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화학12809 96% H2SO4 + 60% H2SO4 혼합 80% H2SO4 100 kg 만들기 96% H2SO4 + 60% H2SO4 혼합 80% H2SO4 100 kg 만들기 96 wt% H2SO4(A)와 60 wt% H2SO4(B)를 혼합하여 80 wt% H2SO4 100 kg 만들려고 한다. 각각 몇 kg씩 혼합하여야 하는가? --------------------------------------------------- M1V1 + M2V2 = M3V3 ( 참고 https://ywpop.tistory.com/9420 ) (96%) (A kg) + (60%) (100 – A kg) = (80%) (100 kg) 96A + 6000 – 60A = 8000 36A = 2000 A = 2000 / 36 = 55.56 kg B = 100 – 55.56 = 44.44 kg 답: A = 55.6, B = .. 2023. 5. 16. 1.0 M NaCl(aq) 300 mL + 2.0 M NaCl(aq) 200 mL 혼합용액의 몰농도 1.0 M NaCl(aq) 300 mL + 2.0 M NaCl(aq) 200 mL 혼합용액의 몰농도 --------------------------------------------------- M1V1 + M2V2 = M3V3 ( 참고 https://ywpop.tistory.com/9420 ) (1.0 M) (300 mL) + (2.0 M) (200 mL) = (? M) (300 + 200 mL) ? = [(1.0) (300) + (2.0) (200)] / (300 + 200) = 1.4 M 답: 1.4 M 2023. 5. 16. 0.5 M NaOH(aq) 200 mL + 증류수 300 mL 용액의 몰농도 0.5 M NaOH(aq) 200 mL + 증류수 300 mL 용액의 몰농도 0.5 M NaOH(aq) 200 mL에 증류수 300 mL를 더 넣었을 때, 용액의 몰농도 --------------------------------------------------- 0.5 M NaOH(aq) 200 mL 속 NaOH의 몰수 = (0.5 mol/L) (0.200 L) = 0.1 mol 이상 용액이라 가정하면, ( 참고: 이상 용액 https://ywpop.tistory.com/9525 ) 혼합 용액의 부피 = 200 + 300 = 500 mL 몰농도 = 용질 mol수 / 용액 L수 ( 참고 https://ywpop.tistory.com/3222 ) = 0.1 mol / 0.500 L = 0.2 mol/L = .. 2023. 5. 16. 포도당 18 g 들어있는 0.1 M 포도당 수용액의 부피 포도당 18 g 들어있는 0.1 M 포도당 수용액의 부피 --------------------------------------------------- 포도당의 몰질량 = 180 g/mol 이므로, 18 g 포도당의 몰수를 계산하면, 18 g / (180 g/mol) = 0.1 mol 포도당(용질) ( 참고 https://ywpop.tistory.com/7738 ) 0.1 mol 포도당을 포함하는 0.1 M 포도당 수용액의 부피를 계산하면, 0.1 mol / (0.1 mol/L) = 1 L 용액 ( 참고 https://ywpop.tistory.com/7787 ) 답: 1 L [ 관련 예제 https://ywpop.tistory.com/17950 ] 18 g 포도당이 녹아있는 포도당 수용액 500 mL의 몰.. 2023. 5. 16. 의사가 약사에게 3.0 w/v% 염화나트륨액의 조제 의뢰 의사가 약사에게 3.0 w/v% 염화나트륨액의 조제 의뢰 의사가 약사에게 3.0 w/v% 염화나트륨액의 조제 의뢰가 있었다. 0.9 w/v% 염화나트륨 수용액 500 mL에 10 w/v% 염화나트륨 주사액을 첨가하여 제조하였다. 이때 첨가한 10 w/v% 염화나트륨 주사액 총량(mL)은 얼마인가? --------------------------------------------------- M1V1 + M2V2 = M3V3 ( 참고 https://ywpop.tistory.com/9420 ) 10 w/v% 염화나트륨 주사액 총량(mL) = x 라 두면, (0.9) (500) + (10) (x) = (3.0) (500 + x) 450 + 10x = 1500 + 3.0x (10 – 3.0)x = 1500 – 4.. 2023. 5. 15. HI(aq) standard enthalpy of formation ΔH –55 kJ/mol iodide ion ΔH HI(aq) standard enthalpy of formation ΔH –55 kJ/mol iodide ion ΔH Given the standard enthalpy of formation of HI(aq) is –55 kJ mol^-1, what is the value of ΔH° (I^-, aq)? --------------------------------------------------- [키워드] HI(aq) 표준 생성 엔탈피 –55 kJ/mol 요오드 이온 표준 생성 엔탈피 기준문서 2023. 5. 15. 2C6H5COOH(s) + 15O2(g) ΔU –772.7 kJ/mol 298 K Calculate ΔH 2C6H5COOH(s) + 15O2(g) ΔU –772.7 kJ/mol 298 K Calculate ΔH For the reaction 2 C6H5COOH(s) + 15 O2(g) → 14 CO2(g) + 6 H2O(g) ΔU° = –772.7 kJ mol^-1 at 298 K. Calculate ΔH°. --------------------------------------------------- 2C6H5COOH(s) + 15O2(g) → 14CO2(g) + 6H2O(g) Δn = (14 + 6) – (15) = 5 ΔH = ΔU + ΔnRT ( 참고 https://ywpop.tistory.com/14717 ) = (–772700) + (5) (8.314) (298) = –760312 J/mol = –.. 2023. 5. 15. [공식] 염산 용액의 몰농도를 %농도로 환산 [공식] 염산 용액의 몰농도를 %농도로 환산 --------------------------------------------------- ▶ 용액의 몰농도를 %농도로 환산할 때는 용액의 밀도 자료가 필수적이다. 즉, 용액의 밀도 자료가 없으면, ( 용액의 밀도 값을 모르면, ) 용액의 몰농도를 %농도로 환산할 수 없다. ▶ 이 글은 용액의 밀도 값을 모를 때, 좀 더 정확한 [몰농도 → %농도 환산] 계산을 위한 목적으로 작성하였다. ▶ 염산 용액의 밀도 도표(at 20℃)와 몰농도 % wt d(g/mL) M(mol/L) 1 1.0032 0.275151 2 1.0082 0.553044 4 1.0181 1.116950 6 1.0279 1.691552 8 1.0376 2.276687 10 1.0474 2.8.. 2023. 5. 14. 1.5 M 염산 용액의 %농도 1.5 M 염산 용액의 %농도 --------------------------------------------------- ▶ 참고: 35% 염산 시약(d 1.174, FW 36.46)의 몰농도 [ https://ywpop.tistory.com/8915 ] --------------------------------------------------- 몰농도 = 용질 mol수 / 용액 L수 이므로, ( 참고 https://ywpop.tistory.com/3222 ) 1.5 M 염산 용액 = 1.5 mol HCl / 1 L 용액 HCl의 몰질량 = 36.46 g/mol 이므로, 1.5 mol × (36.46 g/mol) = 54.69 g HCl (용질) ‘문제’는 1 L 용액의 질량을 구하는 것이다. 문제에서.. 2023. 5. 14. 마그네슘과 염산의 반응에서 부피가 일정한 이유 마그네슘과 염산의 반응에서 부피가 일정한 이유 Mg + HCl rxn --------------------------------------------------- 실제로는 작게나마 염산 용액의 부피가 변하지만, 그 부피 변화가 아주 작기 때문에 다른 계산에 큰 영향을 주지 않아서 그 부피 변화를 무시하고, 용액의 부피는 일정하다고 가정(간주)했기 때문입니다. 가령 물 100 mL에 소금 또는 설탕을 0.2 g 넣는다고 생각해보세요. 이때 부피 증가가 얼마나 발생할까요? 그 증가된 부피를 메스실린더로 측정하면, 과연 얼마쯤 될까요? 증가된 부피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을까요? 또는 정확하게 부피를 측정했다고 가정했을 때, 다른 계산, 예를 들면, 몰농도 계산에 얼마나 큰 영향을 줄까요? 2023. 5. 12. 이전 1 ··· 21 22 23 24 25 26 27 ··· 128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