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일반화학6346

약산 0.060 M 용액의 pH가 3.44일 때, Ka 계산 약산 0.060 M 용액의 pH가 3.44일 때, Ka 계산 어떤 약산인 일양성자산 0.060 M의 pH가 3.44이다. 이 산의 Ka를 계산하시오. 어떤 약산인 일양성자산 0.060 M 용액의 pH가 3.44이다. 이 산의 Ka를 구하시오. --------------------------------------------------- pH = –log[H^+] = 3.44 [H^+] = 10^(-3.44) = 0.000363 M ---> 평형에서의 [H^+] ............. HA(aq) ⇌ H^+(aq) + A^-(aq) 평형(M) . C–x ......... x ............. x 산 이온화상수 식, Ka = (x) (x) / (C–x) 에서, C = 0.060 M, x = 0.000.. 2015. 10. 18.
약산(CH3COOH) <- 강염기(NaOH) 중화 적정. 적정 중 용액의 pH 약산(CH3COOH) 2015. 10. 17.
약산-강염기 적정에서 당량점에서의 pH가 7보다 높은 이유 약산-강염기 적정에서 당량점에서의 pH가 7보다 높은 이유     강산을 강염기로 적정하면 당량점에서의 pH는 7이 되는데,약산을 강염기로 적정하면 당량점에서의 pH가 7보다 높은 이유는 무엇인가요?       당량점에서 용액은 정확히 중화됩니다.즉, 약산에 의한 H^+ 이온과 강염기에 의한 OH^- 이온은더 이상 용액 중에 존재하지 않습니다.       그러나 산-염기 중화반응 결과 염이 생성되는데,문제는 약산(HA)의 짝염기(즉, 약산의 음이온, A^-)가비교적 강한 염기이기 때문에 물과 가수분해 반응이 일어납니다.A^-(aq) + H2O(l) ⇌ HA(aq) + OH^-(aq)( 참고: 가수분해 https://ywpop.tistory.com/5502 )   그 결과 소량의 OH^- 이온이 용액.. 2015. 10. 16.
500.0 g iron 10.0℃ water 400.0 g temp 90.0℃ rise 500.0 g iron 10.0℃ water 400.0 g temp 90.0℃ rise 가열된 500.0 g 철 조각을 10.0℃의 물 400.0 g에 넣었더니 물의 온도가 90.0℃로 올라갔다. 가열된 철의 온도를 구하시오. (철의 비열 = 0.473 J/g•℃) A 500.0 g of iron is heated in a flame and dropped into a 400.0 g of water at 10.0 ℃. The temperature of the water rises to 90.0 ℃. How hot was the iron when it was first removed from the flame? --------------------------------------------------- ▶ .. 2015. 10. 15.
화학식과 분자식의 정의 화학식과 분자식의 정의   ---------------------------------------------------▶ 참고: 화학식의 종류 [ https://ywpop.tistory.com/3228 ]---------------------------------------------------   물질을 구성하는 원자의 종류와 수를 나타낸 식을 화학식이라 하고,분자를 구성하는 원자의 종류와 수를 나타낸 식을 분자식이라 합니다.( 또는 물질을 구성하는 원자의 종류를실제적 수로 나타낸 화학식을 분자식이라 합니다. )       분자는 물질에 포함되므로,( 참고 https://ywpop.tistory.com/2984 )   분자식도 화학식에 포함됩니다.즉, 분자식은 화학식의 여러 종류 중 하나.단, 분자.. 2015. 10. 14.
0.01 M HCl 용액과 0.10 M KOH 용액의 pH 0.01 M HCl 용액과 0.10 M KOH 용액의 pH --------------------------------------------------- ▶ 참고: pH의 정의 [ https://ywpop.tistory.com/2706 ] HCl은 강산이므로, 물에서 거의 100% 이온화된다. ( 참고 https://ywpop.tistory.com/12475 ) HCl(aq) → H^+(aq) + Cl^-(aq) [HCl] = [H^+] = 0.01 M pH = –log[H^+] = –log(0.01) = 2.00 KOH는 강염기이므로, 물에서 거의 100% 이온화된다. ( 참고 https://ywpop.tistory.com/12474 ) KOH(aq) → K^+(aq) + OH^-(aq) [KOH] = .. 2015. 10. 14.
끓는점오름보다 어는점내림을 더 많이 사용하는 이유 끓는점오름보다 어는점내림을 더 많이 사용하는 이유 시료의 분자량(몰질량)을 결정할 때, 끓는점오름보다 어는점내림을 더 많이 사용하는 이유는? --------------------------------------------------- ▶ 참고: 끓는점 오름과 어는점 내림 [ https://ywpop.tistory.com/1920 ] --------------------------------------------------- 용매의 어는점내림상수(Kf)가 끓는점오름상수(Kb)보다 더 큰 값이기 때문에, 어떤 용액의 어는점내림(ΔTf)은 끓는점오름(ΔTb)보다 더 큰 값이 나옵니다. ( 관련 예제 https://ywpop.tistory.com/3935 ) 온도 차이 값(ΔT)이 클수록 즉, 변화(Δ)가 클수.. 2015. 10. 12.
800 K I2(g) ⇌ 2I(g) Kc = 3.1×10^(-5) 10.0 L 2.67×10^(-2) g I(g) 800 K I2(g) ⇌ 2I(g) Kc = 3.1×10^(-5) 10.0 L 2.67×10^(-2) g I(g) 800 K에서 I2(g) ⇌ 2I(g) 반응의 평형 상수 Kc = 3.1×10^(-5) 이다. 10.0 L 용기 안의 평형 혼합물에 2.67×10^(-2) g의 I(g)가 존재한다면, I2(g)는 몇 g 존재할까? At 800 K the equilibrium constant for I2(g) ⇌ 2I(g) is Kc = 3.1×10^(-5). If an equilibrium mixture in a 10.0 L vessel contains 2.67×10^(-2) g of I(g), how many grams of I2(g) are in the mixture? -------------------.. 2015. 10. 7.
0.01 M 암모니아 수용액의 이온화도는 4.3% 0.01 M 암모니아 수용액의 이온화도는 4.3% 25℃에서 0.01 M 암모니아 수용액의 이온화도는 4.3%이다. 다음을 구하시오. a. 평형에서 OH^-와 NH4^+의 농도? b. 평형에서 분자상태로 남아있는 암모니아의 농도? c. 암모니아의 이온화상수? --------------------------------------------------- ▶ 참고: 숫자에 %가 붙은 것은 이온화도가 아니라 이온화 백분율이다. ( 참고 https://ywpop.tistory.com/3146 ) 암모니아의 이온화 반응식 NH3(aq) + H2O(l) ⇌ NH4^+(aq) + OH^-(aq) 이온화 백분율 = ([OH^-]_평형 / [염기]_초기) × 100 4.3% = (? / 0.01) × 100 ? = 4.3.. 2015. 10. 5.
산-염기 중화반응 결과 생성되는 염은 강전해질? 약전해질? 산-염기 중화반응 결과 생성되는 염은 강전해질? 약전해질?     예를 들어,황산과 수산화바륨의 중화반응에서 생성되는 염은물에서 앙금반응을 하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그래도 강전해질입니까?       일반적으로 산-염기 중화반응 결과 생성되는 염은 강전해질인데,HCl(aq) + NaOH(aq) → NaCl(aq) + H2O(l)---> NaCl은 강전해질.   이 경우에서처럼 앙금(난용성염)을 생성하는 염의 경우에는약전해질입니다.H2SO4(aq) + Ba(OH)2(aq) → BaSO4(s) + 2H2O(l)---> BaSO4는 약전해질.       물에 잘 용해되어 전부 이온 상태로 존재해야전하를 운반할 수 있고, 그래야 강전해질이 되는데,대부분 고체인 앙금이 되면,전하를 잘 운반할 수 없습니다.--.. 2015. 10. 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