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화학/용액의 농도1353

93.00% w/w 시약 (d 1.084) 3.00 mL 속 순수한 용질의 mol수 93.00% w/w 시약 (d 1.084) 3.00 mL 속 순수한 용질의 mol수 용질은 아세트산무수물 (FW 102.09) --------------------------------------------------- 93.00% w/w 용액 = (93.00 g 용질 / 100 g 용액) × 100 ( 참고 https://ywpop.tistory.com/2656 ) 93.00 g / (102.09 g/mol) = 0.91096 mol 용질 ( 참고 https://ywpop.tistory.com/7738 ) 100 g / (1.084 g/mL) = 92.251 mL 용액 93.00 g 용질 / 100 g 용액 = 0.91096 mol 용질 / 92.251 mL 용액 (0.91096 mol / 92.251.. 2022. 10. 4.
95% 황산 시약(d 1.8361, FW 98.08)으로 0.5 N H2SO4 용액 200 mL 만들기 95% 황산 시약(d 1.8361, FW 98.08)으로 0.5 N H2SO4 용액 200 mL 만들기 0.5 N H2SO4 용액 200 mL 제조에 필요한 95% 황산 시약의 부피는? --------------------------------------------------- [공식] 용액 제조에 필요한 시약의 부피(mL) = 노르말농도 × 부피(L) / 당량수 × 몰질량 / (순도%/100) / 밀도 = 0.5 × 0.200 / 2 × 98.08 / (95/100) / 1.8361 = 2.8115 mL ※ 이 글은 정답(필요한 시약의 부피) 확인용이며, 자세한 계산 과정/설명은 아래 글을 참고하세요. ( 공식 상세 설명 https://ywpop.tistory.com/17523 ) ( 용액 제조 방법 .. 2022. 10. 3.
1 g aluminum nitrate 1.00 L water 0.9982 g cm-3 0.9989 1 g aluminum nitrate 1.00 L water 0.9982 g cm-3 0.9989 20.0℃에서 물 1.00 L에 질산 알루미늄이 1 g 녹아 있다. 이 온도에서 물의 밀도는 0.9982 g/mL이고, 질산 알루미늄을 녹인 용액의 밀도는 0.9989 g/mL이다. 이 용액의 몰농도와 몰랄농도를 계산하시오. 1 g aluminum nitrate is dissolved in 1.00 L water at 20.0 °C. The density of water at this temperature is 0.9982 g cm-3 and the density of the resulting solution is 0.9989 g сm-3. Calculate the molarity and molality o.. 2022. 9. 30.
95.4 g sodium nitrate 753 g water 350. g solution 95.4 g sodium nitrate 753 g water 350. g solution 질산 소듐 95.4 g을 물 753 g에 용해시켜 용액을 만들었다. a) 이 용액은 질산 소듐을 몇 % 함유하고 있는가? b) 이 용액 350. g을 비커에 옮겨 놓았다면, 비커 안에 들어있는 질산 소듐은 몇 g인가? c) 질산 소듐 50.0 g을 얻기 위해서는 이 용액 몇 g이 필요한가? A solution is prepared by dissolving 95.4 g of sodium nitrate in 753 g of water. a) What is the percent sodium nitrate in the solution? b) If 350. g of the solution are poured into a be.. 2022. 9. 29.
37% HCl 시약으로 5 M HCl 용액 1 L 만들기 37% HCl 시약으로 5 M HCl 용액 1 L 만들기 단, 37% HCl 시약의 밀도 = 1.19 g/mL --------------------------------------------------- [공식] 용액 제조에 필요한 시약의 부피(mL) = 몰농도 × 부피(L) × 몰질량 / (순도%/100) / 밀도 = 5 × 1 × 36.46 / (37/100) / 1.19 = 414.04 mL ※ 이 글은 정답(필요한 시약의 부피) 확인용이며, 자세한 계산 과정/설명은 아래 글을 참고하세요. ( 공식 상세 설명 https://ywpop.tistory.com/8829 ) ( 공식 상세 설명 https://ywpop.tistory.com/15626 ) ( 용액 제조 방법 포함. ) [키워드] 37% 염산.. 2022. 9. 28.
3 M NaOH 용액 1 L 만들기 3 M NaOH 용액 1 L 만들기 단, NaOH 시약의 순도는 99% --------------------------------------------------- [공식] 용액 제조에 필요한 NaOH 시약의 질량(g) = 몰농도 × 부피(L) × 몰질량 / (순도/100) = 3 × 1 × 40.00 / (99/100) = 121.2121 g ※ 시약의 순도가 주어지지 않았다면, (순도/100) 생략. ※ 이 글은 정답(필요한 시약의 질량) 확인용이며, 자세한 계산 과정/설명은 아래 글을 참고하세요. ( 공식 상세 설명 https://ywpop.tistory.com/17504 ) ( 용액 제조 방법 포함. ) [키워드] NaOH 몰농도 기준문서 2022. 9. 28.
98% 황산 시약(d 1.84, FW 98)으로 0.1 N H2SO4 용액 100 mL 만들기 98% 황산 시약(d 1.84, FW 98)으로 0.1 N H2SO4 용액 100 mL 만들기 0.1 N H2SO4 용액 100 mL 제조에 필요한 98% 황산 시약의 부피 --------------------------------------------------- H2SO4의 당량수 = 2 eq/mol 이므로, ( 참고: 당량수 https://ywpop.tistory.com/4105 ) 0.1 N / 2 = 0.05 M [공식] 용액 제조에 필요한 시약의 부피(mL) = 몰농도 × 부피(L) × 몰질량 / (순도%/100) / 밀도 = 0.05 × 0.100 × 98 / (98/100) / 1.84 = 0.27 mL ※ 이 글은 정답(필요한 시약의 부피) 확인용이며, 자세한 계산 과정/설명은 아래 글을.. 2022. 9. 27.
0.1 N NaOH 용액 500 mL에 들어있는 NaOH의 양 0.1 N NaOH 용액 500 mL에 들어있는 NaOH의 양 NaOH의 몰질량 = 40 g/mol --------------------------------------------------- NaOH의 당량수 = 1 eq/mol 이므로, ( 참고: 당량수 https://ywpop.tistory.com/4105 ) 0.1 N = 0.1 M (0.1 mol/L) (0.500 L) (40 g/mol) = 2 g NaOH ( 참고 https://ywpop.tistory.com/7787 ) ( 참고 https://ywpop.tistory.com/7738 ) 2022. 9. 27.
35% H2O2로 3% H2O2 500 mL 만들기 35% H2O2로 3% H2O2 500 mL 만들기 3% 과산화수소 500 mL 제조에 필요한 35% 과산화수소의 부피 --------------------------------------------------- ▶ 구글 검색해서 찾은 밀도 자료 > 35% H2O2의 밀도 = 1.1326 g/mL > 3% H2O2의 밀도 = 1.0095 g/mL CVD = cvd ( 참고 https://ywpop.tistory.com/5711 ) (35%) (? mL) (1.1326 g/mL) = (3%) (500 mL) (1.0095 g/mL) ? = [(3) (500) (1.0095)] / [(35) (1.1326)] = 38.2 mL 답: 38.2 mL 2022. 9. 27.
0.5 M 탄산나트륨 용액 500 mL에 들어있는 탄산나트륨의 양 0.5 M 탄산나트륨 용액 500 mL에 들어있는 탄산나트륨의 양 이 용액은 몇 N인가? Na2CO3의 몰질량 = 106 g/mol --------------------------------------------------- (0.5 mol/L) (0.500 L) = 0.25 mol Na2CO3 ( 참고 https://ywpop.tistory.com/7787 ) 0.25 mol × (106 g/mol) = 26.5 g Na2CO3 ( 참고 https://ywpop.tistory.com/7738 ) Na2CO3의 당량수 = 2 eq/mol 이므로, ( 참고: 당량수 https://ywpop.tistory.com/4105 ) ( 참고: Na2CO3의 당량수 https://ywpop.tistory.com/53.. 2022. 9. 2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