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보기25053

산소 전달계수와 산소 전달률(kg O2/hr) 계산 산소 전달계수와 산소 전달률(kg O2/hr) 계산 포기조의 유효용적이 10 m3이고, 수온이 10℃일 때 산소전달계수(K_10)는 5 hr^-1이고, 이 포기조의 수온이 20℃로 상승했을 때 20℃ 기준의 포화용존산소농도(C_s)는 9 mg/L, 실제 DO 농도는 3 mg/L라고 한다. 온도보정계수(θ)는 1.024라고 할 때, 20℃ 기준의 산소전달률(kg O2/hr)을 구하시오. ------------------------ 1) 20℃ 산소전달계수(K_20) 계산K_T2 = K_T1 × θ^(T2 – T1) K_20 = K_10 × θ^(20 – 10)= (5 /hr) × 1.024^(20 – 10)= 6.338 /hr 2) 20℃ 산소전달률(OTR) 계산OTR =.. 2025. 6. 26.
속도 환산. 8 m/s를 km/hr로 환산 속도 환산. 8 m/s를 km/hr로 환산 ------------------------ [참고] 환산 인자[ https://ywpop.tistory.com/3121 ] ▶ 환산 인자> 1 km = 1000 m> 1 hr = 60 min = 3600 sec 거리, 시간 순으로 환산하면,(8 m/s) (1 km / 1000 m) (3600 s / 1 hr)= (8) (1 / 1000) (3600)= 28.8 km/hr 답: 28.8 km/hr [ 관련 글 https://ywpop.tistory.com/13980 ]속도 환산. 65 km/hr를 m/s로 환산 [키워드] 속도 환산 기준, 속력 환산 기준, convert ms t.. 2025. 6. 26.
물과 아세트산 중에서 분자간 인력이 더 큰 물질 물과 아세트산 중에서 분자간 인력이 더 큰 물질 물과 아세트산 중에서 분자간 인력이 더 큰 물질은? ------------------------ 두 물질의 분자간 인력을 비교할 때,특히, 상온에서 둘 다 액체 상태라면,가장 먼저 고려해야 할 사항은각 물질의 끓는점이다.> 물(H2O)의 끓는점 = 100℃> 아세트산(CH3COOH)의 끓는점 = 118℃ 일반적으로 물질의 끓는점과물질의 분자간 인력은 비례하므로,끓는점이 더 높은 아세트산이물보다 분자간 인력이 더 크다. 또한물과 아세트산, 둘 다 수소결합을 하지만,아세트산은 수소결합을 통해 이합체를 형성한다.( 참고 https://ywpop.tistory.com/9072 ) 이 때문에아세트산의 분자간 인력은 매우 크다. .. 2025. 6. 25.
4% NaOH(aq) 500 mL 용액의 밀도는 1.05 g/mL 4% NaOH(aq) 500 mL 용액의 밀도는 1.05 g/mL 다음 문장의 옳고 그름을 판단하시오.4% NaOH(aq) 500 mL가 있다.용액의 밀도는 1.05 g/mL이다.NaOH의 화학식량은 40이다.[1] 4% NaOH 수용액 500 mL에 포함된 용질의 양은 21 g이다.[2] 위 용액에 물을 넣어 전체 부피가 1 L가 되게 만든용액의 몰농도는 0.525 M이다. ------------------------ [1] 4% NaOH 수용액 500 mL에 포함된 용질의 양은 21 g이다.---> 옳다. 용액의 밀도 = 1.05 g/mL 이므로,500 mL × (1.05 g/mL)= 525 g---> 용액의 질량( 참고 https://ywpop.tistory.com/8460 ) .. 2025. 6. 25.
ΔH 계산. 철의 제련 반응 ΔH 계산. 철의 제련 반응 주어진 반응식을 이용하여,1) 2Fe(s) + 3/2 O2(g) → Fe2O3(s) ... ΔH = –824 kJ2) CO(g) + 1/2 O2(g) → CO2(g) ... ΔH = –283 kJ 철의 제련 반응의 반응 엔탈피를 구하시오.Fe2O3(s) + 3CO(g) → 2Fe(s) + 3CO2(g) ... ΔH = ? ------------------------ [참고] 헤스의 법칙[ https://ywpop.tistory.com/3376 ] ※ 헤스의 법칙을 이용한 이런 유형의 문제는간단한 원리만 이해하면, 끼워 맞추기 ‘놀이’에 불과하다. Fe2O3(s) + 3CO(g) → 2Fe(s) + 3CO2(g)---> 이 식을 ‘타깃’이라.. 2025. 6. 24.
음주 측정기. redox CH3CH2OH + Cr2O7^2- 음주 측정기. redox CH3CH2OH + Cr2O7^2- 3CH3CH2OH(aq) + 8H^+(aq) + Cr2O7^2-(aq)→ 3CH3CHO(aq) + 2Cr^3+(aq) + 7H2O(l) Cr2O7^2- 2 mol이 반응할 때이동한 전자의 mol수는? ------------------------ 환원 반응Cr2O7^2- → Cr^3+> Cr의 산화수는 +6에서 +3으로 감소, Cr2O7^2-는 환원됨.> 감소한 산화수 = 3 = 이동한 전자 수> Cr 1개당 3개 전자 이동 Cr2O7^2- 1개 속에는 Cr이 2개 들어있으므로,Cr2O7^2- 1개당 6개 전자 이동---> Cr2O7^2- 1 mol당 6 mol 전자 이동 ---> Cr2O7^2- 2 mol이.. 2025. 6. 24.
1차, 2차 처리 폐수 활성슬러지법에 대한 설명 1차, 2차 처리 폐수 활성슬러지법에 대한 설명 어떤 폐수에 대해 1차, 2차 처리 과정을 거친 후, 폐수를 활성슬러지법으로 처리하고자 한다. 활성슬러지법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① 폭기조 내의 미생물은 영양소, 온도 등의 내부 환경에는 덜 민감하므로 전문기술자는 상주하면서 반송설비만 세심히 관리하면 된다. ② 여름철에는 폭기조에서 조류(Algae)가 증식되어 처리 효율이 저하될 수 있고, 겨울철에는 외기 온도가 떨어지므로 처리 효율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③ 일반적으로 영양소는 BOD : N : P = 100 : 5 : 1로, pH는 중성 범위에서, 온도는 상온에서, 독성물질은 미생물의 활동과 성장에 방해 주지 않는 범위 내에서 처리한다. ④ 활.. 2025. 6. 24.
CaSiO3의 조성 백분율 CaSiO3의 조성 백분율 ------------------------ [참고] 화학식과 조성 백분율[ https://ywpop.tistory.com/12958 ] > Ca의 원자량 = 40> Si의 원자량 = 28> O의 원자량 = 16> CaSiO3의 화학식량= (40) + (28) + 3(16) = 116 A 원자의 조성 백분율(%)= (A의 개수 × A의 원자량 / 화합물의 화학식량) × 100 Ca의 조성 백분율(%)= (1 × 40 / 116) × 100= 34.5% Si의 조성 백분율(%)= (1 × 28 / 116) × 100= 24.1% O의 조성 백분율(%)= (3 × 16 / 116) × 100= 41.4%.. 2025. 6. 23.
공기에 노출된 금속 나트륨은 전류가 흐르지 않는다 공기에 노출된 금속 나트륨은 전류가 흐르지 않는다 고체인 금속 나트륨을 공기 중에서 하루 방치했다.다음날 이 고체 나트륨은 전류가 흐를까? ------------------------ 공기 중에서 하루 방치한 고체 나트륨은표면이 부식되어전류가 잘 흐르지 않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 참고: 금속의 부식 https://ywpop.tistory.com/2895 ) 금속 나트륨은 반응성이 매우 강한 금속이므로,금속 나트륨을 공기 중에 방치하면,공기 중의 산소, 수분과 격렬하게 반응한다. ① 공기 중의 산소와 반응하면,표면에 산화나트륨(Na2O)이 형성되고, ② 수분과 반응하면,수산화나트륨(NaOH)이 형성되고, ③ 심지어 이산화탄소와 반응하면,탄산나트륨(Na2CO3)이 .. 2025. 6. 23.
르 샤틀리에. PCl5(g) ⇌ PCl3(g) + Cl2(g) ΔH = 88 kJ 르 샤틀리에. PCl5(g) ⇌ PCl3(g) + Cl2(g) ΔH = 88 kJ 다음은 오염화 인(PCl5)의 분해 반응을열화학 반응식으로 나타낸 것이다.PCl5(g) ⇌ PCl3(g) + Cl2(g) ... ΔH = 88 kJ 이 반응이 평형 상태에 있을 때평형이 역반응 쪽으로 이동할 때를에서 모두 골라 보자. 가. 반응 용기에 염소(Cl2) 기체를 넣을 때나. 반응 용기의 부피를 줄일 때다. 온도를 높일 때 ------------------------ 가. 반응 용기에 염소(Cl2) 기체를 넣을 때> 생성물 추가(증가)이므로,역반응. 나. 반응 용기의 부피를 줄일 때> “부피 감소 = 압력 증가”이므로,기체 몰수가 감소하는 방향 = 역반응.( 참고 https:/.. 2025. 6. 2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