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공학&기술/위험물기사548

1기압 27℃에서 아세톤 58 g의 부피 1기압 27℃에서 아세톤 58 g의 부피 1기압 27℃에서 아세톤 58 g을 완전히 기화시키면 부피는 약 몇 L가 되는가? (단, 아세톤의 몰질량 = 58 g/mol) ① 22.4 ② 24.6 ③ 27.4 ④ 58.0 --------------------------------------------------- 아세톤 58 g의 몰수를 계산하면 58 g / (58 g/mol) = 1 mol 이상기체방정식, PV = nRT ( 참고 https://ywpop.tistory.com/3097 ) V = nRT / P = (1) (0.08206) (273.15+27) / (1) = 24.63 L 답: ② 24.6 2017. 9. 15.
96% 황산과 60% 황산으로 80% 황산 100 kg 만들기 96% 황산과 60% 황산으로 80% 황산 100 kg 만들기 96 wt% H2SO4(A)와 60 wt% H2SO4(B)를 혼합하여 80 wt% H2SO4 100 kg을 만들려 한다. 각각 몇 kg씩 혼합하여야 하는가? 96wt% H2SO4(A)와 60wt% H2SO4(B)를 혼합하여 80wt% H2SO4 100kg 만들려고 한다. 각각 몇 kg 씩 혼합하여야 하는가? ① A : 30, B : 70 ② A : 44.4, B : 55.6 ③ A : 55.6, B : 44.4 ④ A : 70, B : 30 --------------------------------------------------- 중학교 2학년 1학기 수학, 연립방정식의 활용 문제이군요. ( 관련 예제 https://ywpop.tistory.. 2017. 9. 10.
KMnO4에서 Mn의 산화수 KMnO4에서 Mn의 산화수 다음 중 KMnO4의 Mn의 산화수는? --------------------------------------------------- KMnO4의 이온화 반응식 KMnO4(aq) → K^+(aq) + MnO4^-(aq) MnO4 원자단 전체의 산화수 = 이온전하 = –1 이므로, 넘버 2인 산소의 산화수를 먼저 적용하여 망간의 산화수를 계산하면, ( 참고: 산화수 규칙 https://ywpop.tistory.com/2719 ) (Mn) + 4(O) = –1 (Mn) + 4(–2) = –1 따라서 망간의 산화수는 Mn = +7. 또는 KMnO4 에서, K의 산화수 = +1 (넘버 1) 이고, O의 산화수 = –2 (넘버 3) 이므로, (K) + (Mn) + 4(O) = 0 (+1.. 2017. 9. 1.
황산구리 결정 CuSO4•5H2O 25 g을 100 g의 물에 녹였을 때 wt% 농도 황산구리 결정 CuSO4•5H2O 25 g을 100 g의 물에 녹였을 때 wt% 농도 물 100 g에 황산구리 결정 (CuSO4•5H2O) 25 g을 넣으면 몇 % 용액이 되는가? 황산구리 결정 CuSO4•5H2O 25 g을 100 g의 물에 녹였을 때 몇 wt% 농도의 황산구리(CuSO4) 수용액이 되는가? (단, Cu=63.5 O=16 S=32 H=1) 황산구리 결정 CuSO4ㆍ5H2O 25g을 100g의 물에 녹였을 때 몇 wt% 농도의 황산구리(CuSO4) 수용액이 되는가? (단, CuSO4 분자량은 160 이다.) --------------------------------------------------- > CuSO4의 질량 = 63.5 + 32 + 4(16) = 159.5 g > CuSO4*.. 2017. 5. 4.
산소의 산화수가 가장 큰 것. O2 산소의 산화수가 가장 큰 것. O2 산소의 산화수가 가장 큰 것은? ① O2 ② KClO4 ③ H2SO4 ④ H2O2 --------------------------------------------------- ▶ 참고: 산화수 구하는 방법 [ https://ywpop.tistory.com/2719 ] ▶ 참고: 산소의 산화수 [ https://ywpop.tistory.com/7965 ] --------------------------------------------------- 산소의 산화수는 O2, O3와 같은 원소일 때 0이고, 화합물에서는 –1, –2 와 같이 음수이므로, 이런 문제는 그냥, 무조건, 원소 상태의 산소를 고르면 된다. ① O2 ---> 0 (원소) ② KClO4 ---> –2 (화.. 2017. 4. 25.
금속의 원자가가 2가라면, 이 금속의 원자량은 금속의 원자가가 2가라면, 이 금속의 원자량은 n 그램(g)의 금속을 묽은 염산에 완전히 용해시켰더니 m 몰(mol)의 수소 기체(H2)가 발생하였다. 이 금속의 원자가가 2가라면, 이 금속의 원자량은? n 그램(g)의 금속을 묽은 염산에 완전히 녹였더니 m 몰의 수소가 발생하였다. 이 금속의 원자가를 2가로 하면 이 금속의 원자량은? ① n/m ② (2n)/m ③ n/(2m) ④ (2m)/n --------------------------------------------------- 원자 및 이온의 당량수 = 원자가(하전수) 이므로, ( 참고 https://ywpop.tistory.com/4105 ) 또는 금속의 원자가가 2가 ---> M^2+ 이므로, 균형 맞춘 화학 반응식은 다음과 같다. M + 2.. 2017. 4. 19.
30% 염산(비중 1.1) 용액의 몰농도 30% 염산(비중 1.1) 용액의 몰농도 --------------------------------------------------- [% → M] 변환공식으로, 간단히 30% HCl의 몰농도를 계산하면, 몰농도 = (wt% / 몰질량) × 10 × 밀도 = (30 / 36.46) × 10 × 1.1 = 9.051 M ( 참고 https://ywpop.tistory.com/4241 ) 또는 30% 염산 용액이 100 g 있다고 가정하면, 30 g 염산 + 70 g 물 = 100 g 염산 용액 HCl의 몰질량 = 36.46 g/mol 이므로, 30 g 염산의 mol수 = 30 g / (36.46 g/mol) = 0.8228 mol 100 g 용액의 L수 = 100 g / (1.1 g/mL) = 90.909.. 2017. 2. 10.
어떤 금속(M) 8 g을 연소시키니 11.2 g의 산화물 어떤 금속(M) 8 g을 연소시키니 11.2 g의 산화물 어떤 금속(M) 8 g을 연소시키니 11.2 g의 산화물이 얻어졌다. 이 금속의 원자량이 140이라면 이 산화물의 화학식은? 어떤 금속(M) 8g 을 연소시키니 11.2g 의 산화물이 얻어졌다. 이 금속의 원자량이 140 이라면 이 산화물의 화학식은? ① M2O3 ② MO ③ MO2 ④ M2O7 --------------------------------------------------- 산화물, MaOb의 질량 = 11.2 g 반응한 금속, Ma의 질량 = 8 g 반응한 산소, Ob의 질량 = 11.2 – 8 = 3.2 g 금속(M)의 몰수 = 8 / 140 = 0.057 mol 산소(O)의 몰수 = 3.2 / 16 = 0.2 mol ( 참고 ht.. 2017. 2. 7.
비활성 기체원자 Ar과 같은 전자배치 비활성 기체원자 Ar과 같은 전자배치 비활성 기체원자 Ar과 같은 전자배치를 가지고 있는 것은? 1. Na^+ 2. Li^+ 3. AI^3+ 4. S^2- --------------------------------------------------- ▶ 참고: 등전자 이온 [ https://ywpop.tistory.com/18136 ] --------------------------------------------------- 답: 4. S^2- S의 바닥상태 전자배치: [Ne] 3s^2 3p^4 이므로, 전자 2개를 얻으면, Ar과 같은 전자배치가 된다. 참고로, Na과 가장 인접한 비활성 기체원자는 Ne이고, Li과 가장 인접한 비활성 기체원자는 He이고, Al과 가장 인접한 비활성 기체원자는 Ne이고.. 2016. 8. 31.
돌턴의 분압법칙. 1기압 수소 2 L와 3기압 산소 2 L를 5 L 용기에 돌턴의 분압법칙. 1기압 수소 2 L와 3기압 산소 2 L를 5 L 용기에 1기압의 수소 2 L와 3기압의 산소 2 L를 동일 온도에서 5 L의 용기에 넣으면 전체 압력은 몇 기압이 되는가? ① 4/5 ② 8/5 ③ 12/5 ④ 16/5 --------------------------------------------------- ▶ 참고: 돌턴의 분압법칙 [ https://ywpop.tistory.com/48 ] --------------------------------------------------- 온도를 0℃라 가정하고, PV = nRT 로부터, 혼합 전 각 기체의 몰수(n)를 계산하면, n = PV / RT 수소 = (1×2) / (0.082×273) = 0.08934 mol 산소 = (3×2).. 2016. 8. 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