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일반화학6368

미정계수법. Al + H2O → Al(OH)3 + H2 미정계수법. Al + H2O → Al(OH)3 + H2   ------------------------   [참고] 미정계수법[ https://ywpop.tistory.com/3902 ]       aAl + bH2O → cAl(OH)3 + dH2   > Al의 개수: a = c ... (1)> H의 개수: 2b = 3c + 2d ... (2)> O의 개수: b = 3c ... (3)       a = 1 이라 두면,from (1), c = 1from (3), b = 3   from (2), 6 = 3 + 2d2d = 3d = 3/2       계수를 정리하면,> a = 1> b = 3> c = 1> d = 3/2       계수는 정수이어야 하므로,각 계수에 2씩 곱하면,> a = 2> .. 2025. 2. 27.
마그네슘 1몰 연소에 필요한 산소의 부피(L) 표준상태 마그네슘 1몰 연소에 필요한 산소의 부피(L) 표준상태     제2류 위험물 중 마그네슘에 대하여다음 물음에 답하시오.1) 마그네슘의 연소반응식을 쓰시오.2) 마그네슘 1몰이 연소할 경우 필요한산소의 부피(L)를 구하시오.(단, 표준상태이다.)   ------------------------   Mg + O2 → MgO   O의 개수를 맞추면,Mg + O2 → 2MgO   Mg의 개수를 맞추면,2Mg + O2 → 2MgO---> 마그네슘의 연소반응식       Mg : O2 = 2 : 1 계수비(= 몰수비) 이므로,마그네슘 1몰 연소에 필요한O2의 몰수를 계산하면,Mg : O2 = 2 : 1 = 1 mol : ? mol   ? = 1 / 2 = 0.5 mol O2       표준상태에서,기체 1.. 2025. 2. 27.
redox Fe2O3 + H2S → 2FeO + S + H2O redox Fe2O3 + H2S → 2FeO + S + H2O   ------------------------   ▶ 산화 반쪽 반응> 산화: H2S → S> S의 산화수는 –2에서 0으로 증가.> H2S는 산화되었다.> H2S is a reducing agent.( 참고: H2S의 산화수 https://ywpop.tistory.com/10001 )       ▶ 환원 반쪽 반응> 환원: Fe2O3 → FeO> Fe의 산화수는 +3에서 +2로 감소.> Fe2O3는 환원되었다.> Fe2O3 is an oxidizing agent.( 참고: Fe2O3의 산화수 https://ywpop.tistory.com/8149 )( 참고: FeO의 산화수 https://ywpop.tistory.com/14773 ) .. 2025. 2. 26.
acid-base rxn. Fe(OH)3 + H2S → Fe2S3 + H2O acid-base rxn. Fe(OH)3 + H2S → Fe2S3 + H2Oacid-base rxn. H2S + Fe(OH)3 → Fe2S3 + H2O   ------------------------   [참고] 화학 반응의 종류(유형). reaction types[ https://ywpop.tistory.com/3364 ]       ▶ 이중 치환 반응> double displacement reaction> double replacement reaction> 산-염기 반응> Fe(OH)3 is a base, H2S is an acid.   2Fe(OH)3 + 3H2S → Fe2S3 + 6H2O   3H2S + 2Fe(OH)3 → Fe2S3 + 6H2O         [키워드] Fe(OH)3 +.. 2025. 2. 26.
4s 오비탈의 마디 수 4s 오비탈의 마디 수   ------------------------   ▶ 마디(node)> 오비탈에서 전자가 존재할 확률이 0인 곳> 오비탈에서 전자가 존재할 수 없는 곳       [1] 방사상 마디 수. Number of radial nodes= n – l – 1= n – (l + 1)     [2] 각 마디 수. Number of angular nodes= l     [3] 전체 마디 수. Total number of nodes= [n – l – 1] + [l]= n – 1       4s 오비탈> n = 4> l = 0       방사상 마디 수= n – l – 1= 4 – 0 – 1= 3     각 마디 수= l= 0     전체 마디 수= 3 + 0= 3       .. 2025. 2. 25.
750 mmHg 25℃ 탄소 1 kg 완전연소 산소 부피(L) 750 mmHg 25℃ 탄소 1 kg 완전연소 산소 부피(L)     탄소 1 kg 완전연소 시 750 mmHg, 25℃에서발생하는 산소의 부피는 몇 L인지 계산하시오.   ------------------------   [참고] 기체상수[ https://ywpop.tistory.com/1988 ]         (0.082057338 atm•L/mol•K) (760 mmHg / 1 atm)= (0.082057338) (760)= 62.36 mmHg•L/mol•K---> 압력을 atm대신 mmHg 사용할 때 기체상수       PV = nRT = (W/M)RT( 참고 https://ywpop.tistory.com/3097 )   V = WRT / PM= [(1000) (62.36) (273 +.. 2025. 2. 24.
1 g당 분자 수와 분자량 1 g당 분자 수와 분자량분자량과 1 g당 분자 수   ------------------------   이런 게 이해가 안 되면,그냥 한 번 계산해 보는 겁니다.       가령,H2O의 몰질량(= 분자량) = 18 g/mol 이고,CO2의 몰질량 = 44 g/mol 이므로,( 참고: 몰질량 https://ywpop.tistory.com/11196 )       1 g H2O의 분자 수를 계산하면,(1 g) (1 mol / 18 g) (6×10^23 개 / 1 mol)= (1) (1 / 18) (6×10^23)= 3.33×10^22 개---> H2O 1 g당 H2O 분자의 수       1 g CO2의 분자 수를 계산하면,(1 g) (1 mol / 44 g) (6×10^23 개 / 1 mol).. 2025. 2. 23.
ΔH 계산. 5CO2(g) + Si3N4(s). 헤스의 법칙 ΔH 계산. 5CO2(g) + Si3N4(s). 헤스의 법칙ΔH 계산. Si3N4(s) + 5CO2(g). 헤스의 법칙     5CO2(g) + Si3N4(s) → 3SiO(g) + 2N2O(g) + 5CO(g)아래 주어진 자료를 이용하여 위 반응의 ΔH를 기호로 나타내시오.1) CO(g) + SiO2(s) → SiO(g) + CO2(g) ... ΔH = A2) 8CO2(g) + Si3N4(s) → 3SiO2(s) + 2N2O(g) + 8CO(g) ... ΔH = B   ------------------------   [참고] 헤스의 법칙[ https://ywpop.tistory.com/3376 ]   ※ 헤스의 법칙을 이용한 이런 유형의 문제는간단한 원리만 이해하면, 끼워 맞추기 ‘놀이’에 불과하다... 2025. 2. 23.
4 g CH4에 들어있는 전체 원자 수 4 g CH4에 들어있는 전체 원자 수   ------------------------   CH4의 몰질량 = 16 g/mol 이므로,4 g CH4의 몰수= 4 g / (16 g/mol)= 0.25 mol( 참고 https://ywpop.tistory.com/7738 )       1개 CH4 분자 속에 들어있는전체 원자 수는 5개이므로,전체 원자의 몰수= (0.25 mol 분자) × (5개 원자 / 1개 분자)= 1.25 mol 원자       1 mol = 6.022×10^23 개 = N_A 이므로,( 참고 https://ywpop.tistory.com/6475 )   4 g CH4에 들어있는 전체 원자 수= (1.25 mol 원자) × (N_A / 1 mol)= 1.25N_A 원자     .. 2025. 2. 22.
28 g C2H4 128 g O2 70.4 g CO2 percent yield 28 g C2H4 128 g O2 70.4 g CO2 percent yield     C2H4 가스와 O2 가스가 반응하여CO2와 H2O가 생성되는 반응에서,28 g의 C2H4와 128 g의 O2가 반응하여생성되는 CO2가 70.4 g 얻어졌다면반응의 수득률(%)은?   ------------------------   C2H4의 몰질량 = 2(12) + 4(1) = 28 g/mol 이므로,28 g의 C2H4의 몰수= 28 g / (28 g/mol)= 1 mol C2H4( 참고 https://ywpop.tistory.com/7738 )     O2의 몰질량 = 32 g/mol 이므로,128 g의 O2의 몰수= 128 / 32= 4 mol O2       C2H4 연소 반응식C2H4 + 3O2 → 2.. 2025. 2. 1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