (1 / 1000) = 0.002 g/mL ---> 200 mg/dL 용액 = 0.002 g/mL 용액 0.002 g 시약에다가 최종 용액의 부피가 1 mL 되도록 증류수를 가하면, ---> 200 mg/dL 용액 1 mL ---> 시약이나 용액의 양이 너무 작아서 이렇게 만들기 어렵기 때문에, (0.002 g/mL) (10 mL) = 0.02 g 0.02 g 시약에다가 최종 용액의 부피가 10 .. 2022. 10. 20. 혼합 용액의 pH. pH 3, pH 7 용액을 같은 양 혼합 혼합 용액의 pH. pH 3, pH 7 용액을 같은 양 혼합 --------------------------------------------------- ▶ 참고: 혼합 용액의 pH [ https://ywpop.tistory.com/14450 ] --------------------------------------------------- 같은 양, 예를 들어, 각각 1 L씩 혼합한다면, > pH = –log[H^+] = 3 ---> [H^+] = 10^(-3) M > pH = –log[H^+] = 7 ---> [H^+] = 10^(-7) M 수소 이온의 몰수를 계산하면, > (10^(-3) mol/L) × 1 L = 10^(-3) mol > (10^(-7) mol/L) × 1 L = 10^(-7) mol.. 2022. 10. 13. 1.0×10^(-3) M OH^- 용액의 pH 1.0×10^(-3) M OH^- 용액의 pH --------------------------------------------------- ▶ 참고: pH의 정의 [ https://ywpop.tistory.com/2706 ] --------------------------------------------------- pOH = –log[OH^-] = –log(1.0×10^(-3)) = 3.00 pH = 14.00 – 3.00 = 11.00 2022. 10. 13. 90 g C12H24O12 was dissolved in water to make 1 L solution 90 g C12H24O12 was dissolved in water to make 1 L solution C12H24O12 (90 g) was dissolved in water to make 1 L solution. How’s the molar concentration? --------------------------------------------------- > molar concentration = molarity = 몰농도(M) > molality = 몰랄농도(m) ---> molal = 몰랄, 이렇게 구분하자. ( 참고 https://ywpop.tistory.com/2667 ) C12H24O12의 몰질량 = 12(12) + 24(1) + 12(16) = 360 g/mol ( 참고 https://.. 2022. 10. 13. 공기 중 질소의 몰분율이 0.781일 때 질소의 ppm 농도 공기 중 질소의 몰분율이 0.781일 때 질소의 ppm 농도 공기 중 질소의 몰분율은 0.781이다. 공기의 평균 몰질량이 28.96 g/mol이면, 공기 중 질소 농도는 몇 ppm인가? --------------------------------------------------- ※ 기체 혼합물(용액, 기용체)의 ppm 농도와 고체 혼합물(용액, 고용체), 액체 혼합물(용액, 수용액)의 ppm 농도는 계산 방법이 다르다. ---> 기용체는 용질과 용액의 ‘mol비’로 계산하고, ---> 고용체, 수용액은 용질과 용액의 ‘질량비’로 계산한다. 기체 ppm = (기체 용질의 mol수 / 기체 용액의 mol수) × 10^6 ---> 기체 용질의 mol수 = 네온의 몰수 ---> 기체 용액의 mol수 = 공기의.. 2022. 10. 11. mol fraction of Ne in the air is 2.6×10^(-5) mol fraction of Ne in the air is 2.6×10^(-5) The mole fraction of neon in the air is about 2.6×10^(-5). If the average molar mass of air is 28.96 g/mol, what is the concentration of neon in air in ppm? --------------------------------------------------- ※ 기체 혼합물(용액, 기용체)의 ppm 농도와 고체 혼합물(용액, 고용체), 액체 혼합물(용액, 수용액)의 ppm 농도는 계산 방법이 다르다. ---> 기용체는 용질과 용액의 ‘mol비’로 계산하고, ---> 고용체, 수용액은 용질과 용액의 ‘질량비’로 계.. 2022. 10. 11. 이전 1 ··· 36 37 38 39 40 41 42 ··· 136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