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일반화학6317

2NaCl과 Na2Cl2의 차이 2NaCl과 Na2Cl2의 차이이온결합 화합물의 화학식   ------------------------   2NaCl과 Na2Cl2의 차이를 이해하려면,먼저, 화합물은① 이온결합 화합물과② 공유결합 화합물로 나눌 수 있는데,이 둘을 구분할 줄 알아야 된다.( 참고 https://ywpop.tistory.com/8857 )       공유결합 화합물은‘분자’라고도 하는데(부르는데),이 때문에공유결합 화합물을분자성 화합물이라고도 한다.( 참고 https://ywpop.tistory.com/8486 )       이제 본론으로 돌아와서,NaCl은 이온결합 화합물이고,이온결합 화합물의 화학식은실험식과 같기 때문에,( 참고: 실험식 https://ywpop.tistory.com/2391 )   반드시 ‘가.. 2025. 2. 16.
XeOF2 루이스 구조 그리기. 크세논 옥시디플루오라이드 XeOF2 루이스 구조 그리기. 크세논 옥시디플루오라이드Lewis structure of XeOF2Lewis structure of xenon oxydifluorideLewis structure of difluoro(oxo)xenon   ------------------------   [참고] 루이스 구조 그리기[ https://ywpop.tistory.com/6302 ]       [1단계] 각 원자의 원자가전자 수의 합을 구한다.XeOF2 = (Xe) + (O) + 2(F)= (8) + (6) + 2(7) = 28       [2단계] 화합물의 기본 골격 구조를 그린다.( 단일결합 수만큼 전자 수를 뺀다. )     28 – 3(2) = 22       [3단계] 주위 원자들이 팔전자 규.. 2025. 2. 15.
ΔH 계산. H(g) + Br(g) → HBr(g) ΔH 계산. H(g) + Br(g) → HBr(g)     You are given the following data:(1) H2(g) → 2H(g) ... ΔH° = 436.4 kJ(2) Br2(g) → 2Br(g) ... ΔH° = 192.5 kJ(3) H2(g) + Br2(g) → 2HBr(g) ... ΔH° = –104 kJ   Calculate the ΔH° for the reaction:H(g) + Br(g) → HBr(g)   ------------------------   [참고] 헤스의 법칙[ https://ywpop.tistory.com/3376 ]       H(g) + Br(g) → HBr(g)---> 이 식을 ‘타깃’이라 한다.       .. H(g) → 1/2 H2(g.. 2025. 2. 14.
분자의 쌍극자 모멘트가 0인 것. CO2 분자의 쌍극자 모멘트가 0인 것. CO2     다음 중 쌍극자 모멘트가 0인 것은 무엇인가?a. CO2b. NH3c. H2Od. alle. none   ------------------------   [참고] 쌍극자 모멘트[ https://ywpop.tistory.com/2581 ]       a. CO2( 참고 https://ywpop.tistory.com/19828 )( 참고 https://ywpop.tistory.com/3769 )       b. NH3( 참고 https://ywpop.tistory.com/9934 )       c. H2O( 참고 https://ywpop.tistory.com/10582 )       답: a. CO2         [키워드] 쌍극자 모멘트.. 2025. 2. 14.
Δ℉ = 10일 때, Δ℃는 얼마인가? Δ℉ = 10일 때, Δ℃는 얼마인가?   ------------------------   [참고] 온도 환산[ https://ywpop.tistory.com/6662 ]       Δ1℃ = Δ1.8℉ 이므로,즉, 섭씨로 1℃ 구간은화씨로 1.8℉ 구간이므로,10℉ × (1℃ / 1.8℉) = 5.56℃       답: 5.56℃         [키워드] 온도 환산 기준 2025. 2. 14.
미정계수법. 2(탄화수소) + 7O2 → y(___) + 2xH2O 미정계수법. 2(탄화수소) + 7O2 → y(___) + 2xH2O   ------------------------   [참고] 미정계수법[ https://ywpop.tistory.com/3902 ]       앞 문제에서 x = 3 으로 결정되었고,( 참고 https://ywpop.tistory.com/471287 )   탄화수소 연소 반응식이므로,( 참고 https://ywpop.tistory.com/17026 )   2(탄화수소) + 7O2 → y(___) + 2xH2O   2(탄화수소) + 7O2 → yCO2 + 6H2O       탄화수소 = CaHb 라 두면,2CaHb + 7O2 → yCO2 + 6H2O       C의 개수: 2a = y ... (1)   H의 개수: 2b = 12.. 2025. 2. 14.
미정계수법. C2H5OH + xO2 → 2(___) + xH2O 미정계수법. C2H5OH + xO2 → 2(___) + xH2O   ------------------------   [참고] 미정계수법[ https://ywpop.tistory.com/3902 ]       탄화수소나 알코올은산소와 반응(연소)하면,CO2와 H2O가 생성된다.( 참고 https://ywpop.tistory.com/17026 )       C2H5OH + xO2 → 2(___) + xH2O   C2H5OH + xO2 → 2CO2 + xH2O       C의 개수는 맞다.   H의 개수: 6 = 2x---> x = 3       (완성된) 에탄올 연소 반응식C2H5OH + 3O2 → 2CO2 + 3H2O( 참고 https://ywpop.tistory.com/8499 )    .. 2025. 2. 14.
기체 압력을 1기압에서 10기압 높일 때, 부피가 가장 많이 감소 기체 압력을 1기압에서 10기압 높일 때, 부피가 가장 많이 감소     기체 1 mol의 압력을 1기압에서부터 10기압까지 높일 때,부피가 가장 많이 감소되는 것은?(단, 온도는 273 K로 일정하다)1) H22) N23) CH44) NH3   ------------------------   고압일수록,분자간 거리가 감소하고,분자간 거리가 감소하면,분자간 힘(인력)이 더 크게 작용한다.       NH3는 수소결합이 가능하고,나머지는 모두 무극성 분자이므로,분산력이 주요 힘이다.       강한 수소결합에 의해NH3 분자들은 더 많이 뭉쳐지므로,NH3의 부피가 가장 많이 감소한다.       답: 4) NH3         [키워드] 분자간 힘 기준 2025. 2. 13.
정상상태. A → B → C 정상상태. A → B → C     다음에 주어진 반응을 정상상태(steady-state)라 가정할 때,B의 농도에 대한 관계식을 바르게 표현한 것은?       ▶ 정류상태 근사법. steady-state approximation( 정상상태 근사법. steady-state approximation )> 중간체의 농도는 거의 변하지 않는다고 가정한다. 또는,> 중간체의 생성속도와 소모속도는 같다고 가정한다.( 참고: 중간체 https://ywpop.tistory.com/24538 )       A → B → C 반응에서,B가 중간체.       A → B 반응의 속도 식(속도 법칙)v = k_1 [A] ... (1)( 중간체의 생성속도 )( 참고: 속도 법칙 https://ywpop.tistor.. 2025. 2. 13.
원자가 전자의 개수가 같은 것 끼리 원자가 전자의 개수가 같은 것 끼리     원자가 전자의 개수가 같은 것 끼리묶어 놓은 것은 다음 중 무엇인가?a) P, S, Clb) Ag, Cd, Arc) Na, Ca, Bad) P, As, See) None of these   ------------------------   [참고] 원자가 전자[ https://ywpop.tistory.com/10468 ]       원자가 전자의 개수가 같은 것 끼리= 같은 족 끼리 이므로,   이건 주기율표에서같은 족의 원소끼리 모아놓은 것을 찾으면 됩니다.( 참고 https://ywpop.tistory.com/4841 )       답: e) None of these         [키워드] 주기율표 기준 2025. 2. 1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