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일반화학6239

질량(mass) vs. 무게(weight) 질량(mass) vs. 무게(weight) --------------------------------------------------- 둘 다 물질의 양, 즉 물질이 갖고 있는 양을 나타냅니다. But, 질량은 중력에 상관없고 무게는 중력에 상관있다, 즉 측정 장소에 따라 변합니다. ▶ 무게의 정의: 중력이 물체를 끌어당기는 힘의 크기 ▶ 무게의 단위: 정확한 표현은 kg중, g중 이지만, 질량과 똑같은 kg, g을 사용 이런 차이가 있다는 것만 알고 있고, 그냥 “질량 = 무게” 라고 생각하고, 사용해도 됩니다. 왜냐하면, 인류가 지금까지 발전시켜온 과학은 아직까진 그 기준이 지구이니까요. 달이나 화성에 가서 에탄올이나 소금 무게 잴 일 없고, 지구에서도 백두산 산꼭대기에 실험실 차려놓고 NaOH 무게.. 2012. 6. 15.
화학식량과 조성 백분율 percent composition by mass 화학식량과 조성 백분율 percent composition by mass       1. 화학식량과 분자량( 참고 https://ywpop.tistory.com/6947 )   ▶ 화학식량(formula weight)> 화학식에 나오는 각 원자의 원자량의 합> 원자량은 AW, 화학식량은 FW, 분자량은 MW의 약자 사용   ▶ 원자량은 주기율표에 있는 원자량을 반올림하여소수점 이하 첫째 자리(또는 둘째 자리)까지 사용예) H2SO4의 FW= 2(1.0 amu) + 32.1 amu + 4(16.0 amu) = 98.1 amu   ▶ 화학식 = 분자식이면,화학식량을 분자량(molecular weight)이라고도 부른다.> C6H12O6의 MW = 180.0 amu   ▶ 이온결합 화합물은 화학식량으로만 나타.. 2012. 6. 14.
이온과 이온 결합 화합물 이온과 이온 결합 화합물   ---------------------------------------------------▶ 참고: 이온이란. 양이온과 음이온[ https://ywpop.tistory.com/5501 ]▶ 참고: 3가지 화학 결합[ https://ywpop.tistory.com/3036 ]---------------------------------------------------   1. 이온. ion   ▶ 이온: 전자를 잃거나 얻은 원자   ▶ 양이온. cation: 전자를 잃어 양(+)전하를 띤 이온   ▶ 음이온. anion: 전자를 얻어 음(–)전하를 띤 이온   ▶ 이온의 이온 전하: 주기율표에서 자신과 가장 가까운비활성 원소의 전자 수(전자 배치)와 같아지도록, 전자를 잃거나 .. 2012. 6. 11.
원자번호 질량수 동위원소 ★ 원자번호 질량수 동위원소 [그림] 원소기호 표기법 [ https://ywpop.tistory.com/6994 ] ▶ 질량수 = 양성자수 + 중성자수 > 전자의 질량은 양성자, 중성자에 비하면, 새 발의 피 정도로 작기 때문에, 무시한다. 이 때문에 원자의 질량은 양성자수와 중성자수의 합으로 나타낸다. [ 관련 글 https://ywpop.tistory.com/84 ] 원자의 구조. 원자의 구성 입자. ▶ 원자번호 = 양성자수 = 전자수 > 원자는 전기적으로 중성이기 때문에, 또한 양성자 1개의 전하량과 전자 1개의 전하량의 절대값이 같기 때문에, 양성자수와 전자수는 반드시 같아야만 한다. ▶ 원자는 전기적으로 중성이다. > 원자의 양성자 수와 원자의 전자 수는 같다. [참고] 이온: 양성자 수와 전자 수.. 2012. 6. 11.
원자의 구조. 원자의 구성 입자 ★ 원자의 구조. 원자의 구성 입자 [1] 음극선과 전자 > 1897년 Thomson, 음극선 실험으로 전자(electron) 발견 ( 참고: 음극선 실험 https://ywpop.tistory.com/7031 ) > 1909년 Millikan, 기름방울 실험으로 전자의 전하량 및 질량 계산 [2] 방사능 > 1896년 Becquerel, 우라늄 화합물에서 자발적 방사선 방출, 즉 방사능(radioactivity) 발견 [그림] 방사선에 의해 검게 변한 사진 건판. ( 참고 https://en.wikipedia.org/wiki/Henri_Becquerel ) 프랑스 물리학자인 베크렐은 방사선을 발견한 공로로 1903년에 노벨 물리학상을 받았다. ( 참고 ko.wikipedia.org ) > 1899년 Ern.. 2012. 6. 8.
1803년 Dalton의 원자론 1803년 Dalton의 원자론 자료가 중복되어 다음 글에 통합했습니다. [ https://ywpop.tistory.com/20743 ] 2012. 6. 8.
측정의 불확실성 측정의 불확실성   ---------------------------------------------------▶ 참고: 제1장 물질과 측정. 목차[ https://ywpop.tistory.com/15181 ]---------------------------------------------------   ▶ 측정값은 언제나 불확실(inexact)하다.> 왜냐하면, 측정값에는 항상기기오차와 인간(측정자)오차가 포함되어 있기 때문이다.> 모든 측정값은 오차를 포함하고 있다.       1. 정밀도와 정확도▶ 정밀도 (precision): 측정값 사이의 차이 정도   ▶ 정확도 (accuracy): 측정값과 참값 사이의 차이 정도         2. 유효 숫자 (significant figure)▶ .. 2012. 6. 8.
측정 단위. SI 단위 ★ 측정 단위. SI 단위   ---------------------------------------------------▶ 참고: 제1장 물질과 측정. 목차[ https://ywpop.tistory.com/15181 ]---------------------------------------------------   [1] SI 단위. SI unit> 과학적 측정에 사용되는 미터법 단위의 국제협약> SI 기본 단위와 SI 유도 단위가 있다.       ▶ 국제 단위계: SI 또는 SI 시스템> 모든 언어에서 국제 약어 “SI” 또는 “SI 시스템”으로 알려져 있는 국제 단위계.> 미터법의 현대적 형태이며, 세계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측정 시스템.   The International System of Un.. 2012. 6. 7.
물질의 성질 물질의 성질 > 여기서 물질은 원소, 화합물처럼 ‘순물질’을 의미한다. --------------------------------------------------- ▶ 참고: 제1장 물질과 측정. 목차 [ https://ywpop.tistory.com/15181 ] --------------------------------------------------- 1. 물리적 성질과 화학적 성질 ( 참고 https://ywpop.tistory.com/14449 ) 1) 물리적 성질 > 물질의 조성이나 고유성이 변하지 않은 상태에서 알 수 있는 성질. 예) 색깔, 냄새, 밀도, 녹는점, 끓는점 등 2) 화학적 성질 > 물질의 조성이나 고유성이 변하는, 즉 화학 변화(반응) 과정에서 알 수 있는 성질. 예) 산소 .. 2012. 6. 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