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보기24936

0.002 N NaOH 용액의 pH 0.002 N NaOH 용액의 pH ------------------------ NaOH의 당량수 = 1 eq/mol 이므로,( 참고: 당량수 https://ywpop.tistory.com/4105 ) NaOH 용액의 노르말농도 = NaOH 용액의 몰농도---> 0.002 N NaOH 용액 = 0.002 M NaOH 용액 NaOH는 강염기이므로, 100% 이온화된다고 가정하면,NaOH(aq) → Na^+(aq) + OH^-(aq) NaOH : OH^- = 1 : 1 계수비(= 몰수비) 이므로,[NaOH] = [OH^-] = 0.002 M( 참고 https://ywpop.tistory.com/12474 ) pOH = –log[OH^-]= –log(0.002) = .. 2025. 4. 17.
[유기화합물 명명법] 1-bromo-2-chloro-4-methylbenzene [유기화합물 명명법] 1-bromo-2-chloro-4-methylbenzene ------------------------ [참고] 비고리형(사슬형) 탄화수소 명명법[ https://ywpop.tistory.com/13519 ] 치환기 이름은“알파벳 순서”이므로,bromo chloro methyl---> 이건 오케이. 치환기 번호는“가장 작은 숫자가 나오도록”이므로,① methyl을 1로 정하면,4-bromo-3-chloro-1-methyl 또는4-bromo-5-chloro-1-methyl ② chloro를 1로 정하면,2-bromo-1-chloro-5-methyl 또는6-bromo-1-chloro-3-methyl ③ bromo를 1.. 2025. 4. 16.
과산화 이온, O2^2-는 다원자 이온 과산화 이온, O2^2-는 다원자 이온 과산화 이온, O2^2-는 일원자 이온인가? 다원자 이온인가? ------------------------ [참고] 단원자 이온과 다원자 이온[ https://ywpop.tistory.com/22146 ] 과산화 이온, O2^2-는O–O 결합을 가지므로,( O 원자가 2개이므로, ) 다원자 이온입니다. [그림] Lewis structure for O2^2-. [ 관련 글 https://namu.wiki/w/이온식 ]이온식 [키워드] 과산화 이온 기준, 과산화이온 기준, O2^2- 기준, 과산화 이온은 다원자 이온 기준, 과산화이온은 다원자이온 기준, O2^2- 루이스 기준, 과산.. 2025. 4. 15.
2.203 g sample 4.401 g CO2 1.802 g H2O molar mass 88.1 g/mol 2.203 g sample 4.401 g CO2 1.802 g H2O molar mass 88.1 g/mol The compound dioxane, which is used as a solvent in various industrial processes, is composed of C, H, and O atoms.Combustion of a 2.203 g sample of this compound produces 4.401 g CO2 and 1.802 g H2O.A separate experiment shows that it has a molar mass of 88.1 g/mol.Which of the following is the correct molecular formula for dioxa.. 2025. 4. 15.
7.75 g FeCl3에 들어있는 염화 이온의 몰수 7.75 g FeCl3에 들어있는 염화 이온의 몰수 ------------------------ FeCl3의 몰질량 = 162.2040 ≒ 162.20 g/mol 이고,Cl의 몰질량 = 35.4530 ≒ 35.45 g/mol 이므로,(7.75 g FeCl3) (3 × 35.45 g Cl / 162.20 g FeCl3)= (7.75) (3 × 35.45 / 162.20)= 5.08 g Cl---> 7.75 g FeCl3에 들어있는 염화 이온의 질량 Cl의 몰질량 = 35.45 g/mol 이므로,5.08 g Cl × (1 mol / 35.45 g)= 0.143 mol Cl---> 7.75 g FeCl3에 들어있는 염화 이온의 몰수 답: 0.143 mol .. 2025. 4. 14.
에탄올 1몰 표준상태 완전연소에 필요한 공기량(L) 에탄올 1몰 표준상태 완전연소에 필요한 공기량(L) 에탄올 1몰이 표준상태에서 완전연소하기 위해필요한 공기량은 약 몇 L인가?(단, 공기 중 산소의 부피는 21 vol%이다.)① 122② 244③ 320④ 410 ------------------------ 에탄올 연소 반응식C2H5OH + 3O2 → 2CO2 + 3H2O( 참고 https://ywpop.tistory.com/7442 ) C2H5OH : O2 = 1 : 3 계수비(= 몰수비) 이므로,C2H5OH 1 mol 연소에 필요한O2의 몰수 = 3 mol 표준상태에서,기체 1 mol = 22.4 L 이므로,( 참고 https://ywpop.tistory.com/8321 ) 3 mol O2의 부피= 3 .. 2025. 4. 14.
오렌지주스 제조 과즙 50 kg 당도 7%를 15%로 오렌지주스 제조 과즙 50 kg 당도 7%를 15%로     오렌지주스 제조를 위해 과즙을 만들었더니 50 kg이었다.현재의 당도가 7%인데, 목적 당도를 15%로 조정하려면약 몇 kg의 설탕이 필요한가?   ------------------------   “당도 = 과즙 속 설탕의 비율” 이라 생각하면,당도가 7%인 과즙 50 kg 속 설탕의 질량= 50 kg × (7/100)= 3.5 kg( 당도 = 질량 백분율, 과즙 = 용액, 설탕 = 용질 )( 참고: 질량 백분율 https://ywpop.tistory.com/9293 )       당도 15% 조정에 필요한설탕의 질량(x)을 계산하면,%농도 = (용질 질량 / 용액 질량) × 10015% = (3.5 + x) / (50 + x) × 100.. 2025. 4. 14.
화학식의 이해. 2NaCl과 Na2Cl2 화학식의 이해. 2NaCl과 Na2Cl2Na2SO4 + BaCl2 → BaSO4 + 2NaCl   ------------------------   Na2SO4 + BaCl2 → BaSO4 + 2NaCl반응식에서,일단 위에 나온 4가지 물질들은모두 이온결합 화합물임을 알아야 한다.( 참고 https://ywpop.tistory.com/3036 )       둘째,이온결합 화합물의 화학식은실험식과 같다.이 말이 뭔 소리인가 하면,이온결합 화합물의 화학식은화합물을 구성하는 원자(단)의 종류를가장 간단한 정수비로 나타낸다.( 참고 https://ywpop.tistory.com/2391 )   이 때문에,Na2Cl2가 아닌 NaCl로 나타내는 것이고,NaCl로 나타내면,반응 전/후 ‘화살표(→)’ 양쪽의Na의.. 2025. 4. 13.
0.2 M HCl 1000 mL 제조에 필요한 36.5% HCl(d 1.25)의 부피(mL) 0.2 M HCl 1000 mL 제조에 필요한 36.5% HCl(d 1.25)의 부피(mL)     0.2 M HCl 수용액 1000 mL를 만드는 데 필요한36.5% HCl(염산)의 부피(mL)를 구하시오.(단, 염산의 밀도 = 1.25 g/mL, HCl 분자량 = 36.5)   ------------------------   [공식] 용액 제조에 필요한 시약의 부피(mL)= 몰농도 × 부피(L) × 몰질량 / (순도%/100) / 밀도= 0.2 × 1 × 36.5 / (36.5/100) / 1.25= 16 mL       ※ 이 글은 정답(필요한 시약의 부피) 확인용이며,자세한 계산 과정/설명은 아래 글을 참고하세요.( 공식 상세 설명 https://ywpop.tistory.com/8829 )(.. 2025. 4. 13.
0.5 M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1 L 만들기 0.5 M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1 L 만들기     (가) 2 M NaOH 수용액 100 mL(나) 1 M NaOH 수용액 x mL(다) 5 M NaOH 수용액 1000 mL   (가) + (나) + 증류수 = (다)   0.5 M 수산화 나트륨 수용액 1 L를 만들기 위해,(나)의 1 M 수산화 나트륨 수용액을몇 mL 취해야 하는지 구해 보자.   ------------------------   2 M NaOH 수용액 100 mL에 들어있는NaOH(용질)의 몰수= (2 mol/L) (0.1 L) = 0.2 mol( 참고 https://ywpop.tistory.com/7787 )       5 M NaOH 수용액 1000 mL에 들어있는NaOH(용질)의 몰수= (0.5 mol/L) (1 L) = 0.. 2025. 4. 1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