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일반화학6339

Nucleic acids, 핵산의 기본 단위, 구성 요소 Nucleic acids, 핵산의 기본 단위, 구성 요소 --------------------------------------------------- ▶ 참고: 제24장 생명의 화학: 유기화학과 생화학 [ https://ywpop.tistory.com/19821 ] --------------------------------------------------- ▶ 핵산을 가수분해하면, ⇨ 뉴클레오티드 (nucleotide), 뉴클레오타이드 ▶ 뉴클레오티드를 가수분해하면, ⇨ 뉴클레오시드 (nucleoside) + 인산 (phosphoric acid) ▶ 뉴클레오시드를 가수분해하면, ⇨ 당 (sugar) + 헤테로고리 염기 (heterocyclic base) ∴ 핵산의 기본 단위: 뉴클레오티드 뉴클레오티드 =.. 2016. 10. 12.
28℃ 765 mmHg 28 g N2 density g/cm3 28℃ 765 mmHg 28 g N2 density g/cm3 기체의 밀도 온도가 28℃이고, 압력이 765 mmHg 조건에서 28 g N2의 밀도는 몇 g/cm3 인가? --------------------------------------------------- d = PM / RT ( 참고 https://ywpop.tistory.com/2933 ) = [(765/760 atm) (28 g/mol)] / [(0.082 atm•L/mol•K) (273 + 28 K)] = [(765/760) (28)] / [(0.082) (273 + 28)] = 1.1419 g/L 1 L = 1000 mL = 1000 cm3 이므로, 1.1419 g / 1000 cm3 = 0.0011419 g/cm3 ---> 너무 작은 .. 2016. 10. 12.
1.0 M 질산 용액에서의 수소 이온(aq)의 몰농도 1.0 M 질산 용액에서의 수소 이온(aq)의 몰농도 --------------------------------------------------- ▶ 참고: 강산과 약산. 강염기와 약염기 [ https://ywpop.tistory.com/7421 ] --------------------------------------------------- 질산은 강산이므로, 물에서 100% 이온화된다고 가정한다. HNO3(aq) → H^+(aq) + NO3^-(aq) ( 참고 https://ywpop.tistory.com/12475 ) HNO3 : H^+ = 1 : 1 계수비(= 몰수비) 이므로, [HNO3] = [H^+] = 1.0 M [참고] 약산 용액의 [H^+] 약산 용액의 [H^+]를 계산할 경우에만, 산해리.. 2016. 10. 12.
분자간 힘 크기 순서. 분자간 힘 세기 순서 분자간 힘 크기 순서. 분자간 힘 세기 순서       1위: 수소결합 (예. 물 분자간, 물-메탄올)     2위: 영구쌍극자-영구쌍극자 힘 (예. 극성 분자간)     3위: 영구쌍극자-유도쌍극자 힘 (예. 극성-무극성)※ 무극성 분자인 산소 기체가 극성 분자인 물에 용해되는 이유     4위: 분산력(순간쌍극자-유도쌍극자) (예. 무극성 분자간)※ 단원자분자(예: He)나 무극성 분자(예: N2)가 응축되는 이유※ 분산력은 물질의 몰질량(=분자량)에 비례       ▶ 수소결합 > 영구쌍극자-영구쌍극자 힘 > 영구쌍극자-유도쌍극자 힘 > 분산력(순간쌍극자-유도쌍극자)         [ 관련 글 https://ywpop.tistory.com/2579 ] 분자간 힘   [ 관련 글 htt.. 2016. 10. 9.
H2O는 평면 구조인가 입체 구조인가 ★ H2O는 평면 구조인가 입체 구조인가     H2O는 굽은형(bent shape)인데,평면형(평면 구조)인가? 입체형(입체 구조)인가?       [참고] 제9장 분자의 기하학적 구조와 결합 이론. 목차[ https://ywpop.tistory.com/15257 ]       다음과 같은 분자 구조 모형 조립 세트가 있다.         구슬 3개, 연결 막대 2개로 물 분자 모형을 만든 다음,         이 물 분자 모형을 바닥에 던졌을 때,구슬이 완벽한 구라고 가정하면,물 분자 모형은 어떻게 될까?① 3개 구슬은 모두 바닥에 닿아있다.② 2개 구슬은 바닥에 닿아있고, 1개 구슬은 공중에 떠있다.③ 1개 구슬은 바닥에 닿아있고, 2개 구슬은 공중에 떠있다.       위 질문의 .. 2016. 10. 9.
수소 원자에서 전자가 방출하는 에너지. n=3 to n=1 수소 원자에서 전자가 방출하는 에너지. n=3 to n=1 전자 1몰이 M 전자껍질(n=3)에서 바닥상태(n=1)로 떨어질 때 방출하는 에너지는 몇 kJ인가? (단, 수소원자의 에너지준위, En = –1312/n^2 kJ/mol) --------------------------------------------------- ▶ 참고: [목차] 수소 원자가 흡수 또는 방출하는 빛의 에너지와 파장 [ https://ywpop.tistory.com/17939 ] --------------------------------------------------- ΔE = 나중 상태 – 처음 상태 = (–1312/1^2) – (–1312/3^2) = –1166.2 kJ 답: –1166.2 kJ ---------------.. 2016. 10. 8.
전해질과 비전해질. 강전해질과 약전해질 ★ 전해질과 비전해질. 강전해질과 약전해질     다음 물질 중 전해질이 아닌 것은?1) 알루미늄2) 암모니아3) 질산나트륨4) 염화구리(II)5) 수산화칼륨   ---------------------------------------------------▶ 참고: 제4장 수용액 반응. 목차[ https://ywpop.tistory.com/15191 ]---------------------------------------------------   [A] 전해질과 비전해질   ▶ 전해질(electrolyte): NaCl과 같이 물에 용해되어 전기를 전도하는 물질.> 전해질에 해당되는 물질: 이온결합 화합물, 공유결합 화합물 중 산과 염기.> 수용액에서 이온 상태로 존재.NaCl(s) + H2O(l) → Na^.. 2016. 10. 5.
클라우지우스-클라페이롱 식. 63.5℃에서 에탄올의 증기압 클라우지우스-클라페이롱 식. 63.5℃에서 에탄올의 증기압 34.9℃에서 에탄올의 증기압은 100 mmHg이다. 63.5℃에서의 증기압을 구하시오. The vapor pressure of ethanol is 100 mmHg at 34.9℃. What is its vapor pressure at 63.5℃? --------------------------------------------------- > 에탄올의 증발엔탈피(증발열) = 38.6 kJ/mol > 1: 100 mmHg, 34.9 + 273.15 = 308.05 K > 2: x mmHg, 63.5 + 273.15 = 336.65 K Clausius-Clapeyron equation ( 참고 https://ywpop.tistory.com/3133 .. 2016. 10. 4.
온도가 높아지면 왜 정반응, 역반응 속도가 동시에 빨라지게 되나요 온도가 높아지면 왜 정반응, 역반응 속도가 동시에 빨라지게 되나요? --------------------------------------------------- 반응 속도는 “활성화 에너지 고개”를 얼마나 빨리 넘어가느냐에 의해 결정됩니다. 온도가 높아지면, 즉 반응계를 가열하면, 반응계의 에너지 준위는 증가(상승)합니다. 이때 반응물, 생성물, 둘 다 에너지 준위가 상승하기 때문에, 정반응, 역반응 속도가 동시에 증가합니다. 반응물, 생성물, 둘 다 에너지 준위가 상승하기 때문에, 반응물도 더 빨리 활성화 에너지 고개를 넘어서 생성물이 될 수 있고, 생성물 역시 더 빨리 활성화 에너지 고개를 넘어서 반응물이 될 수 있습니다. > 정반응 속도상수, k_f. f는 forward의 f. > 역반응 속도상수,.. 2016. 10. 4.
1.0 M HNO2 용액의 pH ★ 1.0 M HNO2 용액의 pH 1.0 M 아질산 용액의 pH How do you calculate the pH of a 1.0 M HNO2 solution, where Ka = 4.0×10^-4 ? HNO2(aq) ⇌ H^+(aq) + NO2^-(aq) --------------------------------------------------- ICE 도표를 작성하면, HNO2(aq) ⇌ H^+(aq) + NO2^-(aq) 초기(M): 1.0 0 0 변화(M): –x +x +x 평형(M): 1.0–x x x Ka = [H^+][NO2^-] / [HNO2] = x^2 / (1.0–x) = 4.0×10^(-4) ( 참고 https://ywpop.tistory.com/4294 ) 1.0–x ≒ 1.0 이라 .. 2016. 10. 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