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일반화학/[13장] 용액의 성질184

26℃에서 5.00 M 요소 수용액의 삼투압(atm) 26℃에서 5.00 M 요소 수용액의 삼투압(atm) --------------------------------------------------- π = MRT ( 참고 https://ywpop.tistory.com/1921 ) = (5.00) (0.08206) (273.15+26) = 122.74 atm 답: 123 atm [키워드] 요소 용액의 삼투압 기준문서 2021. 6. 13.
설탕 수용액의 증기압내림. 20℃ 2.0 mmHg water 552 g 설탕 수용액의 증기압내림. 20℃ 2.0 mmHg water 552 g 20℃에서 순수한 물보다 증기압이 2.0 mmHg 낮은 용액을 만들기 위해서는 물 552 g에 몇 g의 설탕(C12H22O11)을 가해야 하나? 20℃에서 물의 증기압은 17.5 mmHg --------------------------------------------------- C12H22O11의 몰질량 = 342.30 g/mol Raoult의 법칙으로 용질(C12H22O11)의 몰분율(X_용질)을 계산하면, ΔP = X_용질 × P°_용매 ( 참고: 라울의 법칙 https://ywpop.tistory.com/2646 ) X_용질 = ΔP / P°_용매 = 2.0 mmHg / 17.5 mmHg = 0.1142857 용매(H2O)의 .. 2021. 6. 13.
100 g 물과 글루코즈 10 g을 포함하는 용액의 어는점 100 g 물과 글루코즈 10 g을 포함하는 용액의 어는점 100 g의 물과 글루코즈(C6H12O6) 10 g을 포함하는 용액의 어는점 --------------------------------------------------- C6H12O6의 몰질량 = 180.16 g/mol 이므로, 10 g / (180.16 g/mol) = 0.055506 mol C6H12O6 (용질) ( 참고 https://ywpop.tistory.com/7738 ) 몰랄농도 = 용질 mol수 / 용매 kg수 ( 참고 https://ywpop.tistory.com/2667 ) = 0.055506 mol / 0.100 kg = 0.55506 m ΔTf = Kf × m ( 참고 https://ywpop.tistory.com/1920 .. 2021. 6. 13.
MCl3 725 mL H2O 31.15 g –2.11℃ M^3+ MCl3 725 mL H2O 31.15 g –2.11℃ M^3+ MCl3 수용액은 725 mL의 H2O(d=1.00 g/mL)에 31.15 g의 전해질을 녹여서 만들었다. 이 용액은 -2.11℃에서 언다. M^3+로 나타낸 원자는 무엇인가? (MCl3는 M^3+와 Cl^-로 완전히 해리된다.) --------------------------------------------------- MCl3(aq) → M^3+(aq) + 3Cl^-(aq) ---> i = 4 ΔTf = i × Kf × m ( 참고 https://ywpop.tistory.com/1920 ) m = ΔTf / (i × Kf) = 2.11 / (4 × 1.86) = 0.2836 m 몰랄농도(m) = 용질 mol수 / 용매 kg수 용질 mol.. 2021. 6. 5.
K3PO4 2.5 mol + 물 1.0 kg 용액의 끓는점(℃) K3PO4 2.5 mol + 물 1.0 kg 용액의 끓는점(℃) 강전해질 인산 포타슘, K3PO4 2.5 mol을 물 1.0 kg에 녹인 용액의 끓는점(℃) 단, 물의 Kb = 5.2 ℃/m --------------------------------------------------- K3PO4(aq) → 3K^+(aq) + PO4^3-(aq) ---> i = 4 몰랄농도 = 용질 mol수 / 용매 kg수 = 2.5 mol / 1.0 kg = 2.5 m ΔTb = i × Kb × m ( 참고 https://ywpop.tistory.com/1920 ) = (4) (0.52) (2.5) = 5.2℃ 물의 끓는점 = 100℃ 이므로, 답: 105.2℃ [키워드] K3PO4 용액의 끓는점오름 기준문서 2021. 6. 5.
영하 15℃ 부동액 물 11 mg 글리세롤(C3H8O3) 영하 15℃ 부동액 물 11 mg 글리세롤(C3H8O3) 영하 15℃에서 얼지 않는 부동액을 만들려고 할 때 물 11 mg에 넣어야 할 글리세롤(C3H8O3)의 양 --------------------------------------------------- ΔTf = Kf × m ( 참고 https://ywpop.tistory.com/1920 ) m = ΔTf / Kf = 15℃ / (1.86 ℃/m) = 8.0645 m m = 용질 mol수 / 용매 kg수 용질 mol수 = m × 용매 kg수 = (8.0645 mol/kg) (11 mg) (1 g / 1000 mg) (1 kg / 1000 g) = 8.87×10^(-5) mol C3H8O3 C3H8O3의 몰질량 = 92.09 g/mol (8.87×10.. 2021. 6. 4.
강전해질인 KCl 1.5 mol을 1 kg 물에 녹였을 때 용액의 어는점 강전해질인 KCl 1.5 mol을 1 kg 물에 녹였을 때 용액의 어는점 --------------------------------------------------- ▶ 참고: 어는점내림 [ https://ywpop.tistory.com/1920 ] m = 1.5 mol / 1 kg = 1.5 m ΔTf = i × Kf × m = (2) (1.86 ℃/m) (1.5 m) = 5.58℃ 답: –5.6℃ 2021. 6. 1.
50.0 g 물 + 4.00 g 용질 52.5 mL 용액 어는점 –0.86℃ 50.0 g 물 + 4.00 g 용질 52.5 mL 용액 어는점 –0.86℃ 물 50.0 g에 4.00 g 용질 X를 녹인 용액의 부피는 52.5 mL이고 어는점은 –0.86℃이다. X의 몰랄농도, 몰분율 및 몰농도를 계산하라. --------------------------------------------------- ▶ 참고: 용액의 농도 표시법 [ https://ywpop.tistory.com/2655 ] 어는점내림, ΔTf = Kf × m ( 참고 https://ywpop.tistory.com/1920 ) m = ΔTf / Kf = (0.86 ℃) / (1.86 ℃/m) = 0.4624 m ---> X의 몰랄농도 (0.4624 mol/kg) (50.0/1000 kg) = 0.02312 mol 용질.. 2021. 5. 25.
단백질 2 g 1000 mL 용액 삼투압 25℃ 0.021 atm 단백질 몰질량 단백질 2 g 1000 mL 용액 삼투압 25℃ 0.021 atm 단백질 몰질량 단백질 2 g을 용해시켜 만든 1000 mL 용액의 삼투압이 25℃에서 0.021 atm일 때 단백질의 몰질량은 얼마인가? --------------------------------------------------- π = MRT ( 참고 https://ywpop.tistory.com/1921 ) M = π / RT = 0.021 / [(0.08206) (273.15+25)] = 0.0008583 mol/L (0.0008583 mol/L) (1 L) = 0.0008583 mol 단백질 ( 참고 https://ywpop.tistory.com/7787 ) 단백질의 몰질량을 계산하면, 2 g / 0.0008583 mol = 233.. 2021. 5. 24.
물 1000 g에 설탕 400 g을 녹인 용액의 어는점 물 1000 g에 설탕 400 g을 녹인 용액의 어는점(설탕 분자량 = 342)       400 g / (342 g/mol) = 1.17 mol 설탕 (용질)( 참고 https://ywpop.tistory.com/7738 )       몰랄농도 = 용질 mol수 / 용매 kg수= 1.17 mol / 1 kg= 1.17 mol/kg       ΔTf = Kf × m( 참고 https://ywpop.tistory.com/1920 )   = (1.86 ℃/m) (1.17 m)= 2.18℃       물의 어는점이 0℃이므로,답: –2.18℃         [ 관련 글 https://ywpop.tistory.com/470660 ]물 200 g에 설탕 4 g을 녹인 용액의 끓는점과 어는점을 구하.. 2021. 5. 1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