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일반화학/[24장] 생명의 화학: 유기화학과 생화학372

redox balance. Cr2O7^2- + I^- → Cr^3+ + I2 (acidic) redox balance. Cr2O7^2- + I^- → Cr^3+ + I2 (acidic) 산화-환원 반응 완성하기. Cr2O7^2-(aq) + I^-(aq) → Cr^3+(aq) + I2(s) --------------------------------------------------- ▶ 참고: 산화-환원 반응 균형 맞추기 (산성 용액) [ https://ywpop.tistory.com/4264 ] --------------------------------------------------- 1. 반쪽 반응식 나누기 산화: I^- → I2 (I의 산화수는 –1에서 0으로 증가, I^-는 산화됨.) 환원: Cr2O7^2- → Cr^3+ (Cr의 산화수는 +6에서 +3으로 감소, Cr2O7^2-는 환원됨... 2017. 12. 14.
단백질. proteins 단백질. proteins아미노산과 단백질 (amino acids and proteins)       ☆ 아미노산 (= 탄화수소 유도체)( 참고: 아미노산 https://ywpop.tistory.com/7992 )   ▶ 카르복실기(–COOH), 아미노기(–NH2) 둘 다 존재하는 화합물   ▶ α-아미노산: 카르복실기와 직접 연결된 탄소(α-탄소)에아미노기가 결합하고 있기 때문에   ▶ (pH=7에서) 쯔비터 이온(zwitterion), 양쪽성 이온         ☆ 폴리펩티드와 단백질   ▶ 한 아미노산의 카르복실기와 다른 아미노산 아미노기의 축합 반응⇨ 아미드기 생성 = 펩티드 결합 (peptide bond)( 참고: 펩티드 결합 https://ywpop.tistory.com/16852 )   .. 2017. 11. 28.
아미노산. amino acid 아미노산. amino acid --------------------------------------------------- ▶ 참고: 제24장 생명의 화학: 유기화학과 생화학 [ https://ywpop.tistory.com/19821 ] --------------------------------------------------- [ 그림 출처 Wikimedia ] 인체 내에는 알킬기(–R)의 종류에 따라 20여종의 아미노산이 존재한다. > 11개는 체내에서 합성 > 합성 못하는 9개는 식품으로 섭취 ⇨ 필수 아미노산 아미노산은 한 분자 내에 염기성을 띠는 아미노기(–NH2)와 산성을 띠는 카르복실기(–COOH)를 동시에 갖고 있는 “양쪽성 화합물”이다. 이런 물질을 “쯔비터 이온 (zwitterion).. 2017. 11. 17.
고리형 포화 탄화수소 고리형 포화 탄화수소 cycloalkanes. saturated cyclic hydrocarbon [ 그림 출처 Wikimedia ] cyclopropane, cyclobutane, cyclopentane, cyclohexane. 각 화합물의 모든 탄소 원자는 4개의 결합을 하고 있기 때문에, sp3 혼성 오비탈. ( 참고: 혼성 오비탈 https://ywpop.tistory.com/2639 ) [그림] cyclopropane, 사이클로프로페인, 시클로프로판, 사이클로프로판. [그림] cyclobutane, 사이클로뷰테인, 시클로부탄, 사이클로부탄. [그림] cyclopentane, 사이클로펜테인, 시클로펜탄, 사이클로펜탄. [그림] cyclohexane, 사이클로헥세인, 시클로헥산, 사이클로헥산. [ .. 2017. 10. 19.
탄화수소의 일반식 탄화수소의 일반식 ▶ 탄소 수(n)를 기준으로 하는 일반식 > 알케인 (alkane) 또는 알칸 > 사이클로알케인 (cycloalkane) 또는 시클로알케인, 사이클로알칸, 시클로알칸 > 알켄 (alkene) > 알카인 (alkyne) 또는 알킨 > A: 포화 탄화수소 > B, C: 불포화 탄화수소 ( 참고: 탄화수소 화합물의 분류 https://ywpop.tistory.com/4750 ) ( 참고: 고리형 포화 탄화수소 https://ywpop.tistory.com/7779 ) ▶ 몇 가지 간단한 탄화수소의 화학식 > 탄화수소 분자식에서 수소 원자의 숫자는 짝수. > 즉, 홀수개의 수소 원자를 갖는 탄화수소 분자는 없다. ▶ 포화 탄화수소의 끓는점, 녹는점, 이성질체의 개수 > 끓는점을 보면, 상온(2.. 2017. 7. 8.
광학활성 물질과 편광계 광학활성 물질과 편광계 --------------------------------------------------- ▶ 광학활성 물질 > 편광계의 편광된 빛(편광)을 회전시키는 물질 ( 참고 https://ywpop.tistory.com/2930 ) [ 그림 출처 commons.wikimedia.org ] Schematic of a polarimeter showing the principles behind its operation. Unpolarised light is passed through a polarising filter before travelling through a sample. The degree of rotation of polarisation is determined by a seco.. 2017. 5. 4.
What does ‘acet’ prefix mean in chemistry? What does ‘acet’ prefix mean in chemistry? Why is the prefix ‘acet’ used with acetone? Why is the prefix ‘acet’ used with acetonitrile? --------------------------------------------------- ‘acet–’ 접두사는 아세틸기(acetyl group, 약어 Ac)를 의미합니다. ‘acet–’ refers to the acetyl group. [그림] acetyl group. 예) > acetic acid, CH3–CO–OH > acetyl chloride, CH3–CO–Cl > acetaldehyde, CH3–CO–H > acetone, CH3–CO–CH3 > ac.. 2017. 4. 24.
[유기화합물 명명법] cyclohexa-1,3-diene [유기화합물 명명법] cyclohexa-1,3-diene --------------------------------------------------- ▶ 참고: 비고리형(사슬형) 탄화수소 명명법 [ https://ywpop.tistory.com/13519 ] --------------------------------------------------- > 1-methylcyclohexa-1,3-diene > 2-methylcyclohexa-1,3-diene > 3-methylcyclohexa-1,4-diene [키워드] cyclohexadiene 기준문서 2017. 4. 19.
비대칭탄소, 부제탄소, 키랄탄소 ★ 비대칭탄소, 부제탄소, 키랄탄소asymmetric carbon atom. chiral carbon       ▶ 비대칭 탄소, 부제 탄소, 키랄 탄소> 4개의 다른 원자 혹은 치환기와 결합하여 키랄 중심을 형성하는 탄소 원자   > 4개의 각기 다른 원자 또는 원자단이 붙어있는 탄소   > 탄소 원자에 연결된 4개 원자 또는 원자단이 모두 다른 탄소( carbon atom that is attached to four different typesof atoms or groups of atoms )   > 아래 그림에서 빨강색(red) 탄소가 키랄 탄소             ▶ D-글루코오스의 부제 탄소     > 3번 탄소의 4개 원자 또는 원자단 설명첫 번째: A 원자단두 번째: H 원자세 번.. 2017. 3. 20.
카르복실산의 이온화. 카르복실기의 이온화. 아세트산의 이온화 ★ 카르복실산의 이온화. 카르복실기의 이온화. 아세트산의 이온화ionization of carboxylic acids. ionization of acetic acids           CH3COOH(aq) + H2O(l) ⇌ H3O^+(aq) + CH3COO^-(aq)또는 간단히,CH3COOH(aq) ⇌ H^+(aq) + CH3COO^-(aq)       ▶ CH3COOH or HC2H3O2> 아세트산. acetic acid   ▶ CH3COO^- or C2H3O2^-> 아세트산 이온. acetate (아세테이트)> acetate anion (아세테이트 음이온)     ---------------------------------------------------     –COOH에서 –OH기에 있.. 2017. 3. 1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