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일반화학/[10장] 기체523

100 L 탱크 안에 가득 있던 물을 모두 빼내었더니 99.999 L 100 L 탱크 안에 가득 있던 물을 모두 빼내었더니 99.999 L 100 L의 탱크 안에 가득 있던 물을 모두 빼내었더니 탱크 안에 한 방울의 물도 남아있지 않은데도 빼낸 물의 부피가 99.999 L 였다. 탱크 안의 온도가 0℃일 때 탱크 안에 남아있는 수증기의 압력은? --------------------------------------------------- 100 L – 99.999 L = 0.001 L = 1 mL ---> 이만큼의 물이 수증기로 남아있다. 1 mL = 1 g 이고, H2O의 몰질량 = 18 g/mol 이므로, 1 g / (18 g/mol) = (1/18) mol H2O PV = nRT 로부터, ( 참고 https://ywpop.tistory.com/3097 ) P = nRT.. 2023. 2. 24.
350 ppm CO2의 ton/m3 농도 350 ppm CO2의 ton/m3 농도 단, 0℃, 1기압 기준 --------------------------------------------------- 350 ppm CO2 = (350 mol CO2 / 10^6 mol 공기) × 10^6 ( 참고 https://ywpop.tistory.com/5494 ) CO2의 몰질량 = 44 g/mol 이므로, 350 mol CO2의 질량을 계산하면, 350 mol × (44 g/mol) = 15400 g CO2 (15400 g) (1 ton / 10^6 g) = 0.0154 ton CO2 이상기체방정식, PV = nRT 로부터, ( 참고 https://ywpop.tistory.com/3097 ) 10^6 mol 공기의 부피를 계산하면, V = nRT / P.. 2023. 2. 11.
43℃ 88.04 g Ni 4.00 L Ni(CO)4 atm 43℃ 88.04 g Ni 4.00 L Ni(CO)4 atm 43℃에서 88.04 g의 Ni이 모두 반응하여 4.00 L 부피의 고압 용기에 얻어진 Ni(CO)4의 부분 압력(atm)에 가장 가까운 값은? Ni(s) + 4CO(g) → Ni(CO)4(g) --------------------------------------------------- Ni의 몰질량 = 58.69 g/mol 이므로, 88.04 g / (58.69 g/mol) = 1.500 mol Ni ( 참고 https://ywpop.tistory.com/7738 ) Ni(s) + 4CO(g) → Ni(CO)4(g) Ni : Ni(CO)4 = 1 : 1 계수비(= 몰수비) 이므로, Ni(CO)4의 몰수 = 1.500 mol PV = nRT 로.. 2023. 2. 5.
기체의 성질. 기체의 특징. He과 Ne 비교 기체의 성질. 기체의 특징. He과 Ne 비교 상온에서 He과 Ne이 1몰씩 동일한 용기에 각각 들어있다. 의 물리량 중 He과 Ne의 값이 동일한 것은? 단, He과 Ne은 이상기체로 가정한다. 질량, 부분압, 평균 속력, 평균 운동에너지 --------------------------------------------------- 돌턴의 분압 법칙 ( 참고 https://ywpop.tistory.com/48 ) ---> 각 기체의 몰분율이 같기 때문에, 분압도 같다. 기체 분자들의 평균 운동 에너지는 절대 온도에 비례한다. 같은 온도에 있는 기체 분자들의 평균 운동 에너지는 항상 같다. ( 참고 https://ywpop.tistory.com/46 ) ( 참고 https://ywpop.tistory.co.. 2023. 1. 30.
기체에 대한 설명 기체에 대한 설명 --------------------------------------------------- 1. 온도와 기체의 몰수가 변화하지 않은 상태에서, 압력을 감소시키면 부피도 감소한다. ---> 아니다. 압력을 감소시키면 부피는 증가한다. ( 참고 https://ywpop.tistory.com/1977 ) 2. 1기압, 273 K에서 질소 분자들은 모두 같은 속력으로 움직인다. ---> 아니다. 정규 분포를 갖는다. ( 아래 그림 참고 ) 3. 일정한 온도에서, 1기압의 CO2 분자와 5기압의 H2 분자의 평균 운동 에너지는 같다. ---> 그렇다. 기체 분자들의 평균 운동 에너지는 절대 온도에 비례한다. 같은 온도에 있는 기체 분자들의 평균 운동 에너지는 항상 같다. ( 참고 https:/.. 2023. 1. 29.
표준 상태(1 기압, 25 ℃) 이산화탄소 기체의 밀도 표준 상태(1 기압, 25 ℃) 이산화탄소 기체의 밀도 --------------------------------------------------- CO2의 몰질량 = (12) + 2(16) = 44 g/mol d = PM / RT ( 참고 https://ywpop.tistory.com/2933 ) = [(1) (44)] / [(0.08206) (273.15 + 25)] = 1.7984 g/L 답: 2 g/L 2023. 1. 28.
VT는 일정. 25℃ 40 L 피스톤 에틸렌 1 kg 30 L. T2 계산 VT는 일정. 25℃ 40 L 피스톤 에틸렌 1 kg 30 L. T2 계산 25℃, 40 L 피스톤 용기에 에틸렌 1 kg을 채운 후, 내부 압력을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피스톤 용기의 부피를 30 L로 줄였다. 피스톤 용기의 최종 온도는? --------------------------------------------------- 압력이 일정하므로, V1 / T1 = V2 / T2 ( 참고 https://ywpop.tistory.com/1978 ) T2 = V2 / (V1 / T1) = 30 / (40 / (273.15 + 25)) = 223.61 K 223.61 – 273.15 = –49.54 = –50℃ 답: –50℃ 2023. 1. 28.
800℃ 1기압 황 1 kg 완전 연소 이산화황 발생량(m3) 800℃ 1기압 황 1 kg 완전 연소 이산화황 발생량(m3) 800℃, 1기압에서 황(S) 1 kg이 공기 중에서 완전 연소할 때 발생하는 이산화황의 발생량(m3)은? --------------------------------------------------- 1 kg = 1000 g S S의 몰질량 = 32 g/mol 이므로, 1000 g / (32 g/mol) = 31.25 mol S ( 참고 https://ywpop.tistory.com/7738 ) 황 연소 반응식 S + O2 → SO2 S : SO2 = 1 : 1 계수비(= 몰수비) 이므로, SO2의 몰수 = S의 몰수 = 31.25 mol PV = nRT ( 참고 https://ywpop.tistory.com/3097 ) V = nRT / P.. 2023. 1. 24.
액화 이산화탄소 1 kg 25℃ 2 atm 기체상 부피 액화 이산화탄소 1 kg 25℃ 2 atm 기체상 부피 액화 이산화탄소 1 kg이 25℃, 2 atm에서 방출되어 모두 기체가 되었다. 방출된 기체상의 이산화탄소 부피는 약 몇 L인가? --------------------------------------------------- 1 kg = 1000 g 이산화탄소, CO2의 몰질량 = (12) + 2(16) = 44 g/mol 1000 g CO2의 몰수 = 1000 g / (44 g/mol) = 22.73 mol ( 참고 https://ywpop.tistory.com/7738 ) PV = nRT ( 참고 https://ywpop.tistory.com/3097 ) V = nRT / P = (22.73) (0.08206) (273.15 + 25) / (2) .. 2023. 1. 21.
PVT는 일정. 20℃ 720 torr 0.75 L 41℃ 760 torr. V2 계산 PVT는 일정. 20℃ 720 torr 0.75 L 41℃ 760 torr. V2 계산 A gas occupies a volume of 0.75 L at 20℃ at 720 torr. What volume would the gas occupy at 41℃ and 760 torr? a) 1.45 L, b) 0.85 L, c) 0.76 L, d) 0.66 L, e) 0.35 L. --------------------------------------------------- P1V1 / T1 = P2V2 / T2 ( 참고 https://ywpop.tistory.com/7091 ) V2 = P1V1T2 / T1P2 = [(720) (0.75) (273.15 + 41)] / [(273.15 + 20) (760)] .. 2023. 1. 1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