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화학/용액의 농도1383

용액 = 균일 혼합물. 용액의 양과 농도 관계 ★ 용액 = 균일 혼합물. 용액의 양과 농도 관계       용액은, 정의상, ‘균일 혼합물’이고,( 참고 https://ywpop.tistory.com/40 )   용액의 농도는“용질의 양 : 용액의 양”의 비(비례식)이기 때문에,용액의 농도 = 용질의 양 / 용액의 양   용액의 양(질량 또는 부피)에 상관없이용액의 농도는 같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1] 2 M 용액 1 L에 들어있는 용질의 몰수는(2 mol/L) × 1 L = 2 mol   용액의 부피가 1 L 이므로,용액의 몰농도는2 mol / 1 L = 2 M       [2] 2 M 용액 500 mL에 들어있는 용질의 몰수는(2 mol/L) × 0.5 L = 1 mol   용액의 부피가 0.5 L 이므로,용액의 몰농.. 2018. 4. 11.
0.1 N NaOH 용액 500 mL 만들기 0.1 N NaOH 용액 500 mL 만들기 0.1 N 수산화나트륨 용액 500 mL 만들기 0.1 M NaOH 용액 500 mL 만들기 0.1 M 수산화나트륨 용액 500 mL 만들기 --------------------------------------------------- ▶ 계산이 바로 이해되면, 참고는 pass하세요. NaOH(aq) → Na^+(aq) + OH^-(aq) ---> OH^- 이온을 1개 내놓기 때문에, NaOH의 노르말농도 = NaOH의 몰농도 0.1 N NaOH 용액 = 0.1 M NaOH 용액 ( 참고: 산-염기의 노르말농도 https://ywpop.tistory.com/3093 ) [1 단계] 0.1 M NaOH 용액 500 mL에 들어있는 NaOH의 몰수를 계산하면, (0.. 2018. 4. 6.
35% 염산(d 1.18, FW 36.46) 시약으로 1 M HCl 용액 1 L 만들기 ★ 35% 염산(d 1.18, FW 36.46) 시약으로 1 M HCl 용액 1 L 만들기 35% 염산(d 1.18, FW 36.46) 시약으로 1 N HCl 용액 1 L 만들기 1 M HCl 용액 1 L 제조에 필요한 35% 염산(d 1.18, FW 36.46) 시약의 부피(mL)? 1 N HCl 용액 1 L 제조에 필요한 35% 염산(d 1.18, FW 36.46) 시약의 부피(mL)? ▶ HCl의 당량수 = 1 eq/mol 이므로, ( 참고 https://ywpop.tistory.com/4105 ) 또는 HCl은 1가산이므로, ( 참고 https://ywpop.tistory.com/3093 ) 염산의 몰농도 = 염산의 노르말농도 ▶ 계산(설명)이 바로 이해되면, 참고는 pass하세요. ( 참고는 이해를.. 2018. 4. 5.
0.025 N KMnO4 용액 1 L 만들기 0.025 N KMnO4 용액 1 L 만들기 0.025 N KMnO4 용액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용액 1 L당 몇 g의 KMnO4가 필요한가? (단, K=39, Mn=55) --------------------------------------------------- ▶ 참고: 0.025 N KMnO4 용액 2 L 만들기 [ https://ywpop.tistory.com/10961 ] --------------------------------------------------- 용질의 질량(g) = 노르말농도 × 부피(L) / 용질의 당량수 × 용질의 몰질량 = 0.025 × 1 / 5 × 158 = 0.79 g 답: 0.79 g [키워드] KMnO4 노르말농도 기준문서 2018. 4. 4.
Ca^2+가 80 mg/L일 때, 몇 eq/L라 할 수 있는가? Ca^2+가 80 mg/L일 때, 몇 eq/L라 할 수 있는가? --------------------------------------------------- ▶ 참고: 환산 인자 [ https://ywpop.tistory.com/3121 ] --------------------------------------------------- ▶ 환산 인자 > Ca의 몰질량 = 40.08 ≒ 40 g/mol = 40 mg/mmol > Ca^2+의 당량수 = 2 eq/mol = 2 meq/mmol ( 참고: 당량수 https://ywpop.tistory.com/4105 ) mg을 mmol로, mmol을 meq로 환산하면, (80 mg/L) × (1 mmol / 40 mg) × (2 meq / 1 mmol) = 4 m.. 2018. 4. 4.
30% w/w 질산(d 1.15) 용액 20 mL 중 순수한 질산 30% w/w 질산(d 1.15) 용액 20 mL 중 순수한 질산     묽은 질산 30%(w/w%, 비중=1.15) 20 mL 중에는 순수한 질산 몇 g이 있는가?   ---------------------------------------------------   답: 6.9 g[ https://ywpop.blogspot.com/2024/05/30-ww-d-115-20-ml-g.html ]         [키워드] 질산 퍼센트 농도 기준 2018. 4. 4.
95.5% 황산(d 1.83) 시약으로 0.5 N H2SO4 용액 1 L 만들기 95.5% 황산(d 1.83) 시약으로 0.5 N H2SO4 용액 1 L 만들기     0.5 N H2SO4 용액 1 L 제조에 필요한 95.5% 황산 시약의 부피   95.5% H2SO4(비중 1.83)를 사용하여0.5 N H2SO4 1 L를 조제하려면95.5% H2SO4 몇 mL가 필요한가?       [참고] 98% 황산(d 1.84, FW 98.08) 시약으로 1 N H2SO4 용액 250 mL 만들기[ https://ywpop.tistory.com/10991 ]       0.5 N H2SO4 용액 1 L에 들어있는H2SO4의 eq수를 계산하면,(0.5 eq/L) × 1 L = 0.5 eq H2SO4( 참고 https://ywpop.tistory.com/7787 )       H2SO4.. 2018. 4. 1.
10% 설탕물(d 1.083, MW 342)의 몰농도 10% 설탕물(d 1.083, MW 342)의 몰농도 --------------------------------------------------- 10% 설탕물 = (10 g 설탕 / 100 g 설탕물) × 100 설탕(C12H22O11)의 몰질량 = 12(12) + 22(1) + 11(16) = 342 g/mol 이므로, 10 g 설탕의 몰수를 계산하면, 10 g / (342 g/mol) = 0.02924 mol 설탕 ( 참고 https://ywpop.tistory.com/7738 ) 100 g 설탕물의 부피 = 100 g / (1.083 g/mL) = 92.3361 mL = 0.0923361 L 설탕물 몰농도 = 용질 mol수 / 용액 L수 ( 참고 https://ywpop.tistory.com/32.. 2018. 3. 21.
12 M 염산 시약으로 0.1 M 염산 용액 250 mL 만들기 12 M 염산 시약으로 0.1 M 염산 용액 250 mL 만들기     0.1 M 염산 용액 250 mL를 만들려면12 M 진한 염산 몇 mL를 취해 녹여야 하는가?       0.1 M 염산 용액 250 mL 제조에 필요한12 M 염산 시약의 부피(V1)를묽힘법칙으로 계산하면,M1V1 = M2V2( 참고 https://ywpop.tistory.com/2859 )   V1 = M2V2 / M1= (0.1) (250) / (12)= 2.0833 mL       답: 2.08 mL         12 M 염산 시약 2.08 mL에다가250 mL 되도록(되게끔) 증류수를 가하면,0.1 M 염산 용액 250 mL가 된다.         [ 관련 글 https://ywpop.blogspot.com.. 2018. 3. 20.
혼합물의 질량 분율. 혼합물의 질량분율 혼합물의 질량 분율. 혼합물의 질량분율 --------------------------------------------------- A 성분의 질량 분율 = A 성분의 질량 / 전체 성분의 질량 예를 들어, > 철수의 몸무게 = 64 kg > 영희의 몸무게 = 50 kg > 정호의 몸무게 = 60 kg > 경숙의 몸무게 = 46 kg 이라면, 전체의 몸무게 = 64 + 50 + 60 + 46 = 220 kg > 철수의 질량 분율 = 64 kg / 220 kg = 0.2909 > 영희의 질량 분율 = 50 kg / 220 kg = 0.2273 > 정호의 질량 분율 = 60 kg / 220 kg = 0.2727 > 경숙의 질량 분율 = 46 kg / 220 kg = 0.2091 [참고] 분율을 모두 더하면 .. 2018. 3. 1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