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공학&기술/위험물기사548

산성염으로만 나열된 것. NaHSO4, Ca(HCO3)2 산성염으로만 나열된 것. NaHSO4, Ca(HCO3)2 다음 중 산성염으로만 나열된 것은? ① NaHSO4, Ca(HCO3) ② Ca(OH)Cl, Cu(OH)Cl ③ NaCl, Cu(OH)Cl ④ Ca(OH)Cl, CaCl2 --------------------------------------------------- ▶ 참고: 산성염 염기성염 중성염 [ https://ywpop.tistory.com/4300 ] 우선, Ca(HCO3) 는 오타이고, 올바른 화학식은 Ca(HCO3)2 이다. NaCl, CaCl2는 ‘확실한’ 중성염이므로, ③ NaCl, Cu(OH)Cl ④ Ca(OH)Cl, CaCl2 탈락. 정답은 ① NaHSO4, Ca(HCO3)2 ② Ca(OH)Cl, Cu(OH)Cl 중 하나. 여담이지.. 2021. 6. 24.
배수비례의 법칙이 적용 가능한 화합물을 옳게 나열한 것. CO, CO2 배수비례의 법칙이 적용 가능한 화합물을 옳게 나열한 것. CO, CO2 배수비례의 법칙이 적용 가능한 화합물을 옳게 나열한 것은? ① CO, CO2 ② HNO3, HNO2 ③ H2SO4, H2SO3 ④ O2, O3 --------------------------------------------------- “배수 비례의 법칙” 정의만 알고있으면 풀 수 있는 너무나도 쉬운 문제이다. [배수 비례의 법칙, Law of multiple proportions] ▶ 다른 두 원소 A, B가 결합하여 2종류 이상의 화합물을 만들 때, A의 일정량과 결합하는 B의 질량 사이에는 간단한 정수비가 성립한다. ( 참고 https://ywpop.tistory.com/4944 ) [팁] 비교하는 두 화합물에 존재하는 원소의 .. 2021. 6. 24.
할로젠족 분자 중 수소와 반응성이 가장 높은 것. F2 할로젠족 분자 중 수소와 반응성이 가장 높은 것. F2 다음 할로젠족 분자 중 수소와의 반응성이 가장 높은 것은? ① Br2 ② F2 ③ Cl2 ④ I2 --------------------------------------------------- ▶ 참고: 할로겐 이원자분자의 결합 해리 에너지 [ https://ywpop.tistory.com/3879 ] 공유결합 화합물의 안정도는 결합(해리) 에너지와 비례. 결합 에너지가 가장 낮으면서 기체 상태인 F2가 반응성이 가장 높다. 답: ② F2 2021. 6. 24.
메틸알코올 에틸알코올 구별할 수 있는 실험 방법 메틸알코올 에틸알코올 구별할 수 있는 실험 방법 메틸알코올과 에틸알코올이 각각 다른 시험관에 들어있다. 이 두 가지를 구별할 수 있는 실험 방법은? ① 금속 나트륨을 넣어본다. ② 환원시켜 생성물을 비교하여 본다. ③ KOH와 I2의 혼합 용액을 넣고 가열하여 본다. ④ 산화시켜 나온 물질에 은거울 반응시켜 본다. --------------------------------------------------- 요오드포름 반응에 의해, ( triiodomethane reaction or iodoform reaction. iodoform test ) 에틸알코올은 황색 침전물 생성. 메틸알코올은 무반응. 답: ③ KOH와 I2의 혼합 용액을 넣고 가열하여 본다. 2021. 6. 23.
기체상태의 염화수소는 어떤 화학결합으로 이루어진 화합물 기체상태의 염화수소는 어떤 화학결합으로 이루어진 화합물 기체상태의 염화수소는 어떤 화학결합으로 이루어진 화합물인가? ① 극성 공유결합 ② 이온 결합 ③ 비극성 공유결합 ④ 배위 공유결합 --------------------------------------------------- ▶ 참고: 3가지 화학결합 [ https://ywpop.tistory.com/3036 ] 염화수소, H–Cl 1) 비금속 + 비금속 결합이므로, 공유결합. 2) 서로 다른 원자간 공유결합이므로, 극성 공유결합. 답: ① 극성 공유결합 2021. 6. 23.
0.1 M 아세트산 용액의 해리도 0.1 M 아세트산 용액의 해리도     0.1 M 아세트산 용액의 해리도를 구하면 약 얼마인가?(단, 아세트산의 해리상수는 1.8×10^(-5) 이다.)       HA(aq) ⇌ H^+(aq) + A^-(aq)CH3COOH(aq) ⇌ H^+(aq) + CH3COO^-(aq)   Ka = [H^+][A^-] / [HA] = (x)(x) / (C–x)( 참고 https://ywpop.tistory.com/4294 )       C–x ≒ C 라 근사처리하면,Ka = x^2 / C   x = [Ka × C]^(1/2)= [(1.8×10^(-5)) × 0.1]^(1/2)= 0.00134 M = [H^+]       해리도(α) = [H^+]_평형 / [H.. 2021. 6. 23.
다음 반응속도식에서 2차 반응인 것. V = k [A] [B] 다음 반응속도식에서 2차 반응인 것. V = k [A] [B] 다음 반응속도식에서 2차 반응인 것은? ① V = k [A]^(1/2) [B]^(1/2) ② V = k [A] [B] ③ V = k [A] [B]^2 ④ V = k [A]^2 [B]^2 --------------------------------------------------- ▶ 반응 차수(reaction order) > 속도 법칙에 나타낸 모든 반응물 농도의 지수항의 합 ( 참고 https://ywpop.tistory.com/30 ) ① V = k [A]^(1/2) [B]^(1/2) (1/2) + (1/2) = 1 ---> 1차 반응 ② V = k [A] [B] 1 + 1 = 2 ---> 2차 반응 ③ V = k [A] [B]^2 1 + .. 2021. 6. 23.
실제 기체는 어떤 상태일 때 이상 기체 방정식에 잘 맞는가 실제 기체는 어떤 상태일 때 이상 기체 방정식에 잘 맞는가 실제 기체는 어떤 상태일 때 이상 기체 방정식에 잘 맞는가? ① 온도가 높고 압력이 높을 때 ② 온도가 낮고 압력이 낮을 때 ③ 온도가 높고 압력이 낮을 때 ④ 온도가 낮고 압력이 높을 때 --------------------------------------------------- ▶ 이상 기체의 특징 > 기체 분자간 상호작용 ‘없다’. ( 참고 https://ywpop.tistory.com/5303 ) ▶ 그러나 실제 기체는? > 기체 분자간 상호작용 ‘있다’. ▶ 그렇다면 어떨 때 실제 기체들끼리의 상호작용이 최소가 될까? ---> 서로 최대한 멀리 떨어져 있을 때. ---> 이것을 생각하면 이 문제는 쉽게 풀 수 있다. 답: ③ 온도가 높고.. 2021. 6. 23.
불꽃반응 노란색 AgNO3 용액 백색침전 불꽃반응 노란색 AgNO3 용액 백색침전 불꽃 반응 결과 노란색을 나타내는 미지의 시료를 녹인 용액에 AgNO3 용액을 넣으니 백색침전이 생겼다. 이 시료의 성분은? ① Na2SO4 ② CaCl2 ③ NaCl ④ KCl --------------------------------------------------- 불꽃 반응 결과 노란색 ---> Na 포함. ( 참고 https://ywpop.tistory.com/9009 ) AgNO3 용액을 넣으니 백색침전 Ag^+(aq) + Cl^-(aq) → AgCl(s) ... 백색침전 ---> Cl 포함. ( 참고 https://ywpop.tistory.com/7976 ) 답: ③ NaCl [키워드] 나트륨 이온 검출 기준문서, 염화 이온 검출 기준문서, Na^+ .. 2021. 6. 23.
배수비례의 법칙이 성립되지 않는 것. O2와 O3 배수비례의 법칙이 성립되지 않는 것. O2와 O3 다음 중 배수비례의 법칙이 성립되지 않는 것은? ① H2O와 H2O2 ② SO2와 SO3 ③ N2O와 NO ④ O2와 O3 --------------------------------------------------- [배수 비례의 법칙, Law of multiple proportions] ▶ 다른 두 원소 A, B가 결합하여 2종류 이상의 화합물을 만들 때, A의 일정량과 결합하는 B의 질량 사이에는 간단한 정수비가 성립한다. ( 참고 https://ywpop.tistory.com/4944 ) “배수 비례의 법칙” 정의에 따라, O2와 O3는, 일단 화합물이 아닌 ‘원소’이므로, 배수비례의 법칙의 고려 대상 자체가 아니다. ( 참고: 원소와 화합물 htt.. 2021. 6. 2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