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일반화학/[05장] 열화학424

50.0 g metal 100.0℃ 24.8℃ 50.0 g water 51.2℃ 50.0 g metal 100.0℃ 24.8℃ 50.0 g water 51.2℃ Suppose 50.0 g of water in the Styrofoam cup has an in initial temperature of 24.8℃. When a 50.0 g piece of metal at a temperature of 100.0℃ is added, the temperature of the water and metal rise to final temperature of 51.2℃. What is the specific heat of this metal object? (Specific heat of water is 4.184 J/g•℃) 열용량과 비열 q = C m Δt ( 참고 https://ywpop.t.. 2024. 4. 20.
2H2O2(l) ΔH = -196 kJ H2O2(l) 5.00 g 2H2O2(l) ΔH = -196 kJ H2O2(l) 5.00 g Hydrogen peroxide can decompose to water and oxygen by the reaction: 2H2O2(l) → 2H2O(l) + O2(g) ... ΔH = –196 kJ Calculate the quantity of heat released when 5.00 g of H2O2(l) decomposes at constant pressure. 2H2O2(l) → 2H2O(l) + O2(g) ... ΔH = –196 kJ 2몰 H2O2의 분해열이 –196 kJ 이므로, ΔH = –196 kJ / 2 mol = –98 kJ/mol ---> H2O2 1몰당 분해열 H2O2의 몰질량 = 34.01 g/mol 이므로, .. 2024. 4. 20.
75 kg 165 lb 555 ft Washington monument work kJ 25% energy 75 kg 165 lb 555 ft Washington monument work kJ 25% energy How much work is done when a person weighing 75 kg (165 lb) climbs the Washington monument. 555 ft high? How many kilojoules must be supplied to do this muscular work, assuming that 25% of the energy produced by the oxidation of food in the body can be converted into muscular mechanical work. 1 ft = 0.3048 m 이므로, ( 참고 https://ywpop.tisto.. 2024. 3. 30.
mass 284 g 25.3℃ Ag 1.13 kJ heat absorb final temp mass 284 g 25.3℃ Ag 1.13 kJ heat absorb final temp 질량이 284 g이고 온도가 25.3℃인 은 덩어리가 1.13 kJ의 열을 흡수하였다. 은의 최종 온도는 얼마인가? 단, 은의 비열은 0.235 J/g•℃ A 284 g sample of silver (C = 0.235 J/g•℃) initially at 25.3℃ was heated with 1.13 kJ of heat. What was the final temperature of the silver? q = C m Δt ( 참고 https://ywpop.tistory.com/2897 ) Δt = q / C m = (1130 J) / [(0.235 J/g•℃) (284 g)] = (1130) / [(0.235) .. 2024. 3. 24.
비열 1, 질량 2 kg, 초기온도 80℃ 비열 1, 질량 2 kg, 초기온도 80℃     비열 1, 질량 2 kg, 초기온도 80℃인 a와비열 0.2, 질량 5 kg, 초기온도 10℃인 b를혼합했을 때 최종온도는?       [참고] 열용량과 비열[ https://ywpop.tistory.com/2897 ]       q = C m Δt   고온 물질이 잃은 열(–q) = 저온 물질이 얻은 열(+q)   최종온도 = x 라 두면,–[(1) (2) (x – 80)] = +[(0.2) (5) (x – 10)]   –2x + 160 = x – 10   3x = 170   x = 170 / 3 = 56.67       답: 약 57℃         [키워드] 고온 물질이 잃은 열 기준 2024. 3. 17.
1.00 M AgNO3 20.0 mL 1.00 M KBr 20.0 mL AgBr 25.0℃ 35.0℃ 1.00 M AgNO3 20.0 mL 1.00 M KBr 20.0 mL AgBr 25.0℃ 35.0℃ 1.00 M AgNO3 20.0 mL와 1.00 M KBr 20.0 mL를 섞으면 AgBr 침전이 생기면서 온도가 25.0℃에서 35.0℃로 변한다. 이 침전 반응의 반응 엔탈피(kJ/mol)는? 단, 혼합 수용액의 밀도 = 1.00 g/mL, 비열은 4.2 J/g•℃이다. 혼합 수용액의 질량 = (20.0 + 20.0 mL) (1.00 g/mL) = 40.0 g Δt = 35.0 – 25.0 = 10.0℃ q = C m Δt ( 참고 https://ywpop.tistory.com/2897 ) = (4.2) (40.0) (10.0) = 1680 J 반응한 AgNO3의 몰수를 계산하면, (1.00 mol/.. 2024. 2. 25.
ΔH 계산. 2CH4(g) → C2H4(g) + 2H2(g) ΔH 계산. 2CH4(g) → C2H4(g) + 2H2(g) Determine the enthalpy of reaction for 2CH4(g) → C2H4(g) + 2H2(g) using the equations: 1) 2C2H6(g) + 7O2(g) → 4CO2(g) + 6H2O(l) ... ΔH° = –3120.8 kJ 2) CH4(g) + 2O2(g) → CO2(g) + 2H2O(l) ... ΔH° = –890.3 kJ 3) C2H4(g) + H2(g) → C2H6(g) ... ΔH° = –136.3 kJ 4) H2(g) + 1/2 O2(g) → H2O(l) ... ΔH° = –285.8 kJ --------------------------------------------------- 답: ΔH°.. 2023. 12. 20.
C2H5OH gasoline ΔH_f° = –277.63 kJ/mol 1 gallon C2H5OH gasoline ΔH_f° = –277.63 kJ/mol 1 gallon For ethanol, C2H5OH, which is mixed with gasoline to make the fuel gasohol, ΔH_f° = –277.63 kJ/mol. Calculate the number of kJ released when exactly 1 gallon(s) of ethanol is burned completely. The density of ethanol is 0.787 g cm^-3. 에탄올 1갤런이 완전히 연소하였을 때 방출되는 kJ의 양을 계산하시오. --------------------------------------------------- 답: –88384 kJ [Blogger 블.. 2023. 9. 26.
기체에 행해진 일(J). 일정온도 1 atm 기체 가열 2 L → 3.5 L 팽창 기체에 행해진 일(J). 일정온도 1 atm 기체 가열 2 L → 3.5 L 팽창 일정 온도, 1 atm에서 어떤 기체를 가열하여 2 L → 3.5 L로 팽창시켰다. 이 기체에 행해진 일(J)은? (단, 1 atm = 101000 kg/m•s^2) --------------------------------------------------- 답: –151.5 J [Blogger 블로그스팟] [ https://ywpop.blogspot.com/2023/09/j-1-atm-2-l-35-l.html ] [키워드] PV work 기준 pH 2.5 산성 폐수 500 m3/day 도시 하수 시스템으로 방출 pH가 2.5인 산성 폐수 500 m3/day를 도시 하수 시스템으로 방출하는 공장이 있다. 도시 하수의 유량은.. 2023. 9. 19.
아세틸렌 1 mol당 1300 kJ 발생. 물 1 갤런 15.0℃ 상승 아세틸렌 1 mol당 1300 kJ 발생. 물 1 갤런 15.0℃ 상승 물 200 g에 어떤 고체 용질 X a g을 녹여 용액을 만들었다 아세틸렌을 완전 연소시키면 아세틸렌 1 mol당 1300 kJ의 에너지가 발생한다. 물 1 갤런의 온도를 15.0℃ 올릴 수 있는 열을 발생시키기 위해서 연소시켜야 하는 아세틸렌의 질량을 구하시오. 이 과정의 열효율은 90.0%이며, 물의 밀도는 1.00 g/mL라고 가정한다. (1 갤런 = 3.785 L) --------------------------------------------------- 답: 약 5.3 g [해설] [Blogger 블로그스팟] [ https://ywpop.blogspot.com/2023/09/1-mol-1300-kj-1-150.html ] .. 2023. 9. 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