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화학/유효숫자457 유효숫자 계산 유효숫자 계산 a) 15.2 – 2.75 + 15.67 b) (2.92*10^(-3)) (6.14*10^(5)) c) (3.60*10^(-3)) (8.123 / 4.3) ----------------------------------------- ▶ 유효숫자 계산 설명 http://ywpop.tistory.com/3211 a) 15.2 – 2.75 + 15.67 = 28.12 → 28.1 ... 0.1의 자리 b) (2.92*10^(-3)) (6.14*10^(5)) = 1792.88 → 1.79*10^(3) ... 유효숫자 3개 c) (3.60*10^(-3)) (8.123 / 4.3) = 0.00680065... → 0.0068 ... 유효숫자 2개 2016. 3. 20. 유효숫자를 고려하여 계산할 때 탄소의 평균원자량 유효숫자를 고려하여 계산할 때 탄소의 평균원자량 탄소의 평균 원자량 = (0.9890)(12 amu) + (0.0110)(13.00335 amu) = 12.01 amu 이라고 합니다. 여기서 12 amu를 곱했었으니까 유효숫자가 2개가 되어서 12 amu가 되어야 하는 거 아닌가요? ----------------------------------------- 유효숫자는 오로지 저울, 온도계, 줄자 등 측정 도구를 사용하여 측정한 값에만 적용합니다. 탄소의 원자량 12 amu는 측정한 값이 아니라, 과학자들이 정한(약속한) 값이기 때문에, 완전수 취급을 합니다. ( 완전수 설명 http://ywpop.tistory.com/3212 ) 완전수는 유효숫자를 고려하여 계산할 때 무시합니다. 따라서 위의 값으로 계.. 2016. 3. 20. 유효숫자와 완전수. 돈이나 학생 수 유효숫자와 완전수. 돈이나 학생 수 510 J 측정값의 유효숫자는 2개 2000.003 g 측정값의 유효숫자는 7개 이건 알겠는데, 130.95 달러, 학생 10명 이런 값은 유효숫자를 구할 수 없는 건가요? ---------------------------------------- 유효숫자 개념은 오로지 저울, 줄자, 온도계 등과 같이 측정도구를 사용하여 측정한 값에만 해당됩니다. 돈이나 학생 수 같이 사람의 눈과 손으로 세어서(count) 구한 값은 ( 측정도구를 사용하여 측정한 값이 아닙니다. 따라서 ) 불확실할 수가 없기 때문에, 즉 세어서 구한 값은 모두 정확하기 때문에, 유효숫자 개념이 필요 없습니다. ( 학생 10명을 9명이라고 잘못 세릴 수는 있으나, 이런 바보는 제외합니다.^^ ) 이처럼 .. 2016. 3. 19. 측정값의 평균. 유효숫자와 완전수 측정값의 평균. 유효숫자와 완전수 물의 질량을 3회 측정한 결과가 다음과 같다면, 1회: 7.65 g 2회: 7.58 g 3회: 7.62 g 실험 평균값은 얼마인가? --------------------------------------- 7.65 + 7.58 + 7.62 = 22.85 → 22.85 ... 0.01의 자리에 맞춤 22.85 / 3 = 7.6167 → 7.617 ... 유효숫자 4개에 맞춤 답: 7.617 g [참고] 평균을 구하기 위해 나눠준 값은 완전수. ( 완전수 설명 https://ywpop.tistory.com/3212 ) --------------------------------------- 위 계산에 오류가 있어, 다음과 같이 수정합니다. 7.65 + 7.58 + 7.62 = .. 2016. 3. 19. 유효숫자 계산 유효숫자 계산 a) 320.5 - (6104.5 / 2.3) b) [(285.3*10^5) - (1.200*10^3)] * 2.8954 c) (0.0045 * 20000.0) + (2813 * 12) d) 863 * [1255 - (3.45 * 108)] --------------------------------------------------- 덧셈/곱셈 혼합 계산은 덧셈/곱셈 유효숫자 계산법이 다르기 때문에, 사칙연산 순서에 따라 각각 따로 계산해야 됩니다. ( 계산 설명 https://ywpop.tistory.com/3211 ) ▶ 아래에 나온 계산 방법은 잘못된 방법입니다. 올바른 계산 방법은 각 문항의 동일 예제를 참고하세요. a) 320.5 - (6104.5 / 2.3) (6104.5 / 2... 2016. 3. 17. 유효숫자 계산 유효숫자 계산 ---------------------------------------- 덧셈/곱셈 혼합 계산은 덧셈/곱셈 유효숫자 계산법이 다르기 때문에, 사칙연산 순서에 따라 각각 따로 계산해야 됩니다. ( 계산 설명 http://ywpop.tistory.com/3211 ) ---------------------------------------- 문제 1] 2.560 * 8.8 / 275.15 + 1.12 1) 2.560 * 8.8 / 275.15 = 0.081875 → 0.082 ... 유효숫자 2개에 맞춤 2) 0.082 + 1.12 = 1.202 → 1.20 ... 0.01의 자리에 맞춤 ---------------------------------------- 문제 2] 2.560 * 8.8 / .. 2016. 3. 17. 유효숫자 계산 유효숫자 계산 a. 12.6 * 0.53 b. (12.6 * 0.53) - 4.59 c. (25.36 – 4.15 ) / 2.317 --------------------------------------------------- 유효숫자 계산 설명 https://ywpop.tistory.com/3211 a. 12.6 * 0.53 = 6.678 → 6.7 ... 유효숫자 2개 b. (12.6 * 0.53) - 4.59 6.7 – 4.59 = 2.11 → 2.1 ... 0.1의 자리( 동일 예제 https://ywpop.tistory.com/13272 ) c. (25.36 – 4.15) / 2.317 25.36 – 4.15 = 21.21 → 21.21 ... 0.01의 자리 21.21 / 2.317 = 9.15.. 2016. 3. 16. 유효숫자 계산. [1.8 * (-269.1)] + 32 = 유효숫자 계산. [1.8 * (-269.1)] + 32 = ---------------------------------------- 덧셈/곱셈 혼합 계산은 덧셈/곱셈 유효숫자 계산법이 다르기 때문에, 사칙연산 순서에 따라 각각 따로 계산해야 됩니다. ( 계산 설명 http://ywpop.tistory.com/3211 ) 1.8 * (-269.1) = -484.38 → -480 ... 유효숫자 2개 (-480) + 32 = -448 → -450 ... 10의 자리 답: –450 2016. 3. 14. 유효숫자 계산 유효숫자 계산 ---------------------------------------- ▶ 유효숫자 계산 설명 http://ywpop.tistory.com/3211 [1] 89.75416^2/6*(–6.491) = 만약 89.75416과 –6.491이 측정값이고, 2와 6이 공식에 나와 있는 값이라면, 공식에 있는 숫자는 완전수 ( 설명 http://ywpop.tistory.com/3212 ) 이므로, 완전수는 유효숫자를 고려하여 계산할 때 무시하면 됩니다. 89.75416^2/6*(–6.491) = –8715.04296... 곱셈/나눗셈에서는 가장 작은 유효숫자 개수에 맞추어야 하므로, 가장 작은 유효숫자 개수인 4개(–6.491)로 답을 쓰면, 답은 –8715. 입니다. [2] 8922. + 3.21.. 2016. 3. 13. 자연수에서 끝자리 0의 유효숫자 처리 ★ 자연수에서 끝자리 0의 유효숫자 처리 34200 m에서, 유효숫자가 왜 3개 일수도 있고, 4개 일수도 있고, 5개 일수도 있는지 궁금합니다. --------------------------------------------------- ▶ 참고: 자연수에서 유효 숫자 오른쪽에 있는 0 https://ywpop.tistory.com/10839 --------------------------------------------------- 만약 줄자의 눈금이 다음과 같다면, 34000까지는 확실한 숫자이고, 마지막 100의 자리는 눈대중으로 짐작한 불확실한 숫자이므로,(2라고 짐작함) 유효숫자는 3개입니다. 만약 줄자의 눈금이 다음과 같다면, 34200까지는 확실한 숫자이고, 마지막 10의 자리는 눈대중으로 짐.. 2016. 3. 13. 이전 1 ··· 40 41 42 43 44 45 46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