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화학/열역학140

계의 내부에너지 변화. ΔE = q + w 계의 내부에너지 변화. ΔE = q + w 515 J의 열이 기체에 가해져 그 결과 218 J의 일을 하였다면, 계의 에너지 변화는 얼마인가? --------------------------------------------------- ΔE = q + w ( 설명 https://ywpop.tistory.com/7219 ) = (+515 J) + (-218 J) = +297 J 답: ΔE = +297 J [키워드] 내부에너지변화 기준문서, 내부에너지 기준문서 2017. 5. 31.
내부에너지. 0.905 atm 일정압력에서 지름 40.0 cm의 움직이는 피스톤 내부에너지. 0.905 atm 일정압력에서 지름 40.0 cm의 움직이는 피스톤 0.905 atm의 일정 압력 하에서 지름 40.0 cm의 움직이는 피스톤이 장착된 실린더 용기 내에서 화학 반응이 일어났다. 이 반응으로 피스톤의 높이가 65.0 cm로 떨어졌다. (실린더의 부피, V = πr^2h, 1 atm•L = 101.325 J) 반응 동안 행해진 일, w는 몇 J인가? At a constant pressure of 0.905 atm, a chemical reaction takes place in a cylindrical container with a movable piston having a diameter of 40.0 cm. During the reaction, the height of the.. 2017. 5. 29.
아세틸렌(C2H2)의 반응엔탈피 아세틸렌(C2H2)의 반응엔탈피 주어진 열화학 반응식을 참고하여, 흑연과 수소를 반응시켜 아세틸렌(C2H2)을 합성하는 반응의 반응엔탈피를 구하시오. (1) C(흑연) + O2(g) → CO2(g) ... ΔH1 = -393 kJ (2) H2(g) + 1/2 O2(g) → H2O(l) ... ΔH2 = -285 kJ (3) 2C2H2(g) + 5O2(g) → 4CO2(g) + 2H2O(l) ... ΔH3 = -2598 kJ ----------------------------------------- 아세틸렌(C2H2) 합성 반응식 2C(흑연) + H2(g) → C2H2(g) 이제 주어진 반응식들을 모두 더했을 때, 합성 반응식과 같도록 재배치하면 된다. 이때 각 반응식에 계수를 곱하거나 나눌 수도 있다.(.. 2017. 5. 10.
내부에너지 변화. 50 kcal의 열량을 흡수하여 4270 kgf*m의 일 내부에너지 변화. 50 kcal의 열량을 흡수하여 4270 kgf*m의 일 어느 기체가 50 kcal의 열량을 흡수하여 4270 kgf*m의 일을 했다면 기체 내부에너지의 변화는 얼마인가? --------------------------------------------------- 1 kgf*m = 0.0023438456 kcal 4270 kgf*m × (0.0023438456 kcal / 1 kgf*m) = 10 kcal ΔE = q + w = (+50 kcal) + (-10 kcal) = +40 kcal 답: +40 kcal 2017. 4. 16.
헤스의 법칙. C(s) + H2O(g) → CO(g) + H2(g) 반응열(ΔH) 헤스의 법칙. C(s) + H2O(g) → CO(g) + H2(g) 반응열(ΔH) 다음 열화학 반응식을 이용하여 C(s) + H2O(g) → CO(g) + H2(g)의 반응열(ΔH)을 구하시오. 1) C(s) + O2(g) → CO2(g) ... ΔH1 = -80.2 kcal 2) 2H2(g) + O2(g) → 2H2O(g) ... ΔH2 = -107.4 kcal 3) 2CO(g) + O2(g) → 2CO2(g) ... ΔH3 = -126.8 kcal --------------------------------------------------- [방법] 주어진 반응식들을 모두 더했을 때, 반응열을 구하고자하는 반응식에 나와 있는 반응물/생성물 제외하고, 주어진 반응식들의 모든 화학종들이 소거되도록 주어진 .. 2016. 12. 18.
열용량과 비열. 10.0℃ 물과 50.0℃ 물의 혼합 열용량과 비열. 10.0℃ 물과 50.0℃ 물의 혼합 10.0℃, 50.0 g의 물이 50.0℃, 10.0 g의 물과 섞였을 때 최종 온도는? 단, 계에 의해 잃은 열은 없다고 가정한다. ----------------------------------------- q = C • m • Δt ( 설명 http://ywpop.tistory.com/2897 ) 찬 물이 얻은(+) 열 = 따뜻한 물이 잃은(-) 열 최종 온도를 t라 두면, +(1)(50.0)(t-10.0) = -(1)(10.0)(t-50.0) +50.0t –500. = -10.0t +500. 60.0t = 1000. t = 1000. / 60.0 = 16.7 답: 16.7℃ 2016. 12. 14.
atm*L를 J로 환산. atm*L를 cal로 환산 atm*L를 J로 환산. atm*L를 cal로 환산 외부 압력이 1 atm으로 일정한 상태에서, 1 mol 기체의 부피가 10 L에서 20 L로 팽창하였다. 이때 기체가 한 일은 몇 J인가? 몇 cal인가? ----------------------------------------- W = -P_ext • (V_f – V_i) = –(1 atm)(20 L – 10 L) = –10 atm•L 기체상수, R = 8.314 J/mol•K = 0.08206 atm•L/mol•K ⇨ 8.314 J = 0.08206 atm•L –10 atm•L * (8.314 J / 0.08206 atm•L) = –10 * (8.314 / 0.08206) = –1013.16 J 1 cal = 4.184 J –1013.16 J * (.. 2016. 12. 7.
생성엔탈피로 반응엔탈피 계산. CO(g) + O2(g) 생성엔탈피로 반응엔탈피 계산. CO(g) + O2(g) standard enthalpy of formation and heat(enthalpy) of reaction 298 K에서 CO와 CO2의 생성열이 각각 -111 kJ/mol과 -384 kJ/mol일 때, CO의 연소열은? --------------------------------------------------- ▶ 표준생성엔탈피로 표준반응엔탈피 계산 설명 https://ywpop.tistory.com/3431 2CO(g) + O2(g) → 2CO2(g) ΔHrxn = [생성물들의 ΔHf° 합] – [반응물들의 ΔHf° 합] = [2(-384)] - [2(-111) + (0)] = -546 kJ 답: -546 kJ [키워드] 2CO + O2 → .. 2016. 12. 2.
열역학 제1법칙. w = P•ΔV 대신 w = –P•ΔV ★ 열역학 제1법칙. w = P•ΔV 대신 w = –P•ΔV 화학적 일에 (–)부호를 붙여 사용하는 이유 --------------------------------------------------- ▶ 참고: 화학적 일. 압력-부피 일. PV-Work [ https://ywpop.tistory.com/5281 ] --------------------------------------------------- ① 화학적 일(w)의 정의 화학적 일은 외부 압력(P)에 반하여 부피(V)가 팽창할 때 하는 일이다. w = P•ΔV ( ΔV = 나중 부피 – 처음 부피 ) ② 계가 일을 하면, 계의 내부 에너지(ΔE)는 감소한다. ΔE = q + w 즉, 계는 일을 하는 과정에서 일의 형태로 내부 에너지를 잃는다. ( .. 2016. 11. 29.
헤스의 법칙. 반응엔탈피 계산. C2H4 + H2 → C2H6 헤스의 법칙. 반응엔탈피 계산. C2H4 + H2 → C2H6 다음 반응은 에텐에 수소를 첨가하는 수소첨가반응이다. 이 반응의 엔탈피 변화를 계산하라. C2H4(g) + H2(g) → C2H6(g), ΔH=? ① C2H4(g) + 3O2(g) → 2CO2(g) + 2H2O(l), ΔH = -1401 kJ ② C2H6(g) + 3.5O2(g) → 2CO2(g) + 3H2O(l), ΔH = -1550 kJ ③ H2(g) + 0.5O2(g) → H2O(l), ΔH = -286 kJ --------------------------------------------------- ▶ 계산 상세 설명 https://ywpop.tistory.com/3686 ① C2H4(g) + 3O2(g) → 2CO2(g) + 2H2O.. 2016. 11. 2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