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일반화학6241

옥텟 규칙의 예외 (P, S, Cl) 옥텟 규칙의 예외. P, S, Cl       [참고] 옥텟 규칙[ https://ywpop.tistory.com/2634 ]       ▶ 바닥상태에 있을 경우,각 원자의 원자가전자의 전자배치(최외각전자의 전자배치)           ▶ 황(S)을 예로 들면,     ---> SO2 분자에서,S는 10개 전자를 갖고 있다.( 참고: SO2의 루이스 구조 https://ywpop.tistory.com/3595 )         ---> SF6 분자에서,S는 12개 전자를 갖고 있다.( 참고: SF6의 혼성 오비탈 https://ywpop.tistory.com/7476 )         [ 관련 글 https://ywpop.tistory.com/7591 ] 3주기 원소와 18전자  .. 2012. 6. 22.
확산. diffusion 확산. diffusion       기체(또는 액체) 분자들은 끊임없이 운동하고 있다.그 운동의 형태는 무질서하다.그 증거가 바로 “확산”이다.         [그림] random walk.       ▶ 확산> 한 종류의 분자들이 다른 종류의 분자들 속으로 이동해 섞이는 현상         [ 관련 예제 https://ywpop.tistory.com/3478 ] 그레이엄의 확산 법칙   [ 관련 글 https://ywpop.tistory.com/11810 ] 브라운 운동. Brownian motion   [ 관련 글 https://ywpop.tistory.com/28 ] 콜로이드       [키워드] 확산 기준, 확산의 정의 기준 2012. 6. 21.
제곱근 평균 제곱속도. 제곱 평균근 속도 ★ 제곱근 평균 제곱속도. 제곱 평균근 속도       어떤 온도 T에서 분자는 평균적으로 얼마나 빨리 운동할까?       기체 분자 운동론에 따르면,( 참고 https://ywpop.tistory.com/46 )             u_rms = sqrt[3RT / M]u_rms = root[3RT / M]u_rms = [3RT / M]^(1/2)( 참고 https://ywpop.tistory.com/45 )   > u_rms = 제곱근-평균-제곱속도(root-mean-square speed)         [예제] –23℃의 성층권에서 N2 분자의 제곱근 평균 제곱속도   ---------------------------------------------------   ▶ N2의 몰질.. 2012. 6. 21.
Kinetic theory of gases. 기체 분자 운동론 ★ Kinetic theory of gases. 기체 분자 운동론Kinetic Molecular Theory of Gases       [가정](1) 기체 분자는 질량은 있으나 부피는 무시할 정도로 작다.---> point mass로 간주.   (2) 기체 분자는 서로 충돌하면서 무질서하게 끊임없이 운동한다.단, 분자들 사이의 충돌은 완전탄성충돌이다.   (3) 기체 분자 간의 상호작용(인력 및 반발력)은 무시한다.---> no interaction.   (4) 기체 분자들의 평균 운동 에너지는 절대 온도에 비례한다.같은 온도에 있는 기체 분자들의 평균 운동 에너지는 항상 같다.       분자 1개의 평균 운동 에너지(KE)KE = 1/2 mu^2 = CT     > T = 절대 온도> C = 비례 .. 2012. 6. 21.
기체 혼합물과 돌턴의 분압 법칙 ★ 기체 혼합물과 돌턴의 분압 법칙Dalton’s Law of Partial Pressure     기체 혼합물의 전체 압력은각 기체가 홀로 존재할 때 작용하는 압력의 합과 같다.     Dalton’s Law, or the Law of Partial Pressures,states that the total pressure exerted by a mixture of gasesis equal to the sum of the partial pressures of the gases in the mixture.   ---------------------------------------------------▶ 참고: PV = nRT [ https://ywpop.tistory.com/3097 ]▶ 참고: n = W.. 2012. 6. 21.
이상 기체 방정식과 기체 상수 ★ 이상 기체 방정식과 기체 상수 기체가 이상 기체 (ideal gas) 라 가정하고, 보일, 샤를, 아보가드로의 법칙을 조합하여 하나의 식으로 나타내면, PV = nRT > 비례 상수인 R = 기체 상수 ( 참고: PV = nRT 유도 https://ywpop.tistory.com/3097 ) ▶ 이상 기체. ideal gas > 압력-부피-온도 변화에 따른 기체의 상태를 이상 기체 방정식으로 완전히 설명할 수 있는 가상적인 기체. > 특성(특징): no interaction & point mass 실제 기체는 no interaction & point mass 가 아니긴 하지만, 즉 기체 분자 간 상호작용하고, 기체 자신의 부피를 갖고 있지만, 이상 기체 방정식으로 실제 기체와 관련된 문제를 풀 수 있다... 2012. 6. 21.
기체로 존재하는 물질 기체로 존재하는 물질 --------------------------------------------------- ▶ 정상 상태: 25℃, 1 atm ▶ 기체(gas): 정상 상태(또는 상온, 상압)에서 안정한 상태가 기체상인 물질예) 산소 기체, oxygen gas ▶ 증기(vapor): 정상 상태에서 안정한 상태가 액체상 또는 고체상인 물질의 기체 형태예) 수증기, water vapor ▶ 기체 화합물의 종류 ▶ 기체의 물리적 특성1) 기체의 부피와 형태 = 기체가 들어있는 용기의 부피와 형태2) 기체는 가장 잘 압축된다.3) 매우 낮은 밀도4) 완전 균일 혼합물 2012. 6. 20.
산화-환원 반응 산화-환원 반응 --------------------------------------------------- ▶ 참고: 제4장 수용액 반응. 목차 [ https://ywpop.tistory.com/15191 ] --------------------------------------------------- 1. 산화와 환원 > 산화: 물질이 전자를 잃는 것 > 환원: 물질이 전자를 얻는 것 ( 참고 https://ywpop.tistory.com/6525 ) 한 반응물이 전자를 잃으면 (산화되면), 항상 다른 반응물이 전자를 얻는다 (환원된다). 2. 산화수 (oxidation number) = 산화 상태 (oxidation state) ( 참고 https://ywpop.tistory.com/2719 ) 산화.. 2012. 6. 20.
침전 반응 침전 반응 --------------------------------------------------- ▶ 참고: 3가지 수용액 반응 [ https://ywpop.tistory.com/12366 ] --------------------------------------------------- ▶ 침전 반응: 난용성(불용성) 생성물(앙금)이 만들어지는 반응 ▶ 침전물(앙금): 침전 반응에서 만들어진 난용성 고체 ( 난용성 생성물 = 앙금 = 침전물 ) 1. 이온 결합 화합물의 용해도 규칙 ▶ 용해도: 일정한 온도에서 일정량의 용매에 용해되는 용질의 양 ▶ 난용성 물질(앙금): 용해도가 0.01 mol/L 이하인 물질 ( 참고: 용해도 지침 https://ywpop.tistory.com/2942 ) 2. 화학.. 2012. 6. 19.
수용액의 일반 성질. 이온의 용매화, 수화, 해리 수용액의 일반 성질. 이온의 용매화, 수화, 해리   ---------------------------------------------------▶ 참고: 제4장 수용액 반응. 목차[ https://ywpop.tistory.com/15191 ]---------------------------------------------------   1. 수용액(aqueous solution)의 일반 성질▶ 용액: 두 가지 이상 순물질의 균일 혼합물( 참고 https://ywpop.tistory.com/40 )     ▶ [용액 = 용매 + 용질]에서,> 용매: 양이 가장 많은 성분> 용질: 용매를 제외한 나머지 성분     ▶ 수용액: 물이 용매인 용액         2. 전해질의 성질▶ 전해질(elect.. 2012. 6. 1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