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공학&기술2504

전국대학 학과정보 전국대학 학과정보 --------------------------------------------------- ▶ 네이버 커리어넷 학과정보[ https://terms.naver.com/list.nhn?cid=44346&categoryId=44346 ] [ 커리어넷 학과정보: 환경공학과 ] [키워드] 대학교 학과정보 기준문서, 화학과 기준문서, 화학과 정보 기준문서, 학과 개설대학 기준문서, 학과 목록 기준문서 2020. 3. 20.
수질 오염원의 종류. 수질 오염의 종류 수질 오염원의 종류. 수질 오염의 종류 --------------------------------------------------- ▶ 수질 오염원의 종류> 생활하수 (58.3%)> 산업폐수 (41.2%)> 농•축산폐수 (0.5%) ▶ 생활하수 중 수질 오염물질의 종류> 일반오염물질: 부유물질(SS), 휘발성 유기화합물(VOCs), 계면활성제> 독성오염물질: 벤젠, 다이옥신, 톨루엔, 트리클로로에틸렌, 크실렌> 중금속 및 금속류: 비소, 바륨, 카드뮴, 크롬, 납, 니켈, 수은> 병원성 미생물: 원생동물, 박테리아, 바이러스 2020. 3. 19.
0.1 N Na2S2O3 용액 100 mL에 증류수를 가해 500 mL로 0.1 N Na2S2O3 용액 100 mL에 증류수를 가해 500 mL로 0.1 N Na2S2O3 용액 100 mL에 증류수를 가해 500 mL로 한 다음, 여기서 250 mL을 취하여 다시 증류수로 전량 500 mL로 하면 용액의 규정농도(N)는? ① 0.01 ② 0.02 ③ 0.04 ④ 0.05 --------------------------------------------------- 0.1 N Na2S2O3 용액 100 mL에 들어있는 Na2S2O3의 eq수를 계산하면, (0.1 eq/L) × 0.100 L = 0.01 eq Na2S2O3 ( 참고 https://ywpop.tistory.com/7787 ) 처음 500 mL로 한 용액의 노르말농도를 계산하면, 노르말농도 = 용질 eq수 / 용액 L.. 2020. 3. 16.
폐슬러지 배출량(m3/day) 계산 폐슬러지 배출량(m3/day) 계산 > 포기조 용적(∀): 10000 m3> 포기조 MLSS 농도(X): 3000 mg/L> SRT: 3 day> 폐슬러지 함수율: 99%> 유출수 SS 농도는 무시. --------------------------------------------------- 폐슬러지 함수율: 99% 이므로,---> 고형물(X_w)의 양: 1% (1 g / 100 g) × 100 = 1%(1 g / 100 g) × 10^6 = 10000 ppm1% = 10000 ppm = 10000 mg/L = 10^4 mg/L( 참고 https://ywpop.tistory.com/5345 ) SRT = [∀ • X] / [Q_w • X_w] 배출량, Q_w = [∀ • X] / [SRT • X_w]= .. 2020. 3. 16.
질산나트륨의 용해도. 80℃ 포화용액 100 g을 70 g으로 농축 질산나트륨의 용해도. 80℃ 포화용액 100 g을 70 g으로 농축 질산나트륨의 물 100 g에 대한 용해도는 80℃에서 148 g, 20℃에서 88 g이다. 80℃의 포화용액 100 g을 70 g으로 농축시켜서 20℃로 냉각시키면, 약 몇 g의 질산나트륨이 석출되는가? 질산나트륨의 물 100g에 대한 용해도는 80℃에서 148g, 20℃에서 88g이다. 80℃의 포화용액 100g을 70g으로 농축시켜서 20℃로 냉각시키면, 약 몇 g의 질산나트륨이 석출되는가? --------------------------------------------------- ▶ 고체의 용해도의 정의: 포화 용액에서, 용매 100 g당 용질의 g수 ( 참고 https://ywpop.tistory.com/7320 ) 80℃의 용.. 2020. 3. 11.
수소 5 g 산소 24 g 연소 수증기 0℃, 1기압에서 몇 L 수소 5 g 산소 24 g 연소 수증기 0℃, 1기압에서 몇 L 수소 5g 과 산소 24g 의 연소반응 결과 생성된 수증기는 0℃, 1기압에서 몇 L 인가? ① 11.2 ② 16.8 ③ 33.6 ④ 44.8 --------------------------------------------------- H2의 몰질량 = 2 g/mol 이므로, H2 5 g의 몰수 = 5 g / (2 g/mol) = 2.5 mol H2 ( 참고 https://ywpop.tistory.com/7738 ) O2 24 g의 몰수 = 24 g / (32 g/mol) = 0.75 mol O2 연소 반응식 2H2 + O2 → 2H2O H2 : O2 = 2 : 1 계수비(= 몰수비) 이므로, 2.5 mol H2와 반응하는 O2의 몰수를 계.. 2020. 3. 11.
산소 120 kg 20℃ 125 kgf/cm2 용기 내용적은 몇 L 산소 120 kg 20℃ 125 kgf/cm2 용기 내용적은 몇 L 산소 용기에 산소 120 kg이 들어있을 때 20℃에서의 절대압력이 125 kgf/cm2이었다면 용기의 내용적은 몇 L인가? 산소 용기에 산소 120 kg이 들어있을 때 20℃에서의 절대압력이 125 kgf/cm2이었다면 용기의 내용적은 몇 L인가? (단, 산소의 가스정수는 26.5로 한다.) --------------------------------------------------- 1 atm = 1.033 kg/cm2 ( 참고 https://ywpop.tistory.com/9917 ) PV = nRT 로부터, ( 참고 https://ywpop.tistory.com/3097 ) 부피를 계산하면, V = nRT / P = (120000/.. 2020. 3. 11.
Na2CO3*10H2O 20 g을 취하여 180 g의 물에 녹인 수용액 Na2CO3*10H2O 20 g을 취하여 180 g의 물에 녹인 수용액     Na2CO3*10H2O 20 g을 취하여 180 g의 물에 녹인 수용액은약 몇 wt%의 Na2CO3 용액이 되는가?(단, Na의 원자량은 23)       결정수를 포함하는 수화물의 질량 백분율을 계산할 때는수화물에서 결정수의 질량을 빼주어야 한다.( 참고: 수화물 https://ywpop.tistory.com/6536 )   왜냐하면 수화물을 용매인 물에 용해시키면,즉 수용액에서 “결정수 = 용매”이기 때문이다.       Na2CO3의 화학식량= 2(Na) + (C) + 3(O)= 2(23) + (12) + 3(16)= 106       Na2CO3*10H2O의 화학식량= 106 + 10(H2O)= 106 + 10.. 2020. 3. 10.
국가별 오존 농도 조회 사이트 국가별 오존 농도 조회 사이트 --------------------------------------------------- [1] The State of Global Air website[ https://www.stateofglobalair.org/data/#/air/map ] [2] Our World in Data[ https://ourworldindata.org/grapher/ozone-o3-concentration-in-ppb ] [키워드] 오존 기준문서, global ozone 기준문서, 글로벌 오존 농도 기준문서, 세계 오존 농도 기준문서, 나라별 오존 농도 기준문서 2020. 3. 9.
어떤 하천의 BOD_5가 250 mg/L, BOD_u가 500 mg/L 어떤 하천의 BOD_5가 250 mg/L, BOD_u가 500 mg/L 어떤 하천의 5일 BOD가 250 mg/L이고 최종 BOD가 500 mg/L이다. 이 하천의 탈산소계수(상용대수)는? --------------------------------------------------- ▶ 참고: BOD 소비식과 BOD 잔존식 [ https://ywpop.tistory.com/10437 ] --------------------------------------------------- BOD_t = BOD_u [1 – 10^(–k•t)] 250 = 500 [1 – 10^(–k•5)] 250/500 = 1 – 10^(–k•5) 10^(–k•5) = 1 – 250/500 –k•5 = log(1 – 250/500) k.. 2020. 3. 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