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공학&기술/수질환경기사391

물 100 L NaCN 4 g 도금용액 시안이온(CN^-) 농도(mg/L) 물 100 L NaCN 4 g 도금용액 시안이온(CN^-) 농도(mg/L)     49. 도금 공장에서 전기도금용액 탱크에물 100 L를 넣고 NaCN 4 g을 용해하였다.이 도금용액의 시안이온(CN^-)의 농도(mg/L)는?(단, 완전히 해리된다고 가정, Na 원자량=23)① 약 17② 약 21③ 약 34④ 약 49       > NaCN의 몰질량 = (23) + (12) + (14) = 49 g/mol> CN^-의 몰질량 = (12) + (14) = 26 g/mol( 전자의 질량은 무시하므로, CN^-의 질량 = CN의 질량 )( 참고 https://ywpop.tistory.com/16840 )       NaCN 4 g에 들어있는 CN의 질량= 4 g NaCN × (26 g CN / 49 g .. 2020. 8. 22.
20% NaOH 용액의 노르말농도 20% NaOH 용액의 노르말농도 20% NaOH 용액은 몇 N 용액인가? 20% NaOH 용액은 몇 N 용액 인가? ① 2.0 N ② 3.0 N ③ 4.0 N ④ 5.0 N %농도는 별도 설명이 없으면, 질량 백분율. 질량 백분율(%) = (용질 질량 / 용액 질량) × 100 ( 참고 https://ywpop.tistory.com/2656 ) 20% NaOH 용액 = (20 g NaOH / 100 g 용액) × 100 NaOH의 몰질량 = 40 g/mol 이고, NaOH의 당량수 = 1 eq/mol 이므로, ( 참고: 당량수 https://ywpop.tistory.com/4105 ) (40 g/mol) (1 mol / 1 eq) = 40 g/eq ---> 1 eq NaOH = 40 g NaOH 20%.. 2020. 8. 11.
스트론튬의 반감기 29년 99% 감소 스트론튬의 반감기 29년 99% 감소 방사성 물질인 스트론튬(Sr90)의 반감기가 29년이라면 주어진 양의 스트론튬(Sr90)이 99% 감소하는데 걸리는 시간(년)은? ① 143 ② 193 ③ 233 ④ 273 --------------------------------------------------- ▶ 참고: 반감기 [ https://ywpop.tistory.com/4280 ] --------------------------------------------------- 속도상수, k를 계산하면, k = 0.693 / 반감기 = 0.693 / 29 year = 0.0239 /year 99% 감소 ---> 주어진 양(N_0) = 100 이라 가정하면, 남아있는 양(N_t) = 1. ln(N_t / N_0.. 2020. 7. 29.
100 mg/L as P 용액 500 mL 제조에 필요한 KH2PO4의 질량 (mg) 100 mg/L as P 용액 500 mL 제조에 필요한 KH2PO4의 질량 (mg) KH2PO4로 100 mg/L as P의 500 mL 용액을 제조하려면 몇 mg의 KH2PO4가 필요한가? KH2PO4로 100 mg/L as P 의 500 mL 용액을 제조하려면 몇 mg의 KH2PO4가 필요한다? (단, K = 39, P = 31) ① 187.3 ② 219.3 ③ 329.3 ④ 437.3 --------------------------------------------------- “농도 × 부피 = 용질의 양” 이므로, ( 참고 https://ywpop.tistory.com/7787 ) 필요한 용질의 질량을 계산하면, (100 mg/L) × 0.500 L = 50 mg P ---> 100 mg/L a.. 2020. 7. 19.
총고형물 중 유기물질이 90%이고 함수율이 95%인 슬러지 총고형물 중 유기물질이 90%이고 함수율이 95%인 슬러지 총고형물 중 유기물질이 90%이고 함수율이 95%인 슬러지를 하루에 60 m3의 비율로 소화시켜 유기물의 30%가 제거되고, 함수율이 90%인 소화 슬러지를 얻었다. 이때 하루 발생되는 소화 슬러지의 양(m3/day)은 얼마인가? --------------------------------------------------- ▶ 슬러지 = 고형물 + 수분 SL = TS + W ▶ 고형물 = 유기물 + 무기물 TS = VS + FS ( 총고형물 = 고형물 ) ( 참고: 고형물 https://ywpop.tistory.com/9445 ) > 함수율 95% 슬러지(SL) 이므로, ---> 고형물(TS) 5% > 고형물(TS)의 양 = 60 m3 × (5/1.. 2020. 7. 17.
부피 감소율. 함수율 95% 슬러지를 함수율 91%로 부피 감소율. 함수율 95% 슬러지를 함수율 91%로     함수율 95%의 슬러지를 농축하여 함수율 91%로 하였다.부피 감소율을 구하시오.       [참고] 묽힘법칙. M1V1 = M2V2[ https://ywpop.tistory.com/2859 ]       농도1 × V1 = 농도2 × V2> 농도: 고형물의 함량(%)> V: 슬러지의 부피       부피감소율(%) = (V1 – V2) / V1 × 100       “슬러지 = 고형물 + 수분” 이므로,> 함수율 95% 슬러지 = 고형물 5% 슬러지> 함수율 91% 슬러지 = 고형물 9% 슬러지       V1 값이 주어지지 않았으므로,V1 = 1 로 가정하면,   V2 = (농도1 × V1) / 농도2= (5 × 1) / 9.. 2020. 7. 17.
물 25.2 g에 4.57 g 글루코오스가 녹아있는 용액의 몰랄농도 물 25.2 g에 4.57 g 글루코오스가 녹아있는 용액의 몰랄농도     글루코오스(C6H12O6)는 당으로 혈액 속에서 발견되기 때문에혈당이라고 하며 인체의 주요 에너지원이다.물 25.2 g에 4.57 g의 글루코오스가 녹아있는용액의 몰랄농도는 얼마인가?     물 25.2 g에 글루코오스(C6H12O6)가4.57 g 녹아있는 용액의 몰랄농도(m)는?       C6H12O6의 몰질량 = 180.16 g/mol 이므로,4.57 g / (180.16 g/mol) = 0.025366 mol C6H12O6( 참고 https://ywpop.tistory.com/7738 )       몰랄농도 = 용질 mol수 / 용매 kg수( 참고 https://ywpop.tistory.com/2667 )   = 0.. 2020. 5. 20.
3% 이온화되는 0.1 M 프로피온산 용액의 Ka 3% 이온화되는 0.1 M 프로피온산 용액의 Ka 프로피온산(C2H5COOH) 0.1 M 용액이 3% 이온화 된다면 이온화 정수는? --------------------------------------------------- 이온화 백분율(%) = ([H^+]_평형 / [HA]_초기) × 100 ( 참고 https://ywpop.tistory.com/3146 ) 3% = (x / 0.1) × 100 x = 3 × 0.1 / 100 = 0.003 M = [H^+] Ka = [H^+][A^-] / [HA] = (x) (x) / (C–x) ( 참고 https://ywpop.tistory.com/4294 ) = (0.003) (0.003) / (0.1–0.003) = 9.3×10^(-5) 답: 9.3×10^(-.. 2020. 5. 13.
0.1 N Na2S2O3 용액 100 mL에 증류수를 가해 500 mL로 0.1 N Na2S2O3 용액 100 mL에 증류수를 가해 500 mL로 0.1 N Na2S2O3 용액 100 mL에 증류수를 가해 500 mL로 한 다음, 여기서 250 mL을 취하여 다시 증류수로 전량 500 mL로 하면 용액의 규정농도(N)는? ① 0.01 ② 0.02 ③ 0.04 ④ 0.05 --------------------------------------------------- 0.1 N Na2S2O3 용액 100 mL에 들어있는 Na2S2O3의 eq수를 계산하면, (0.1 eq/L) × 0.100 L = 0.01 eq Na2S2O3 ( 참고 https://ywpop.tistory.com/7787 ) 처음 500 mL로 한 용액의 노르말농도를 계산하면, 노르말농도 = 용질 eq수 / 용액 L.. 2020. 3. 16.
어떤 하천의 BOD_5가 250 mg/L, BOD_u가 500 mg/L 어떤 하천의 BOD_5가 250 mg/L, BOD_u가 500 mg/L 어떤 하천의 5일 BOD가 250 mg/L이고 최종 BOD가 500 mg/L이다. 이 하천의 탈산소계수(상용대수)는? --------------------------------------------------- ▶ 참고: BOD 소비식과 BOD 잔존식 [ https://ywpop.tistory.com/10437 ] --------------------------------------------------- BOD_t = BOD_u [1 – 10^(–k•t)] 250 = 500 [1 – 10^(–k•5)] 250/500 = 1 – 10^(–k•5) 10^(–k•5) = 1 – 250/500 –k•5 = log(1 – 250/500) k.. 2020. 3. 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