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공학&기술/위험물기사549 0.01 M 아세트산 용액의 전리도와 pH 0.01 M 아세트산 용액의 전리도와 pH0.01 M CH3COOH 용액의 전리도와 pH 0.01 M CH3COOH 용액의 pH는?(단, CH3COOH의 전리도 = 0.01) 0.01N CH3COOH의 전리도가 0.01이면 pH는 얼마인가? ---------------------------------------------------▶ 참고: 이온화도(α) = [H^+]_평형 / [HA]_초기[ https://ywpop.tistory.com/3146 ]--------------------------------------------------- [참고] 0.01 N CH3COOH 용액 = 0.01 M CH3COOH 용액CH3COOH의 당량수 = 1 eq/mol 이므로,( 참고: 당량.. 2018. 5. 17. [위험물기능사] 탄소 100 kg 완전 연소에 필요한 공기의 부피 [위험물기능사] 탄소 100 kg 완전 연소에 필요한 공기의 부피 탄소 100 kg을 완전 연소 시키려면표준 상태에서 몇 m3의 공기가 필요한지 구하시오.(단, 공기는 질소 79 vol%, 산소 21 vol%로 되어있다.) 탄소 100 kg의 몰수를 계산하면,100000 g / (12 g/mol) = 8333.3333 mol C( 참고 https://ywpop.tistory.com/7738 ) 탄소 연소 반응식C + O2 → CO2 C : O2 = 1 : 1 계수비(= 몰수비) 이므로,8333.3333 mol C 연소에 필요한O2의 몰수 = 8333.3333 mol 기술계 쪽에선, 표준 상태 = STP 이므로,( 참고 https://ywpop.tisto.. 2018. 1. 29. 프로판 가스 1 kg 완전 연소에 필요한 이론공기량 프로판 가스 1 kg 완전 연소에 필요한 이론공기량 [문제 1] 프로판 가스 1 kg 완전연소에 필요한 공기의 부피 [문제 2] 프로판 가스 1 kg 완전연소에 필요한 산소의 부피 프로판가스 1 kg을 완전 연소시킬 때 필요한 이론공기량은 약 몇 Nm3인가?(단, 공기 중 산소는 21 v %이다.) C3H8의 몰질량 = 3(12) + 8(1) = 44 g/mol 이므로,1 mol = 44 g STP 조건에서 기체 1 mol의 부피 = 22.414 L 이므로,1 mol = 22.414 L( 참고 https://ywpop.tistory.com/8321 ) 이 문제에선 Sm3와 Nm3를 구분하지 않고 사용함.( Sm3, Nm3 설명 https://y.. 2018. 1. 24. 0℃ 얼음 10 g을 100℃ 수증기로 (cal) 열용량과 비열. 0℃ 얼음 10 g을 100℃ 수증기로 0℃ 얼음 10 g을 100℃ 수증기로 바꾸는데 필요한 열(량)은 얼마인가? 0℃의 얼음 10g 을 모두 수증기로 변화시키려면 약 몇 cal의 열량이 필요한가? ① 6190cal ② 6390cal ③ 6890cal ④ 7190cal --------------------------------------------------- ▶ 참고: 열용량과 비열 [ https://ywpop.tistory.com/2897 ] --------------------------------------------------- ▶ 얼음의 비열 = 0.5 cal/g•℃ ▶ 물의 비열 = 1 cal/g•℃ ▶ 수증기의 비열 = 0.24 cal/g•℃ ( 참고: 수증기의 비열 ht.. 2018. 1. 5. 98% H2SO4 시약 50 g에 포함된 산소 원자의 개수 98% H2SO4 시약 50 g에 포함된 산소 원자의 개수 98% H2SO4 용액 50 g에 포함된 산소 원자의 개수는? 98% H2SO4 50g에서 H2SO4에 포홤된 산소 원자수는? ① 3×10^23 개 ② 6×10^23 개 ③ 9×10^23 개 ④ 1.2×10^23 개 --------------------------------------------------- 98% H2SO4 용액이란? 만약 용액이 100 g 있다면, 이 속에 H2SO4는 98 g 있다는 뜻. ( 참고: %농도 https://ywpop.tistory.com/2656 ) 그렇다면, 50 g 용액 속에는 몇 g H2SO4가 있을까? 를 비례식으로 계산하면, 용액 : H2SO4 = 100 g : 98 g = 50 g : ? g ? = .. 2017. 12. 27. 수소 1.2몰 염소 2몰 반응 생성되는 염화수소 몰수 수소 1.2몰 염소 2몰 반응 생성되는 염화수소 몰수 수소 1.2몰과 염소 2몰이 반응할 경우 생성되는 염화수소의 몰수는?① 1.2② 2③ 2.4④ 4.8 균형 맞춘 반응식H2 + Cl2 → 2HCl H2 : Cl2 = 1 : 1 계수비(= 몰수비) 이므로,몰수가 작은 H2가 한계 반응물.( 참고: 한계 반응물 https://ywpop.tistory.com/3318 ) H2 : HCl = 1 : 2 계수비(= 몰수비) 이므로,H2 1.2몰이 반응하면, 생성되는 HCl의 몰수는H2 : HCl = 1 : 2 = 1.2몰 : ?몰? = 2 × 1.2 = 2.4몰 답: ③ 2.4 [ 같은 글 https://ywpop.blogspo.. 2017. 12. 15. NaOH 1 g이 250 mL 메스플라스크에 녹아있을 때 NaOH 1 g이 250 mL 메스플라스크에 녹아있을 때 NaOH 1 g이 250 mL 메스플라스크에 녹아있을 때 NaOH 수용액의 노르말농도는? NaOH 1g이 250mL 메스플라스크에 녹아 있을 때 NaOH 수용액의 농도는? --------------------------------------------------- NaOH의 몰질량 = 40 g/mol 이므로, NaOH 1 g의 몰수를 계산하면, 1 g / (40 g/mol) = 0.025 mol ( 참고 https://ywpop.tistory.com/7738 ) 몰농도 = 용질 mol수 / 용액 L수 ( 참고 https://ywpop.tistory.com/3222 ) = 0.025 mol / 0.250 L = 0.1 M NaOH의 당량수 = 1 e.. 2017. 12. 13. 전기분해의 화학량론. CuSO4 수용액 63.5 g 구리 10 A 몇 시간 전기분해의 화학량론. CuSO4 수용액 63.5 g 구리 10 A 몇 시간 황산구리 수용액을 Pt 전극을 써서 전기분해하여 음극에서 63.5 g의 구리를 얻고자 한다. 10 A의 전류를 약 몇 시간 흐르게 하여야 하는가? 황산구리 수용액을 전기분해하여 음극에서 63.54 g의 구리를 얻고자 한다. 10 A의 전류를 흐르게 하면 전기분해에는 약 몇 시간이 소요되겠는가? (단, 구리의 원자량은 63.54) 즉, 얻고자 하는 구리의 질량 = 구리의 원자량(몰질량) --------------------------------------------------- ▶ Cu의 몰질량 = 63.55 g/mol ≒ 63.5 g/mol ▶ 구리의 환원반응 Cu^2+(aq) + 2e^- → Cu(s) (전하량) (1 / Far.. 2017. 10. 22. 비전해질 12 g 물 60.0 g 용액이 –1.88℃ 빙점 강하 비전해질 12 g 물 60.0 g 용액이 –1.88℃ 빙점 강하 어떤 비전해질 12 g을 물 60.0 g에 녹였다. 이 용액이 –1.88℃의 빙점 강하를 보였을 때, 이 물질의 분자량을 구하면? (단, 물의 몰랄 어는점 내림 상수, Kf = 1.86 ℃/m이다.) 어떤 비전해질 12g 을 물 60.0g 에 녹였다. 이 용액이 –1.88℃ 의 빙점 강하를 보였을 때 이 물질의 분자량을 구하면? (단, 물의 몰랄 어는점 내림 상수 Kf=1.86℃/m 이다.) ① 297 ② 202 ③ 198 ④ 165 --------------------------------------------------- 어는점내림 공식으로 용액의 몰랄농도(m)를 계산하면, ΔTf = Kf × m ( 참고 https://ywpop.tis.. 2017. 10. 20. 탄화칼슘 32 g이 물과 반응하여 생성되는 기체 탄화칼슘 32 g이 물과 반응하여 생성되는 기체 탄화칼슘 32 g이 물과 반응하여 생성되는 기체가완전연소하기 위한 산소의 부피(L)를 구하시오. CaC2의 몰질량 = 64.10 g/mol ≒ 64 g/mol 이므로,탄화칼슘 32 g의 몰수를 계산하면,32 g / (64 g/mol) = 0.5 mol CaC2( 참고 https://ywpop.tistory.com/7738 ) 탄화칼슘과 물의 반응식에서,CaC2 + 2H2O → Ca(OH)2 + C2H2 CaC2 : C2H2 = 1 : 1 계수비(= 몰수비) 이므로,0.5 mol CaC2 반응 시,생성되는 아세틸렌의 몰수 = 0.5 mol C2H2 아세틸렌의 연소 반응식에서,2C2H2 + 5O2 → 4CO2.. 2017. 9. 19. 이전 1 ··· 50 51 52 53 54 55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