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일반화학6388 0.1 M H2A 25 mL + 0.1 M NaOH 적정. 적정 전 0.1 M H2A 25 mL + 0.1 M NaOH 적정. 적정 전 2가 약산-강염기 적정. H2A + NaOH 적정 > H2A의 Ka1 = 1.3×10^(-2) > H2A의 Ka2 = 5.9×10^(-7) --------------------------------------------------- > H2A(aq) ⇌ H^+(aq) + HA^-(aq) ... Ka1 = 1.3×10^(-2) > HA^-(aq) ⇌ H^+(aq) + A^2-(aq) ... Ka2 = 5.9×10^(-7) Ka1 >>> Ka2 이므로, Ka2 과정에서 생성된 H^+의 양은 무시. Ka1 = x^2 / C–x ( 참고 https://ywpop.tistory.com/4294 ) 1.3×10^(-2) = x^2 / 0.1–x 0.. 2020. 12. 27. redox balance. I3^- + S2O3^2- → I^- + S4O6^2- (acidic/basic) redox balance. I3^- + S2O3^2- → I^- + S4O6^2- (acidic/basic) 산화-환원 반응 완성하기. S2O3^2- + I3^- → S4O6^2- + I^- --------------------------------------------------- ▶ 참고: 산화-환원 반응 균형 맞추기 (산성 용액) [ https://ywpop.tistory.com/4264 ] ▶ 참고: 산화-환원 반응 균형 맞추기 (염기성 용액) [ https://ywpop.tistory.com/6321 ] --------------------------------------------------- 1. 반쪽 반응식 나누기 산화: S2O3^2- → S4O6^2- (S의 산화수는 +2에서 +5/2로 .. 2020. 12. 27. 한계반응물과 수율. A 3 mol B 2 mol 반응 C 4 mol 생성 한계반응물과 수율. A 3 mol B 2 mol 반응 C 4 mol 생성 다음 반응식에 따라 A 3 mol과 B 2 mol이 반응하여 C 4 mol이 생성되었다면 이 반응의 퍼센트 수율(%)은? 2A + B → 3C + D 다음 반응 2A + B → 3C + D 에서 3.0 mol A, 2.0 mol B가 반응하여 4.0 mol C가 생성되었다면 이 반응의 수득률은 얼마인가? --------------------------------------------------- 한계반응물 관련 문제인데, 교재 해설에 나오듯이, 화학 평형 문제 계산할 때나 사용하는 ICE 도표로 풀이할 필요는 없다. 2A + B → 3C + D A : B = 2 : 1 계수비(= 몰수비) 이므로, 3 mol A와 화학량론적으로 반응.. 2020. 12. 23. 제19장 화학 열역학. 목차 ★ 제19장 화학 열역학. 목차 Chemical Thermodynamics --------------------------------------------------- ▶ 참고: 일반화학 목차 [ https://ywpop.tistory.com/12971 ] --------------------------------------------------- 19.1 자발적 과정. Spontaneous Processes [ https://ywpop.tistory.com/2750 ] 자발적 과정과 비자발적 과정 [ https://ywpop.tistory.com/2751 ] 자발적 과정과 열역학 제1법칙 [ https://ywpop.tistory.com/16297 ] 가역 과정과 비가역 과정 19.2 엔트로피와 열역학 제.. 2020. 12. 23. 폐수의 2일과 4일 배양결과 BOD값이 각각 125, 225 mg/L 폐수의 2일과 4일 배양결과 BOD값이 각각 125, 225 mg/L 폐수의 2일과 4일 배양결과 BOD값이 각각 125, 225 mg/L일 때5일에 배양한 BOD값은? 단, 1차 반응이라고 가정. --------------------------------------------------- 1차 반응식ln([A]_t / [A]_0) = -kt( 참고 https://ywpop.tistory.com/26 ) Δt = 4일 – 2일 = 2일 = t ln(225 / 125) = -k(2) k = -ln(225 / 125) / (2)= -0.2939 만약 2일 배양 값을 사용한다면,Δt = 5일 – 2일 = 3일 = t ln(? / 125) = -(-0.2939) (3) ? = e^[-(-0.2939) (3)] .. 2020. 12. 22. 세균 감소는 1차 반응. 오존 0.05 ppm 80% 사멸 10분 세균 감소는 1차 반응. 오존 0.05 ppm 80% 사멸 10분 세균의 수가 mL당 1000마리 검출되었는데이 용액을 오존농도 0.05 ppm으로 소독하여80% 사멸시키는데 시간이 10분 소요되었다.최종 세균수를 50마리까지만 허용한다면시간이 몇 분 걸리겠는가?단, 세균의 감소는 1차 반응식을 따른다. --------------------------------------------------- 80% 사멸---> 1000마리가 200마리로 감소. 1차 반응식ln([A]_t / [A]_0) = -kt( 참고 https://ywpop.tistory.com/26 ) ln(200 / 1000) = -k(10) k = -ln(200 / 1000) / (10)= 0.161 ln(50 / 1000) = -(0.16.. 2020. 12. 21. NH3 완충용액 + 0.03 M NaOH 10 mL NH3 완충용액 + 0.03 M NaOH 10 mL (0.50 M NH3 + 0.45 M NH4Cl 90 mL) + 0.03 M NaOH 10 mL NH4^+의 pKa = 9.25 --------------------------------------------------- pKb = 14.00 – 9.25 = 4.75 ( 참고 https://ywpop.tistory.com/2937 ) > NH3의 몰수 = (0.50 mol/L) (90/1000 L) = 0.045 mol > NH4^+의 몰수 = (0.45 mol/L) (90/1000 L) = 0.0405 mol [1] 완충용액의 pH Henderson-Hasselbalch 식 pOH = pKb + log([짝산]/[약염기]) ( 참고 https://yw.. 2020. 12. 21. redox Mg + 2AgNO3 → Mg(NO3)2 + 2Ag redox Mg + 2AgNO3 → Mg(NO3)2 + 2Agredox 2AgNO3 + Mg → Mg(NO3)2 + 2Ag [참고] 산화수 구하는 규칙(rule)[ https://ywpop.tistory.com/2719 ] ▶ 분자 반응식> Mg(s) + 2AgNO3(aq) → Mg(NO3)2(aq) + 2Ag(s)> Mg + 2AgNO3 → Mg(NO3)2 + 2Ag ▶ 완전 이온 반응식> Mg(s) + 2Ag^+(aq) + 2NO3^-(aq)→ Mg^2+(aq) + 2NO3^-(aq) + 2Ag(s)> Mg + 2Ag^+ + 2NO3^- → Mg^2+ + 2NO3^- + 2Ag ※ 구경꾼 이온: 2NO3^-(aq)( 참고: 구경꾼 이온 https:.. 2020. 12. 21. 달걀 1개 껍질 속 탄산칼슘(CaCO3)의 질량 달걀 1개 껍질 속 탄산칼슘(CaCO3)의 질량 1. 달걀 껍질은 탄산칼슘(CaCO3)으로만 이루어져있다.2. CaCO3의 화학식량은 100이다.3. 탄산칼슘과 묽은 염산의 화학 반응식은 다음과 같다.CaCO3(s) + 2HCl(aq) → CaCl2(aq) + CO2(g) + H2O(l)4. 1 M 염산(HCl(aq)) 100 mL에 달걀 1개를 넣어 달걀 껍질을 모두 녹인다.5. 반응 후 남은 염산에 0.1 M 수산화나트륨 수용액(NaOH(aq)) 300 mL를 넣었더니 완전히 중화되었다. 이때 달걀 1개의 껍질 속에 들어있는 탄산칼슘(CaCO3)의 질량(g)을 구하시오. [참고] 탄산칼슘은 염기성염[ https://ywpop.tistory.com/5873 ] > 달걀 껍데기.. 2020. 12. 21. Al(OH)3의 몰용해도. Ksp = 2.0×10^(-32) Al(OH)3의 몰용해도. Ksp = 2.0×10^(-32) Calculate the molar solubility of Al(OH)3.Ksp = 2.0×10^(-32) Al(OH)3(s) ⇌ Al^3+(aq) + 3OH^-(aq)Ksp = [Al^3+][OH^-]^3 = (s) (3s)^3 = 27s^4 s = (Ksp / 27)^(1/4)( 참고 https://ywpop.tistory.com/8434 ) = [ (2×10^(-32)) / 27 ]^(1/4)= 5×10^(-9) M --------------------------------------------------- Ksp = 2.0×10^(-32)---> Al(.. 2020. 12. 20. 이전 1 ··· 445 446 447 448 449 450 451 ··· 639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