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일반화학/[17장] 수용액 평형의 다른 관점410 혈액의 완충 작용과 관련된 반응 혈액의 완충 작용과 관련된 반응 다음은 혈액의 완충 작용과 관련된 반응을 나타낸 것이다.H2CO3(aq) + H2O(l) ⇌ HCO3^-(aq) + H3O^+(aq) ... Ka = 4.5×10^(-7) 심하게 운동을 하면 우리 몸에 젖산이 형성되어 혈액의 수소 이온(H3O^+) 농도가 증가하지만 혈액의 pH는 거의 일정하게 유지된다. 혈액 속에 H3O^+의 농도가 소량 증가했을 때 혈액의 완충 작용을 제시된 평형 반응식을 이용하여 설명하시오. [참고] 완충용액에 강산 또는 강염기를 가했을 때 일어나는 현상[ https://ywpop.tistory.com/4319 ] 혈액의 완충 작용과 관련된 평형 반응식에서,H2CO3(aq) + H2O(l) ⇌ HCO3^-(a.. 2024. 8. 29. K2SO3 KHSO3 250.0 mL pH 7.25 SO3^2- or HSO3^- K2SO3 KHSO3 250.0 mL pH 7.25 SO3^2- or HSO3^- Some K2SO3 and KHSO3 are dissolved in 250.0 mL of solution and the resulting pH is 7.25. Which is greater in this buffer solution, the concentration of SO3^2- or the concentration of HSO3^-? If [SO3^2-] = 1.0 M in this solution, calculate the concentration of HSO3^-. 250.0 mL 용액에 약간의 K2SO3와 KHSO3가 용해되어 있으며, 이 용액의 pH는 7.25이다. 이 완충 용액에 들어있는 S.. 2024. 6. 18. weak acid 100.0 mL 0.09381 M NaOH 27.63 mL pH 10.99 16.47 mL weak acid 100.0 mL 0.09381 M NaOH 27.63 mL pH 10.99 16.47 mL 약산 100.0 mL를 0.09381 M NaOH로 적정할 때,당량점에 도달하는데 27.63 mL가 소모되었으며당량점에서의 pH는 10.99였다. NaOH 용액 16.47 mL만을 첨가시켰을 때,pH는 얼마인지 계산하시오. When 100.0 mL of a weak acid were titrated with 0.09381 M NaOH, 27.63 mL were required to reach the equivalence point. The pH at the equivalence point was 10.99. What was the pH when only 16.47 mL o.. 2024. 6. 12. Al(OH)3의 몰용해도. Al^3+ 이온의 농도 Al(OH)3의 몰용해도. Al^3+ 이온의 농도Ksp = 1×10^(-32). Al의 몰질량 = 27 g/mol Al(OH)3(s) ⇌ Al^3+(aq) + 3OH^-(aq) Ksp = [Al^3+] [OH^-]^3= (s) (3s)^3 = 27s^4 s = (Ksp / 27)^(1/4)( 참고 https://ywpop.tistory.com/8434 ) = [(1×10^(-32)) / 27]^(1/4)= 4.4×10^(-9) M = [Al^3+] 답: 4.4×10^(-9) M [참고] 용매인 물의 자동이온화 결과,생성되는 OH^- 이온의 농도는 고려하지 않았다.( 참고 https://ywpop.tistory.com/16737 ) .. 2024. 4. 25. pH가 6.32인 0.2 M 인산 완충용액 200 mL 만들기 pH가 6.32인 0.2 M 인산 완충용액 200 mL 만들기 pH가 6.32인 0.2 M 인산 완충용액 200 mL를 만드는데 필요한 각 인산의 양은?(단, KH2PO4의 몰질량 = 136 g/mol, K2HPO4의 몰질량 = 174 g/mol) H2PO4^-(aq) ⇌ H^+(aq) + HPO4^2-(aq) ... Ka2 pKa2 = –log(6.2×10^(-8)) = 7.21( 참고 https://ywpop.tistory.com/7182 ) pH = pKa + log([짝염기]/[약산])( 참고 https://ywpop.tistory.com/1926 ) pH = pKa + log([A^-]/[HA]) 6.32 = 7.21 + log([A^-]/[HA]) .. 2024. 4. 23. 0.050 M NaOH 10.0 mL 0.0250 M C6H5COOH 40.0 mL 0.050 M NaOH 10.0 mL 0.0250 M C6H5COOH 40.0 mL Calculate the pH in the solution formed by adding 10.0 mL of 0.050 M NaOH to 40.0 mL of 0.0250 M benzoic acid (C6H5COOH, Ka = 6.3×10^(-5)). 각 반응물의 몰수를 계산하면, (0.050 mol/L) (10.0/1000 L) = 0.0005 mol NaOH (강염기) ( 참고 https://ywpop.tistory.com/7787 ) (0.0250) (40.0/1000) = 0.001 mol C6H5COOH (약산) “약산의 몰수 > 강염기의 몰수” 이므로, 당량점 이전. 산-염기 반응식 C6H5COOH + NaOH .. 2024. 4. 22. 0.05 M 약산 + 0.1 M 짝염기 혼합 용액의 pH 0.05 M 약산 + 0.1 M 짝염기 혼합 용액의 pH 각 용액의 부피는 같다. 단, 약산의 pKa = 6.10 약산과 약산의 짝염기가 동시에 존재하는 용액 = 완충 용액 완충 용액의 pH는 Henderson-Hasselbalch 식으로 계산 pH = pKa + log([짝염기]/[약산]) ( 참고 https://ywpop.tistory.com/1926 ) = 6.10 + log(0.1 / 0.05) = 6.4 답: pH = 6.4 [키워드] 완충 용액의 pH 기준 2024. 4. 18. 0.01 M CH3COOH 20 mL + 0.01 M NaOH 15 mL pH 0.01 M CH3COOH 20 mL + 0.01 M NaOH 15 mL pH 단, CH3COOH의 Ka = 1.8×10^(-5) [참고] 약산 강염기 적정 [ https://ywpop.tistory.com/2736 ] (0.01 mol/L) (20/1000 L) = 0.0002 mol CH3COOH (0.01) (15/1000) = 0.00015 mol NaOH 산-염기 중화반응 CH3COOH(aq) + NaOH(aq) → CH3COONa(aq) + H2O(l) ---> 가한 염기의 몰수만큼 산의 몰수는 감소(소모)되고, 짝염기의 몰수는 증가(생성)된다. ( 참고 https://ywpop.tistory.com/15931 ) Henderson-Hasselbalch 식 pH = pKa + log([짝염기].. 2024. 4. 5. pKa 2.0 pKa 5 and 8 0.1 M pH 2.0 100 mL 0.1 M NaOH 75 mL pH 6.72 pKa 2.0 pKa 5 and 8 0.1 M pH 2.0 100 mL 0.1 M NaOH 75 mL pH 6.72 An unknown compound, X, is thought to have a carboxyl group with a pKa of 2.0 and a second ionizable group with a pKa between 5 and 8. When 75 mL of 0.1 M NaOH is added to 100 mL of a 0.1 M solution of X at pH 2.0, the pH increases to 6.72. Calculate the pKa of the second ionizable group of X. X ≡ R–X–COOH > –COOH: 첫 번째 이온화 작용기 > –.. 2024. 3. 22. pH 7.3인 0.3 M phosphate buffer 150 mL 만들기 pH 7.3인 0.3 M phosphate buffer 150 mL 만들기 0.4 M KH2PO4 용액 + 0.7 M K2HPO4 용액 0.7 M K2HPO4 용액과 0.4 M KH2PO4 용액으로 pH 7.3인 0.3 M phosphate buffer 150 mL 만들기 (단, pKa = 7.2) H2PO4^-(aq) ⇌ H^+(aq) + HPO4^2-(aq) ... Ka2 pKa2 = –log(6.2×10^(-8)) = 7.2 ( 참고 https://ywpop.tistory.com/7182 ) ---> 시약은 KH2PO4(약산)와 K2HPO4(짝염기)를 사용한다. pH = pKa + log([짝염기]/[약산]) ( 참고 https://ywpop.tistory.com/1926 ) 7.3 = 7.2 + .. 2024. 3. 20. 이전 1 2 3 4 5 6 ··· 4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