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공학&기술2498

수소 2.24 L가 염소와 완전 반응, 염화수소의 부피(L) 수소 2.24 L가 염소와 완전 반응, 염화수소의 부피(L)     수소 2.24 L가 염소와 완전히 반응했다면표준상태에서 생성한 염화수소의 부피는 몇 L가 되는가?     표준상태를 기준으로 수소 2.24 L가 염소와 완전히 반응했다면생성된 염화수소의 부피는 몇 L인가?     표준상태를 기준으로 수소 2.24L 가 염소와 완전히 반응했다면생성된 염화수소의 부피는 몇 L 인가?① 2.24② 4.48③ 22.4④ 44.8       균형 맞춘 반응식H2(g) + Cl2(g) → 2HCl(g)       H2 : HCl = 1 : 2 계수비(= 몰수비 = 부피비) 이므로,( 참고 https://ywpop.tistory.com/8512 )   즉, HCl의 부피는 H2의 2배이므로,2 × 2.24 .. 2020. 4. 4.
혼합 BOD. BOD 10 mg/L 하수처리장 유출수 50000 m3/day 방출 혼합 BOD. BOD 10 mg/L 하수처리장 유출수 50000 m3/day 방출 BOD 10 mg/L인 하수처리장 유출수가 50000 m3/day로 방출되고 있다.하수가 방출되기 전에 하천의 BOD는 3 mg/L이며 유량은 5.8 m3/sec이다.방출된 하수가 하천수에 의해 완전 혼합된다고 한다면혼합지점에서의 BOD(mg/L) 농도는? --------------------------------------------------- (5.8 m^3/sec) × (3600 sec / 1 hr) = 20880 m^3/hr (A의 농도 × A의 유량) + (B의 농도 × B의 유량) = C의 농도 × C의 유량( 식 설명 https://ywpop.tistory.com/10012 ) (10 × 50000) + (3.. 2020. 3. 31.
진공도. 대기압 750 mmHg일 때 500 mmHg 진공 진공도. 대기압 750 mmHg일 때 500 mmHg 진공 대기압이 750 mmHg일 때 500 mmHg의 진공은 절대압력으로 몇 atm이며, 진공도는 얼마인가? --------------------------------------------------- 절대압력 = 대기압력 – 진공압력( 식 설명 https://ywpop.tistory.com/6964 )= 750 – 500 – 250 mmHg 250 mmHg × (1 atm / 760 mmHg) = 0.329 atm 진공도 = (500 / 750) × 100 = 66.7%( 식 설명 https://ywpop.tistory.com/13393 ) [키워드] 절대압력 기준문서, 진공도 기준문서 2020. 3. 28.
진공도가 25%인 용기안의 절대압력(mmHg) 진공도가 25%인 용기안의 절대압력(mmHg) 진공도가 25%인 용기안의 절대압력은 몇 mmHg인가?(단, 대기압은 1 atm) --------------------------------------------------- ▶ 진공도> 대기압을 기준으로 진공압력을 비교한 값> 대기압을 0%, 완전 진공을 100%로 기준.> 진공도 공식 = (진공압력 / 대기압력) × 100 진공압력 = 760 mmHg × (25/100) = 190 mmHg= 진공 게이지의 계기압력 [검산]진공도(%) = (진공압력 / 대기압력) × 100= (190 / 760) × 100 = 25% 진공일 경우,절대압력 = 대기압력 – 계기압력( 식 설명 https://ywpop.tistory.com/6964 )= 760 – 190 = .. 2020. 3. 28.
전국대학 학과정보 전국대학 학과정보 --------------------------------------------------- ▶ 네이버 커리어넷 학과정보[ https://terms.naver.com/list.nhn?cid=44346&categoryId=44346 ] [ 커리어넷 학과정보: 환경공학과 ] [키워드] 대학교 학과정보 기준문서, 화학과 기준문서, 화학과 정보 기준문서, 학과 개설대학 기준문서, 학과 목록 기준문서 2020. 3. 20.
수질 오염원의 종류. 수질 오염의 종류 수질 오염원의 종류. 수질 오염의 종류 --------------------------------------------------- ▶ 수질 오염원의 종류> 생활하수 (58.3%)> 산업폐수 (41.2%)> 농•축산폐수 (0.5%) ▶ 생활하수 중 수질 오염물질의 종류> 일반오염물질: 부유물질(SS), 휘발성 유기화합물(VOCs), 계면활성제> 독성오염물질: 벤젠, 다이옥신, 톨루엔, 트리클로로에틸렌, 크실렌> 중금속 및 금속류: 비소, 바륨, 카드뮴, 크롬, 납, 니켈, 수은> 병원성 미생물: 원생동물, 박테리아, 바이러스 2020. 3. 19.
0.1 N Na2S2O3 용액 100 mL에 증류수를 가해 500 mL로 0.1 N Na2S2O3 용액 100 mL에 증류수를 가해 500 mL로 0.1 N Na2S2O3 용액 100 mL에 증류수를 가해 500 mL로 한 다음, 여기서 250 mL을 취하여 다시 증류수로 전량 500 mL로 하면 용액의 규정농도(N)는? ① 0.01 ② 0.02 ③ 0.04 ④ 0.05 --------------------------------------------------- 0.1 N Na2S2O3 용액 100 mL에 들어있는 Na2S2O3의 eq수를 계산하면, (0.1 eq/L) × 0.100 L = 0.01 eq Na2S2O3 ( 참고 https://ywpop.tistory.com/7787 ) 처음 500 mL로 한 용액의 노르말농도를 계산하면, 노르말농도 = 용질 eq수 / 용액 L.. 2020. 3. 16.
폐슬러지 배출량(m3/day) 계산 폐슬러지 배출량(m3/day) 계산 > 포기조 용적(∀): 10000 m3> 포기조 MLSS 농도(X): 3000 mg/L> SRT: 3 day> 폐슬러지 함수율: 99%> 유출수 SS 농도는 무시. --------------------------------------------------- 폐슬러지 함수율: 99% 이므로,---> 고형물(X_w)의 양: 1% (1 g / 100 g) × 100 = 1%(1 g / 100 g) × 10^6 = 10000 ppm1% = 10000 ppm = 10000 mg/L = 10^4 mg/L( 참고 https://ywpop.tistory.com/5345 ) SRT = [∀ • X] / [Q_w • X_w] 배출량, Q_w = [∀ • X] / [SRT • X_w]= .. 2020. 3. 16.
질산나트륨의 용해도. 80℃ 포화용액 100 g을 70 g으로 농축 질산나트륨의 용해도. 80℃ 포화용액 100 g을 70 g으로 농축 질산나트륨의 물 100 g에 대한 용해도는 80℃에서 148 g, 20℃에서 88 g이다. 80℃의 포화용액 100 g을 70 g으로 농축시켜서 20℃로 냉각시키면, 약 몇 g의 질산나트륨이 석출되는가? 질산나트륨의 물 100g에 대한 용해도는 80℃에서 148g, 20℃에서 88g이다. 80℃의 포화용액 100g을 70g으로 농축시켜서 20℃로 냉각시키면, 약 몇 g의 질산나트륨이 석출되는가? --------------------------------------------------- ▶ 고체의 용해도의 정의: 포화 용액에서, 용매 100 g당 용질의 g수 ( 참고 https://ywpop.tistory.com/7320 ) 80℃의 용.. 2020. 3. 11.
수소 5 g 산소 24 g 연소 수증기 0℃, 1기압에서 몇 L 수소 5 g 산소 24 g 연소 수증기 0℃, 1기압에서 몇 L 수소 5g 과 산소 24g 의 연소반응 결과 생성된 수증기는 0℃, 1기압에서 몇 L 인가? ① 11.2 ② 16.8 ③ 33.6 ④ 44.8 --------------------------------------------------- H2의 몰질량 = 2 g/mol 이므로, H2 5 g의 몰수 = 5 g / (2 g/mol) = 2.5 mol H2 ( 참고 https://ywpop.tistory.com/7738 ) O2 24 g의 몰수 = 24 g / (32 g/mol) = 0.75 mol O2 연소 반응식 2H2 + O2 → 2H2O H2 : O2 = 2 : 1 계수비(= 몰수비) 이므로, 2.5 mol H2와 반응하는 O2의 몰수를 계.. 2020. 3. 1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