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공학&기술/위험물기사540

전기분해의 화학량론. CuSO4 수용액 63.5 g 구리 10 A 몇 시간 전기분해의 화학량론. CuSO4 수용액 63.5 g 구리 10 A 몇 시간 황산구리 수용액을 Pt 전극을 써서 전기분해하여 음극에서 63.5 g의 구리를 얻고자 한다. 10 A의 전류를 약 몇 시간 흐르게 하여야 하는가? 황산구리 수용액을 전기분해하여 음극에서 63.54 g의 구리를 얻고자 한다. 10 A의 전류를 흐르게 하면 전기분해에는 약 몇 시간이 소요되겠는가? (단, 구리의 원자량은 63.54) 즉, 얻고자 하는 구리의 질량 = 구리의 원자량(몰질량) --------------------------------------------------- ▶ Cu의 몰질량 = 63.55 g/mol ≒ 63.5 g/mol ▶ 구리의 환원반응 Cu^2+(aq) + 2e^- → Cu(s) (전하량) (1 / Far.. 2017. 10. 22.
비전해질 12 g 물 60.0 g 용액이 –1.88℃ 빙점 강하 비전해질 12 g 물 60.0 g 용액이 –1.88℃ 빙점 강하 어떤 비전해질 12 g을 물 60.0 g에 녹였다. 이 용액이 –1.88℃의 빙점 강하를 보였을 때, 이 물질의 분자량을 구하면? (단, 물의 몰랄 어는점 내림 상수, Kf = 1.86 ℃/m이다.) 어떤 비전해질 12g 을 물 60.0g 에 녹였다. 이 용액이 –1.88℃ 의 빙점 강하를 보였을 때 이 물질의 분자량을 구하면? (단, 물의 몰랄 어는점 내림 상수 Kf=1.86℃/m 이다.) ① 297 ② 202 ③ 198 ④ 165 --------------------------------------------------- 어는점내림 공식으로 용액의 몰랄농도(m)를 계산하면, ΔTf = Kf × m ( 참고 https://ywpop.tis.. 2017. 10. 20.
난용성염의 용해도와 용해도곱상수. Cd(OH)2 난용성염의 용해도와 용해도곱상수. Cd(OH)2 25℃에서 Cd(OH)2 염의 몰용해도는 1.7×10^(-5) mol/L이다. Cd(OH)2 염의 용해도곱상수, Ksp를 구하면 약 얼마인가? 25℃에서 Cd(OH)2 염의 물용해도는 1.7×10-5mol/L 다. Cd(OH)2염의 용해도곱상수, Ksp를 구하면 약 얼마인가? ① 2.0×10-14 ② 2.2×10-12 ③ 2.4×10-10 ④ 2.6×10-8 --------------------------------------------------- ▶ 참고: 용해도곱 상수, Ksp [ https://ywpop.tistory.com/2966 ] Cd(OH)2(s) ⇌ Cd^2+(aq) + 2OH^-(aq) [Cd(OH)2] = [Cd^2+] = 1.7×10.. 2017. 9. 19.
1기압 27℃에서 아세톤 58 g의 부피 1기압 27℃에서 아세톤 58 g의 부피 1기압 27℃에서 아세톤 58 g을 완전히 기화시키면 부피는 약 몇 L가 되는가? (단, 아세톤의 몰질량 = 58 g/mol) ① 22.4 ② 24.6 ③ 27.4 ④ 58.0 --------------------------------------------------- 아세톤 58 g의 몰수를 계산하면 58 g / (58 g/mol) = 1 mol 이상기체방정식, PV = nRT ( 참고 https://ywpop.tistory.com/3097 ) V = nRT / P = (1) (0.08206) (273.15+27) / (1) = 24.63 L 답: ② 24.6 2017. 9. 15.
96% 황산과 60% 황산으로 80% 황산 100 kg 만들기 96% 황산과 60% 황산으로 80% 황산 100 kg 만들기 96 wt% H2SO4(A)와 60 wt% H2SO4(B)를 혼합하여 80 wt% H2SO4 100 kg을 만들려 한다. 각각 몇 kg씩 혼합하여야 하는가? 96wt% H2SO4(A)와 60wt% H2SO4(B)를 혼합하여 80wt% H2SO4 100kg 만들려고 한다. 각각 몇 kg 씩 혼합하여야 하는가? ① A : 30, B : 70 ② A : 44.4, B : 55.6 ③ A : 55.6, B : 44.4 ④ A : 70, B : 30 --------------------------------------------------- 중학교 2학년 1학기 수학, 연립방정식의 활용 문제이군요. ( 관련 예제 https://ywpop.tistory.. 2017. 9. 10.
KMnO4에서 Mn의 산화수 KMnO4에서 Mn의 산화수 다음 중 KMnO4의 Mn의 산화수는? --------------------------------------------------- KMnO4의 이온화 반응식 KMnO4(aq) → K^+(aq) + MnO4^-(aq) MnO4 원자단 전체의 산화수 = 이온전하 = –1 이므로, 넘버 2인 산소의 산화수를 먼저 적용하여 망간의 산화수를 계산하면, ( 참고: 산화수 규칙 https://ywpop.tistory.com/2719 ) (Mn) + 4(O) = –1 (Mn) + 4(–2) = –1 따라서 망간의 산화수는 Mn = +7. 또는 KMnO4 에서, K의 산화수 = +1 (넘버 1) 이고, O의 산화수 = –2 (넘버 3) 이므로, (K) + (Mn) + 4(O) = 0 (+1.. 2017. 9. 1.
황산구리 결정 CuSO4•5H2O 25 g을 100 g의 물에 녹였을 때 wt% 농도 황산구리 결정 CuSO4•5H2O 25 g을 100 g의 물에 녹였을 때 wt% 농도 물 100 g에 황산구리 결정 (CuSO4•5H2O) 25 g을 넣으면 몇 % 용액이 되는가? 황산구리 결정 CuSO4•5H2O 25 g을 100 g의 물에 녹였을 때 몇 wt% 농도의 황산구리(CuSO4) 수용액이 되는가? (단, Cu=63.5 O=16 S=32 H=1) 황산구리 결정 CuSO4ㆍ5H2O 25g을 100g의 물에 녹였을 때 몇 wt% 농도의 황산구리(CuSO4) 수용액이 되는가? (단, CuSO4 분자량은 160 이다.) --------------------------------------------------- > CuSO4의 질량 = 63.5 + 32 + 4(16) = 159.5 g > CuSO4*.. 2017. 5. 4.
산소의 산화수가 가장 큰 것. O2 산소의 산화수가 가장 큰 것. O2 산소의 산화수가 가장 큰 것은? ① O2 ② KClO4 ③ H2SO4 ④ H2O2 --------------------------------------------------- ▶ 참고: 산화수 구하는 방법 [ https://ywpop.tistory.com/2719 ] ▶ 참고: 산소의 산화수 [ https://ywpop.tistory.com/7965 ] --------------------------------------------------- 산소의 산화수는 O2, O3와 같은 원소일 때 0이고, 화합물에서는 –1, –2 와 같이 음수이므로, 이런 문제는 그냥, 무조건, 원소 상태의 산소를 고르면 된다. ① O2 ---> 0 (원소) ② KClO4 ---> –2 (화.. 2017. 4. 25.
금속의 원자가가 2가라면, 이 금속의 원자량은 금속의 원자가가 2가라면, 이 금속의 원자량은 n 그램(g)의 금속을 묽은 염산에 완전히 용해시켰더니 m 몰(mol)의 수소 기체(H2)가 발생하였다. 이 금속의 원자가가 2가라면, 이 금속의 원자량은? n 그램(g)의 금속을 묽은 염산에 완전히 녹였더니 m 몰의 수소가 발생하였다. 이 금속의 원자가를 2가로 하면 이 금속의 원자량은? ① n/m ② (2n)/m ③ n/(2m) ④ (2m)/n --------------------------------------------------- 원자 및 이온의 당량수 = 원자가(하전수) 이므로, ( 참고 https://ywpop.tistory.com/4105 ) 또는 금속의 원자가가 2가 ---> M^2+ 이므로, 균형 맞춘 화학 반응식은 다음과 같다. M + 2.. 2017. 4. 19.
30% 염산(비중 1.1) 용액의 몰농도 30% 염산(비중 1.1) 용액의 몰농도 --------------------------------------------------- [% → M] 변환공식으로, 간단히 30% HCl의 몰농도를 계산하면, 몰농도 = (wt% / 몰질량) × 10 × 밀도 = (30 / 36.46) × 10 × 1.1 = 9.051 M ( 참고 https://ywpop.tistory.com/4241 ) 또는 30% 염산 용액이 100 g 있다고 가정하면, 30 g 염산 + 70 g 물 = 100 g 염산 용액 HCl의 몰질량 = 36.46 g/mol 이므로, 30 g 염산의 mol수 = 30 g / (36.46 g/mol) = 0.8228 mol 100 g 용액의 L수 = 100 g / (1.1 g/mL) = 90.909.. 2017. 2. 1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