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170
산화-환원 반쪽 반응식 나누기
---------------------------------------------------
[사전 지식]
▶ 원소, 화합물 등에서 각 원자의 산화수를 구할 줄 알아야 된다.
( 참고 https://ywpop.tistory.com/2719 )
▶ 반응 전/후 산화수가 변한 원자를 파악한 후,
산화수가 증가한 원자를 포함하는 물질들로 산화 반쪽 반응식을 완성하고,
산화수가 감소한 원자를 포함하는 물질들로 환원 반쪽 반응식을 완성하면 된다.
▶ 예를 들면,
Mg + 2AgNO3 → Mg(NO3)2 + 2Ag 산화-환원 반응에서,
산화 반쪽 반응식: Mg → Mg(NO3)2
> Mg의 산화수는 0에서 +2로 증가.
> Mg와 Mg(NO3)2는 반응 전/후 산화수가 증가한 Mg를 포함하고 있다.
환원 반쪽 반응식: 2AgNO3 → 2Ag
> Ag의 산화수는 +1에서 0으로 감소.
> AgNO3와 Ag는 반응 전/후 산화수가 감소한 Ag를 포함하고 있다.
( 참고 https://ywpop.tistory.com/16751 )
▶ 아래에 링크된 다른 예제들을 참고하세요.
[ 예제 https://ywpop.tistory.com/search/redox%20balance ]
[키워드] 산화-환원 반쪽 반응 기준문서, 산화-환원 반쪽 반응식 기준문서
반응형
그리드형(광고전용)
'일반화학 > [04장] 수용액 반응' 카테고리의 다른 글
4.2 g NaHCO3 + 0.1 M CH3COOH (0) | 2021.03.02 |
---|---|
redox balance. NH3 + NO2 → N2 + H2O (0) | 2021.03.01 |
redox balance. KClO3 + I2 + 6HCl → KCl + 2ICl3 + 3H2O (1) | 2021.02.26 |
redox balance. CO2 + H2O → C6H12O6 + O2 (0) | 2021.02.15 |
HNO3 용액의 pH. 질산 용액의 pH (0) | 2021.02.03 |
질소의 산화수. N의 산화수 ★ (0) | 2020.12.29 |
redox Mg + 2AgNO3 → Mg(NO3)2 + 2Ag (0) | 2020.12.21 |
20.313 M NaOH 35.22 mL + H2SO4 25.22 mL (1) | 2020.12.1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