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일반화학/[24장] 생명의 화학: 유기화학과 생화학383

아민. amine 아민. amine [참고] 비고리형(사슬형) 탄화수소 명명법[ https://ywpop.tistory.com/13519 ] ▶ 명명법 : –ane → –yl + amine예) CH4 → CH3NH2methane → methyl + amine → methylamine ▶ 암모니아, NH3에서N에 연결된 H–가 R–로 바뀐 유기 화합물.( 참고: 알킬기 https://ywpop.tistory.com/6274 ) ▶ N에 연결된 알킬기(R–)의 개수에 따라,> 1차 아민: CH3NH2, methylamine> 2차 아민: (CH3)2NH, dimethylamine> 3차 아민: (CH3)3N, trimethylamine [ 관.. 2019. 2. 7.
아마이드 화합물. amide compound 아마이드 화합물. amide compound --------------------------------------------------- ▶ 참고: 탄화수소 유도체와 작용기 [ https://ywpop.tistory.com/2210 ] --------------------------------------------------- ▶ 질소 원자(N)가 카르보닐기(R-C=O), RSO2, R2PO 작용기와 연결된 유기 화합물. [ 그림 출처 Wikimedia ] Three general structural formula for three types of amides. ▶ 일반적으로는, 질소 원자(N)가 카르보닐(C=O) 작용기와 연결된 유기 화합물을 의미한다. [그림] amide group. ( 참고: Ami.. 2019. 2. 7.
부타디엔의 기하구조 부타디엔의 기하구조 geometric structure of buta-1,3-diene The butadiene has a planar structure as conjugation from the pi bonds spreads out along the carbon backbone. [ 관련 글 https://chem.libretexts.org/Textbook_Maps/Organic_Chemistry ] 3D structure of Buta-1,3-diene. > 1,3-butadiene의 화학식: C4H6 > 1-butyne의 화학식: C4H6 ( 참고 https://ywpop.tistory.com/22513 ) [ 관련 글 https://ywpop.tistory.com/24508 ] 삼중결합 2개. b.. 2018. 12. 21.
비고리형(acyclic) 탄화수소 명명법. 사슬형 탄화수소 명명법 비고리형(acyclic) 탄화수소 명명법. 사슬형 탄화수소 명명법 --------------------------------------------------- ▶ 참고: 탄화수소의 분류 [ https://ywpop.tistory.com/4750 ] ▶ 참고: 탄화수소의 일반식 [ https://ywpop.tistory.com/7461 ] --------------------------------------------------- 1. 단일 결합을 갖는 포화탄화수소. 알케인 (alkane), 알칸 1) 메테인 (methane), 메탄: CH4 2) 에테인 (ethane), 에탄: C2H6 3) 프로페인 (propane), 프로판: C3H8 4) 뷰테인 (butane), 부탄: C4H10 5) 펜테인 (pe.. 2018. 12. 13.
유기화학에서 헤테로원자. heteroatom 유기화학에서 헤테로원자. heteroatom ------------------------ ▶ 헤테로 (hetero)> 그리스어의 헤테로스(heteros)에서 나온 접두어로,헤테로 = ‘다른(different)’> 화학에서, 호모(homo)에 대응하는 용어.> 균일(homogeneous) vs. 불균일(heterogeneous)( 참고: 균일 촉매, 불균일 촉매 https://ywpop.tistory.com/5497 )( 참고: 균일 반응, 불균일 반응 https://ywpop.tistory.com/2883 ) ▶ 헤테로원자 (heteroatom)> 유기화학에서 헤테로원자란“탄소(C), 수소(H)가 아닌 모든 원자”를 가리킨다.> CHONSP에서 C, H를 제외한“O, N, S, P .. 2018. 11. 17.
비고리형(사슬형) 탄화수소의 명명법. 모체 및 치환체 비고리형(사슬형) 탄화수소의 명명법. 모체 및 치환체 --------------------------------------------------- ▶ 참고: 비고리형(사슬형) 탄화수소 명명법 [ https://ywpop.tistory.com/13519 ] --------------------------------------------------- ▶ 치환체의 번호는 가장 낮은 번호가 되도록 배정한다. ( 치환기의 숫자는 가장 작은 숫자가 되도록 매긴다. ) 예1) 2,7,8-trimethyldecane 2,7,8-트라이메틸데케인 ( not 3,4,9-trimethyldecane ) ---> 첫 번째 숫자가 더 작은 2,7,8-치환체의 이름을 선택한다. ( 3보다 작은 2가 우선순위 ) 예2) 2,3,5-.. 2018. 7. 12.
C3H4의 다중결합 구조. 알렌, allene C3H4의 다중결합 구조. 알렌, allene     HC≡C–CH3와 같이 삼중결합 1개와 단일결합 1개인 구조인데,H2C=C=CH2와 같이 이중결합 2개인 구조는 없나요?       있습니다.   H2C=C=CH2 구조에서,가운데 탄소는 sp 혼성이므로,양쪽의 sp^2 혼성 탄소와 각각 1개씩 π-결합을 할 수 있습니다.이런 탄화수소 화합물들을 ‘알렌, allene’이라고 합니다.     [그림] propa-1,2-diene, the simplest allene.( 참고 https://ywpop.tistory.com/14654 )   > allene: a molecule having two carbon-carbon double bondsthat share a single sp carbon    .. 2018. 5. 31.
R-S 결정. (R)-2,3-dihydroxypropanal ★ R-S 결정. (R)-2,3-dihydroxypropanal --------------------------------------------------- ▶ 4순위가 뒤쪽으로 놓여 있으면, 1순위 → 2순위 → 3순위 순으로 회전시켰을 때 시계방향이면, R 반시계방향이면, S ▶ 4순위가 앞쪽으로 놓여 있으면, 1순위 → 2순위 → 3순위 순으로 회전시켰을 때 시계방향이면, S 반시계방향이면, R ▶ 우선순위 –OH > –CHO > –CH2OH > –H ( 참고 https://ywpop.tistory.com/3967 ) ▶ 4순위인 H가 앞쪽으로 놓여있으므로, 1순위 → 2순위 → 3순위 순으로 회전시켰을 때 반시계방향이므로, R [ 관련 글 https://ywpop.tistory.com/23730 ] .. 2018. 2. 17.
C3H6Cl2 isomers. 1,2-dichloropropane C3H6Cl2 isomers. 1,2-dichloropropane --------------------------------------------------- C3H6Cl2의 구조 이성질체의 수는 4개입니다. > 1,1-dichloropropane: CHCl2CH2CH3 > 1,2-dichloropropane: CH2ClCHClCH3 > 1,3-dichloropropane: CH2ClCH2CH2Cl > 2,2-dichloropropane: CH3CCl2CH3 그런데 1,2-dichloropropane의 경우, 2번 탄소(C)가 키랄탄소이기 때문에, ( 참고: 키랄탄소 https://ywpop.tistory.com/6680 ) 한 쌍의 입체 이성질체를 가집니다. ( 참고: R-형, S-형 https://y.. 2017. 12. 30.
모든 탄화수소는 무극성 모든 탄화수소는 무극성all hydrocarbons are non-polar       기본적으로모든 탄화수소는 무극성이라 간주합니다.all hydrocarbons are considered nonpolar( 모든 포화탄화수소는 예외 없이 무극성 )( 참고: 탄화수소의 종류 https://ywpop.tistory.com/4750 )       왜냐하면탄화수소는 오로지 탄소(C)와 수소(H)만으로 이루어진 화합물인데,탄소와 수소의 전기음성도 차이가 매우 작아서,( 참고: 전기음성도 https://ywpop.tistory.com/2567 )   C–H 결합에 극성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미미한 극성이 생기나, 이를 무시합니다. )( 참고: C–H 결합은 무극성 https://ywpop.tistor.. 2017. 12. 1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