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보기25053

가우시안 대기오염 확산 방정식 250 m 중심축상 지상 오염농도(mg/m3) 가우시안 대기오염 확산 방정식 250 m 중심축상 지상 오염농도(mg/m3) 가우시안형의 대기오염 확산방정식을 적용할 때지면에 있는 오염원으로부터 바람부는 방향으로250 m 떨어진 연기의 중심축상 지상 오염농도(mg/m3)는?(단, 오염물질의 배출량은 5.5 g/sec,풍속은 5 m/sec, σy = 22.5 m, σz = 12 m 이다.) 가우시안형의 대기오염 확산방정식을 적용할 때 지면에 있는 오염원으로부터 바람부는 방향으로 250m 떨어진 연기의 중심축상 지상 오염농도(mg/m3)는? (단, 오염물질의 배출량은 5.5g/sec, 풍속은 5m/sec, σy=22.5m σz=12m 이다.)① 1.3 mg/m3② 1.9 mg/m3③ 2.3 mg/m3④ 2.7 mg/m3 -------.. 2025. 7. 12.
100℃ 물과 50℃ 물을 같은 양으로 섞으면 평형 온도 100℃ 물과 50℃ 물을 같은 양으로 섞으면 평형 온도 100℃ 물과 50℃ 물을 같은 양으로 섞으면 평형 온도는? ------------------------ [참고] 열용량과 비열q = C m Δt[ https://ywpop.tistory.com/2897 ] q = C m Δt 에서,같은 물질이므로, 비열(C) 소거하고,같은 양이므로, 질량(m) 소거하면,q = Δt( Δt = 나중 온도 – 처음 온도 ) 나중 온도 = x 라 두면,고온 물이 잃은 열(–q) = 저온 물이 얻은 열(+q) –(x – 100) = +(x – 50) –x + 100 = x – 50 2x = 150 x = 150 / 2= 75 또는평형 온도 = 두 .. 2025. 7. 11.
SO2 유효고 100 m 굴뚝 150 g/s 배출 풍속 5 m/s 대기 안정도 D SO2 유효고 100 m 굴뚝 150 g/s 배출 풍속 5 m/s 대기 안정도 D SO2가 유효고 100 m인 굴뚝으로부터 150 g/s의 속도로 배출되고 있다. 굴뚝 높이에서의 풍속은 5 m/s이고, 대기의 안정도는 D이다. 이때 굴뚝으로부터 1000 m 거리에서의 지표중심선상의 농도(ppb)는? (단, 안정도 D일 때 1000 m 지점의 δy = 68 m, δz = 32 m, 농도계산은C = Q / [π × U × δy × δz] × exp[–(1/2) × (H / δz)^2]이용하며, 표준상태로 가정)① 64.5 ppb② 33.2 ppb③ 11.6 ppb④ 5.6 ppb ------------------------ 가우시안 확산 방정식C = Q / [π × U × δy × δz] ×.. 2025. 7. 10.
C 85%, H 10%, O 2%, S 2%, N 1% 중유 건조연소 가스량(Sm3/kg) ★ C 85%, H 10%, O 2%, S 2%, N 1% 중유 건조연소 가스량(Sm3/kg) C: 85%, H: 10%, O: 2%, S: 2%, N: 1%로 구성된 중유 1 kg을 완전연소시킨 후 오르자트 분석결과 연소가스 중의 O2 농도는 5.0%였다. 건조연소 가스량(Sm3/kg)은? 32. C:85%, H:10%, O:2%, S:2%, N:1%로 구성된 중유 1kg을 완전연소시킨 후 오르자트 분석결과 연소가스 중의 O2농도는 5.0%였다. 건조연소 가스량(Sm3/kg)은?① 8.9② 10.9③ 12.9④ 15.9 ------------------------ 각 성분의 몰수를 계산하면,> C의 몰수 = 850 g / (12 g/mol) = 70.8333 mol> H의 몰수 =.. 2025. 7. 9.
1 M HCl(aq)의 퍼센트농도 1 M HCl(aq)의 퍼센트농도단, HCl의 분자량 = 36.5 이고,HCl(aq)의 밀도 = 1.18 g/mL 이다. ------------------------ 1 M HCl(aq)= 1 M HCl 용액= 1 mol HCl / 1 L 용액( 참고 https://ywpop.tistory.com/3222 ) HCl의 몰질량(분자량) = 36.5 g/mol 이므로,1 mol HCl의 질량= 1 mol × (36.5 g/mol)( 참고 https://ywpop.tistory.com/7738 ) = 36.5 g= 용질 질량 HCl(aq)의 밀도 = 1.18 g/mL 이므로,1 L(= 1000 mL) 용액의 질량= 1000 mL × (1.18 g/mL)( 참고 https.. 2025. 7. 8.
0.18% 포도당 수용액의 몰농도와 몰랄농도 0.18% 포도당 수용액의 몰농도와 몰랄농도단, 포도당의 분자량 = 180 이고,포도당 수용액의 밀도 = 1 g/mL 이다. ------------------------ 0.18% 포도당 수용액이100 g 있다고 가정하자.( 참고: 100 g https://ywpop.tistory.com/4321 ) 0.18% 포도당 수용액 100 g에들어있는 포도당의 질량= 100 g × (0.18/100)( 참고 https://ywpop.tistory.com/9293 ) = 0.18 g= 용질의 질량 “용액 = 용질 + 용매” 이므로,( 포도당 수용액 = 포도당 + 물 )( 참고 https://ywpop.tistory.com/40 ) 포도당 수용액 100 g에들어있는 물의 .. 2025. 7. 8.
PV는 일정. 2 L 용기 A에 1기압 질소 기체 용기 B는 진공 PV는 일정. 2 L 용기 A에 1기압 질소 기체 용기 B는 진공 그림과 같이 부피가 2 L인 용기 A 속에1기압의 질소 기체가 채워져 있고,용기 B는 진공 상태이다.콕을 열었더니 용기 전체의 압력이 0.4기압으로 되었다.용기 B의 부피는 몇 L인가? ------------------------ > 용기 A의 부피 = 2 L = V1> 용기 B의 부피 = x L 보일의 법칙P1V1 = P2V2( 참고 https://ywpop.tistory.com/1977 ) > V2 = V1 + x = 2 + x> P1 = 1기압> P2 = 0.4기압---> P1V1 = P2V2 식에 대입하면,(1) (2) = (0.4) (2 + x) 2 = 0.8 + 0.4x .. 2025. 7. 8.
녹차가 이뇨작용을 촉진시키는 이유 녹차가 이뇨작용을 촉진시키는 이유 ------------------------ 녹차가 이뇨작용을 촉진시키는 주된 이유는녹차에 들어 있는 ‘카페인’ 성분 때문입니다. 단, 녹차에는 카페인 외에도이뇨작용에 관여하는 여러 성분들이 있습니다. [카페인의 작용 메커니즘] ▶ 항이뇨호르몬(ADH) 억제> 카페인은 뇌하수체에서 분비되는항이뇨호르몬(Antidiuretic Hormone, ADH)의 분비를 억제합니다.---> 이뇨작용 촉진 ▶ 신장 혈류량 증가> 카페인은 신장으로 가는 혈류량을 늘려여과량을 증가시킵니다.---> 이뇨작용 촉진 [보충] 카페인은 신장에서 아데노신(Adenosine) 수용체를 차단하여, 신장의 혈관을 확장시키고 사구체 여과율(Glomerular Filtra.. 2025. 7. 8.
SiO4^4- 루이스 구조 그리기. silicate SiO4^4- 루이스 구조 그리기. silicateLewis structure of SiO4^4- ion ------------------------ [참고] 루이스 구조 그리기[ https://ywpop.tistory.com/6302 ] [1단계] 각 원자의 원자가전자 수의 합을 구한다.SiO4^4- = (Si) + 4(O) + 4e^-= (4) + 4(6) + 4 = 32 [2단계] 화합물의 기본 골격 구조를 그린다.( 단일결합 수만큼 전자 수를 뺀다. ) 32 – 4(2) = 24 [3단계] 주위 원자들이 팔전자 규칙에 맞도록 전자를 한 쌍씩 그린다.( 무조건, 그냥 주위 원자 주변에 전자쌍 3개씩 그린다. )( 그린 전자 수만큼 뺀다. ).. 2025. 7. 7.
정수압. 1 m 수심의 순수한 물에 의한 압력 정수압. 1 m 수심의 순수한 물에 의한 압력(단, 순수한 물의 밀도 = 1 g/cm3) ------------------------ ▶ 환산 인자> 1 kg = 1000 g> 1 m = 100 cm> 1 m3 = 100^3 cm3( 참고 https://ywpop.tistory.com/3121 ) ▶ 밀도 환산(1 g/cm3) (1 kg / 1000 g) (100^3 cm3 / 1 m3)= (1) (1 / 1000) (100^3)= 1000 kg/m3 = ρ 정수압, P = ρgh( 참고 https://ywpop.tistory.com/20902 ) = (1000 kg/m3) (9.81 m/s2) (1 m)= 9810 Pa= 9.810 kPa 1 kPa.. 2025. 7. 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