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일반화학/[17장] 수용액 평형의 다른 관점413 Ag2CrO4의 몰용해도 ★ Ag2CrO4의 몰용해도 난용성염의 용해도. Ag2CrO4. silver chromate Use the solubility product to calculate the solubility of Ag2CrO4 (FM 331.73; Ksp = 1.2×10^-12) (→ 2Ag^+ + CrO4^2-) in water expressed as moles per liter. What is the molar solubility in water of Ag2CrO4? --------------------------------------------------- ▶ 참고: 난용성염의 용해도곱 상수 [ https://ywpop.tistory.com/2966 ] ▶ 참고: 난용성염의 몰용해도 [ https://ywpop.tis.. 2015. 4. 8. 난용성염의 용해도와 공통이온효과. CaF2 난용성염의 용해도와 공통이온효과. CaF2 + Ca(NO3)2 or KFCaF2의 Ksp = 3.6×10^(-11) A. 포화 CaF2 용액에 0.01 M Ca(NO3)2 용액을 첨가했을 때, CaF2의 몰용해도(s)를 구하시오.Calculate the molar solubility of calcium fluoride, CaF2, in a 0.01 M Ca(NO3)2 solution. ---------------------------------------------------▶ 참고: 용해도곱 상수 [ https://ywpop.tistory.com/2966 ]▶ 참고: Case별 몰용해도 계산 [ https://ywpop.tistory.com/8434 ]-----------.. 2015. 1. 15. 용해도곱(solubility product) 상수, Ksp ★ 용해도곱(solubility product) 상수, Ksp ▶ 잘 용해되지 않는 염, ‘난용성 염’의 용해도 어떤 염, 예를 들면 염화은(AgCl)은 매우 조금만 물에 용해됩니다. 따라서 용액 내에서, 용해되지 않은 염과 이온 간에 불균일 평형이 존재합니다. 위 반응에 대한 평형 상수 식은 다음과 같은데, 고체의 농도는 일정하므로, ( 참고 https://ywpop.tistory.com/3760 ) 난용성 염의 평형 상수는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습니다. 새로운 평형 상수, Ksp를 ‘용해도곱 상수’라 부릅니다. [ 관련 예제 https://ywpop.tistory.com/3141 ] 난용성염의 용해도와 공통이온효과. CaF2 [ 관련 글 https://ywpop.tistory.com/8434 ] Ks.. 2014. 11. 7. 0.20 M NaHCO3 0.10 M Na2CO3 buffer pH 0.20 M NaHCO3 0.10 M Na2CO3 buffer pH [1] Henderson-Hasselbalch 식을 사용하여 같은 부피의 0.20 M NaHCO3와 0.10 M Na2CO3 용액을 섞어 만든 완충 용액의 pH를 구하시오. (단, NaHCO3의 Ka = 5.6×10^-11) Use the Henderson-Hasselbalch equation to calculate the pH of a buffer solution prepared by mixing equal volumes of 0.20 M NaHCO3 and 0.10 M Na2CO3. --------------------------------------------------- Henderson-Hasselbalch 식 pH = pKa .. 2014. 11. 6. 0.1 M CH3COOH 50 mL + 0.1 M NaOH. 당량점 pH 0.1 M CH3COOH 50 mL + 0.1 M NaOH. 당량점 pH 0.1 M CH3COOH(시료) 50 mL를 0.1 M NaOH(표준 용액)로 적정할 때, 중화점(당량점)에서의 pH를 구하시오. --------------------------------------------------- ▶ 참고: 약산-강염기 적정 [ https://ywpop.tistory.com/2736 ] --------------------------------------------------- CH3COOH와 NaOH는 1 : 1 반응하므로, NaOH 50 mL를 가하면, 시료인 약산은 표준 용액인 강염기에 의해 완전히 중화된다. 그러나 이때 생성된 염의 가수분해 반응 때문에, 용액은 중성이 되지 않는다. ( 참고: 가수.. 2014. 11. 3. N2H4-N2H5Cl 완충 용액 (buffer system) N2H4-N2H5Cl 완충 용액 (buffer system) --------------------------------------------------- ▶ 참고: NH3-NH4Cl 완충 용액의 완충 작용 [ https://ywpop.tistory.com/5442 ] --------------------------------------------------- N2H4 / N2H5^+ buffer system은 N2H4가 weak base이기 때문에, basic buffer에 해당된다. ---> NH3 / NH4^+와 같은 약염기 완충 용액 따라서 산 또는 염기를 첨가했을 때 일어나는 반응 또한 동일하다. NH3(aq) + HCl(aq) → NH4^+(aq) + Cl^-(aq) NH4Cl(aq) + NaO.. 2014. 10. 20. 산-염기 중화 적정 과정에서 용액의 pH 계산: 약염기-강산 적정 산-염기 중화 적정 과정에서 용액의 pH 계산: 약염기-강산 적정 ---------------------------------------------------▶ 참고: 강산 ← 강염기 적정 [ https://ywpop.tistory.com/2732 ]▶ 참고: 약산 ← 강염기 적정 [ https://ywpop.tistory.com/2736 ]--------------------------------------------------- 이번에는 약염기-강산 적정 과정에서 용액의 pH를 구해보겠다.시료인 약염기를 표준 용액인 강산으로 적정한다고 가정한다.( 지시약은 메틸 레드, methyl red를 사용한다. )( 참고: 산-염기 지시약 https://ywpop.tistory.com/3839 ) .. 2014. 8. 11. 산-염기 중화 적정 과정에서 용액의 pH 계산: 약산-강염기 적정 ★ 산-염기 중화 적정 과정에서 용액의 pH 계산: 약산-강염기 적정 --------------------------------------------------- ▶ 참고: 강산 ← 강염기 적정 [ https://ywpop.tistory.com/2732 ] ▶ 참고: 약염기 ← 강산 적정 [ https://ywpop.tistory.com/2742 ] --------------------------------------------------- 이번에는 약산-강염기 적정 과정에서 용액의 pH를 구해보겠다. 시료인 약산을 표준 용액인 강염기로 적정한다고 가정한다. ( 지시약은 페놀프탈레인 https://ywpop.tistory.com/5959 ) [가정] 0.1 M CH3COOH 25 mL (시료) ← 0.1 M.. 2014. 8. 8. 산-염기 중화 적정 과정에서 용액의 pH 계산: 강산-강염기 적정 ★ 산-염기 중화 적정 과정에서 용액의 pH 계산: 강산-강염기 적정 중화 적정은 산-염기의 세기에 따라 다음과 같이 3가지 경우로 나눌 수 있다.(1) 강산-강염기 적정(2) 약산-강염기 적정 [ 참고 https://ywpop.tistory.com/2736 ](3) 강산-약염기 적정 [ 참고 https://ywpop.tistory.com/2742 ] ▶ 약산-약염기 적정에서는염의 가수분해 반응이 2개이기 때문에, 계산이 복잡하다.따라서 이런 중화 적정은 안 한다. 할 필요도 없고, 할 이유도 없다.만약 시료가 약산이면 (2)번 적정으로, 약염기이면 (3)번 적정으로시료의 농도를 구할 수 있기 때문이다. ▶ 일반적으로 표준 용액은 강산 또는 강염기를 사용한다. .. 2014. 8. 6. 산-염기 적정. 산-염기 중화 적정 ★ 산-염기 적정. 산-염기 중화 적정 ---------------------------------------------------▶ 참고: 제17장 수용액 평형의 다른 관점. 목차[ https://ywpop.tistory.com/15369 ]--------------------------------------------------- 1. 부피 분석법이란?▶ 시료 용액(농도를 모르는 용액)과화학량론적(mol vs. mol)으로 반응하는표준 용액(농도를 알고 있는 용액)의 부피를 측정하여,시료의 농도를 알아내는 화학 분석의 한 방법.( 참고: 부피 분석법과 적정 https://ywpop.tistory.com/23 ) 2. 적정(titration)이란?▶ 부피 분석법을 이용하는 실제적인 실.. 2014. 7. 30. 이전 1 ··· 38 39 40 41 42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