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일반화학6390

방향족 탄화수소의 물에 대한 용해도 방향족 탄화수소의 물에 대한 용해도 --------------------------------------------------- ▶ 참고: 방향족 탄화수소 [ https://ywpop.tistory.com/4750 ] 대부분의 방향족 탄화수소는 물이랑 전혀 섞이지 않는다. 왜냐하면, 방향족 고리(벤젠 고리)가 무극성이기 때문이다. 포화 탄화수소 사슬처럼, 방향족 고리는 물과 전혀 친하지 않다. [참고] 벤조산, benzoic acid의 물에 대한 용해도 ▶ 3.44 g/L (25 °C) ---> 극성인 카르복실기(–COOH)를 갖는 벤조산은 물에 약간 용해된다. ( 참고 https://ywpop.tistory.com/23431 ) [그림] benzoic acid의 구조식. [키워드] 벤조산의 구조식, b.. 2020. 12. 6.
핵 반응식의 규칙. (6)(4)Be → x + 2(1)(1)H 핵 반응식의 규칙. (6)(4)Be → x + 2(1)(1)H ---------------------------------------------------▶ 참고: 핵 반응식 균형 맞추기 [ https://ywpop.tistory.com/3094 ]--------------------------------------------------- ▶ 표기 약속: (질량수)(원자번호)원소기호 1) 질량수 보전6 = x + 2(1)x = 4 2) 원자번호 보전4 = x + 2(1)x = 2 답: x = (4)(2)He [키워드] 핵반응 기준문서, 핵분열 기준문서 2020. 12. 5.
에탄올의 탈수반응. 분자 내 탈수. 분자 간 탈수 에탄올의 탈수반응. 분자 내 탈수. 분자 간 탈수 에탄올(C2H5OH)의 산 촉매 하에서 일어나는 (1) 분자 내 탈수 반응과 (2) 분자 간 탈수 반응에 의해 생성되는 화합물은 무엇인가? --------------------------------------------------- ▶ 참고: 알코올의 탈수반응 [ https://ywpop.tistory.com/2219 ] --------------------------------------------------- (1) 에탄올의 분자 내 탈수 반응 CH3–CH2–OH → CH2=CH2 + H2O ---> ethene (ethylene) (2) 에탄올의 분자 간 탈수 반응 CH3–CH2–OH + HO–CH2–CH3 → C2H5–O–C2H5 + H2O ---.. 2020. 12. 5.
C4H8O2의 가수분해. 카르복실산 A와 알코올 B C4H8O2의 가수분해. 카르복실산 A와 알코올 B 분자식이 C4H8O2인 액체를 가수분해 시켰더니 카르복실산 A와 알코올 B가 생성되었다. B가 산화되면 A로 변한다. 1) 액체 화합물은 무엇인가? 2) 카르복실산 A는 무엇인가? 3) 알코올 B는 무엇인가? --------------------------------------------------- [참고] 아세트산 에틸의 제법 (축합 반응) [ https://ywpop.tistory.com/3716 ] ▶ 산 촉매하의 에스테르의 가수분해 ( 가수분해는 축합의 역반응 ) 답: 1) 아세트산 에틸(ethyl acetate), CH3COO-C2H5 2) 아세트산, CH3COOH 3) 에탄올, C2H5OH [ 관련 글 https://ywpop.tistory.. 2020. 12. 5.
[유기화합물 명명법] 2-chloroacetaldehyde [유기화합물 명명법] 2-chloroacetaldehyde --------------------------------------------------- [ 블로그스팟 https://ywpop.blogspot.com/2023/10/2-chloroacetaldehyde.html ] [참고] 비고리형(사슬형) 탄화수소 명명법 [ https://ywpop.tistory.com/13519 ] ▶ [PIN] Chloroacetaldehyde > Chloroethanal > 2-Chloroacetaldehyde > 2-Chloroethanal [키워드] acetaldehyde 기준, 알데히드 기준 2020. 12. 4.
–10℃ 얼음 100 g을 200℃ 수증기로(cal) –10℃ 얼음 100 g을 200℃ 수증기로(cal)       [참고] 열용량과 비열[ https://ywpop.tistory.com/2897 ]   [참고] 물의 비열[ https://ywpop.tistory.com/4948 ]       ▶ 얼음의 비열 = 0.5 cal/g•℃▶ 물의 비열 = 1 cal/g•℃▶ 수증기의 비열 = 0.24 cal/g•℃▶ 얼음의 융해 잠열 = 80 cal/g▶ 물의 증발 잠열 = 540 cal/g( 숫자 값은 문제에 따라 다를 수 있다. )       1) –10℃ 얼음을 0℃ 얼음으로 바꾸는데 필요한 열q = C m Δt= (0.5 cal/g•℃) (100 g) (10 ℃)= 500 cal       2) 0℃ 얼음을 0℃ 물로 바꾸는데 필요한 열q =.. 2020. 12. 3.
2.0×10^(-3) M HCl 100.0 mL 1.0×10^(-3) M HClO4 400.0 mL pH 2.0×10^(-3) M HCl 100.0 mL 1.0×10^(-3) M HClO4 400.0 mL pH 2.0×10^(-3) M HCl 100.0 mL와 1.0×10^(-3) M HClO4 400.0 mL를 섞은 용액의 pH (부피는 가산적이라고 가정하라.) Calculate the pH of solution prepared by: d) Mixing 100.0 mL of 2.0×10^(-3) M HCl and 400.0 mL of 1.0×10^(-3) HClO4. (Assume that volumes are additive.) --------------------------------------------------- HCl의 몰수 = H^+의 몰수 = (2.0×10^(-3) mol/L) (100.0/.. 2020. 12. 2.
[유기화합물 명명법] butyric acid [유기화합물 명명법] butyric acid       [참고] 비고리형(사슬형) 탄화수소 명명법[ https://ywpop.tistory.com/13519]   [참고] 카르복실산 명명법[ https://ywpop.tistory.com/13053 ]           ▶ butyric acid( 카르복실산은 주로 관용명(common name)으로 쓰인다. )   > [PIN] butanoic acid         ▶ 각 중심 원자의 결합각> C1의 전자 영역 = 3---> 결합각 ≈ 120°   > C2, C3, C4의 전자 영역 = 4---> 결합각 ≈ 109.5°   > C–O–H에서 O의 전자 영역 = 4---> 결합각 ≈ 109.5°( 참고 https://ywpop.tistory... 2020. 12. 2.
MgH2의 산화수 MgH2의 산화수       [참고] 산화수 구하는 규칙(rule)[ https://ywpop.tistory.com/2719 ]       MgH2 에서,Mg의 산화수 = +2 (넘버 1) 이므로,(Mg) + 2(H) = 0(+2) + 2(H) = 0       따라서H의 산화수 = –1.         [키워드] MgH2의 산화수 기준 2020. 12. 2.
78℃ 에탄올 75.0 g 응축 –114℃ 냉각 방출 열(kJ) 78℃ 에탄올 75.0 g 응축 –114℃ 냉각 방출 열(kJ)     78℃ 에탄올 75.0 g이 응축되고 –114℃로 냉각될 때방출되는 열(kJ). 에탄올 비열 = 2.46 J/g•℃   ---------------------------------------------------▶ 참고: 열용량과 비열[ https://ywpop.tistory.com/2897 ]---------------------------------------------------   (1) 78℃ 기체 → 78℃ 액체 과정에서 방출되는 열q = C m = (841 J/g) (75.0 g)= 63075 J       (2) 78℃ 액체 → –114℃ 액체 과정에서 방출되는 열q = C m Δt = (2.46 J/g•℃) (7.. 2020. 12. 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