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공학&기술2471 배출가스 중 페놀류를 가스크로마토그래프법(내표준법)으로 분석. 71 ppm 배출가스 중 페놀류를 가스크로마토그래프법(내표준법)으로 분석. 71 ppm 33. A공장 굴뚝 배출가스 중 페놀류를가스크로마토그래프법(내표준법)으로 분석하였더니아래 표와 같은 결과와 값이 제시되었을 때,시료중 페놀류의 농도는? > 건조시료가스량: 10 L> 정량에 사용된 분석용 시료용액의 양: 10 μL> 분석용 시료용액의 제조량: 5 mL> 검량선으로부터 구한 정량에 사용된 분석용시료액 중 페놀류의 양: 6 μg> 페놀류의 농도 산출식:C = (0.238 × a × V1) / (S_L × V_S) × 1000 ① 약 71 V/V ppm② 약 89 V/V ppm③ 약 159 V/V ppm④ 약 229 V/V ppm C = [k × (a – b) × V1] / [S_L × V_S.. 2024. 12. 19. 등속흡인 유량. 굴뚝배출가스 먼지시료 보통형(1형) 흡인노즐 수동식 채취기 등속흡인 유량. 굴뚝배출가스 먼지시료 보통형(1형) 흡인노즐 수동식 채취기 31. 굴뚝배출가스 중의 먼지시료를보통형(1형) 흡인노즐을 가진수동식 채취기를 사용하여 채취하는 경우에다음의 조건에서의 등속흡인 유량은?(단, 대기압: 165 mmHg, 건식가스미터온도: 20℃,가스미터게이지압: 1 mmHg, 배출가스온도: 125℃,배출가스유속: 7.5 m/s, 배출가스 중 수증기의 부피백분율: 10%,흡인노즐내경: 6 mm, 측정점에서의 정압: -1.5 mmHg)① 2.4 L/min② 4.5 L/min③ 8.4 L/min④ 14.5 L/mim > 흡인노즐내경: 6 mm(6 mm) (1 m / 10^3 mm)= 0.006 m 흡인노즐 단면적, AA = πr^2= π × (0.00.. 2024. 12. 19. 25℃ 1기압 NO2 농도 4.76 mg/m3 표준상태 ppm 환산 25℃ 1기압 NO2 농도 4.76 mg/m3 표준상태 ppm 환산 10. 25℃, 1기압에서 측정한 NO2 농도가 4.76 mg/m3 이다.이 농도를 표준상태의 ppm으로 옳게 환산한 것은?① 2.24② 2.53③ 2.72④ 2.98 [참고] 기체 ppm[ https://ywpop.tistory.com/5494 ] [참고] 온도와 압력이 변하는 농도 환산이면,ppmv로 계산할 것.---> (오염물질의 부피 / 공기의 부피) × 10^6[ https://ywpop.tistory.com/11886 ] 25℃, 1기압에서,4.76 mg/m3 NO2= 4.76 mg NO2 / 1 m3 공기 표준상태에서,① 4.76 mg NO2의 부피(L)를 구한다.> 4.7.. 2024. 12. 19. pH 6.0인 용액의 산도의 8배를 가진 용액의 pH pH 6.0인 용액의 산도의 8배를 가진 용액의 pH 8. pH = 6.0인 용액의 산도의 8배를 가진 용액의 pH는?① 5.1② 5.3③ 5.4④ 5.6 --------------------------------------------------- pH = –log[H^+] = 6.0 이므로,( 참고 https://ywpop.tistory.com/2706 ) [H^+] = 10^(-6.0) M “산도의 8배 = [H^+]의 8배” 이므로,8 × 10^(-6.0) = 8×10^(-6) M pH = –log[H^+]= –log(8×10^(-6))= 5.0969 답: ① 5.1 [키워드] 산도의 8배 기준, 산도의 몇 배 기준 2024. 12. 19. 0.25 M MgCl2 용액의 이온강도 0.25 M MgCl2 용액의 이온강도 7. 0.25 M MgCl2 용액의 이온강도는?① 0.45② 0.55③ 0.65④ 0.75 이온 세기, 이온 강도, II = 1/2 Σ c_i z_i^2( 참고 https://ywpop.tistory.com/19070 ) MgCl2(aq) → Mg^2+(aq) + 2Cl^-(aq) MgCl2 : Mg^2+ : Cl^- = 1 : 1 : 2 계수비(= 몰수비) 이므로,> [Mg^2+] = 0.25 M> [Cl^-] = 2 × 0.25 = 0.50 M 각 이온의 c_i z_i^2 값을 계산하면,> [Mg^2+] = 0.25 M0.25 × (+2)^2 = 1 > [Cl^-] = 0.50 M0.50 × (–1)^2 =.. 2024. 12. 18. Cd^2+ 함유 산성 수용액 pH를 11로 증가 Cd^2+ 농도(mg/L) Cd^2+ 함유 산성 수용액 pH를 11로 증가 Cd^2+ 농도(mg/L) 1. Cd^2+를 함유하는 산성수용액의 pH를 증가시키면 침전이 생긴다.pH를 11로 증가시켰을 때 Cd^2+ 농도(mg/L)는?(단, Cd(OH)2의 Ksp = 4×10^(-14),원자량은 Cd = 112, O = 16, H = 1,기타 공존이온의 영향이나 착염에 의한 재용해도는 없는 것으로 본다.)① 3.12×10^(-3)② 3.46×10^(-3)③ 4.48×10^(-3)④ 6.29×10^(-3) --------------------------------------------------- Cd(OH)2(s) ⇌ Cd^2+(aq) + 2OH^-(aq) Ksp = [Cd^2+] [OH^-]^2 = (s) (2s.. 2024. 12. 18. 자외선/가시선 분광법 흡광도 1.0에서 2.0으로 증가하면 투과도 자외선/가시선 분광법 흡광도 1.0에서 2.0으로 증가하면 투과도 41. 자외선/가시선 분광법에서흡광도가 1.0에서 2.0으로 증가하면 투과도는?① 1/2로 감소한다.② 1/5로 감소한다.③ 1/10로 감소한다.④ 1/100로 감소한다. --------------------------------------------------- 흡광도 A와 투과도 TA = –log(T)( 참고 https://ywpop.tistory.com/12905 ) T = 10^(–A) T = 10^(–1.0) = 0.1 T = 10^(–2.0) = 0.01 흡광도가 1.0에서 2.0으로 증가하면,투과도는 0.1에서 0.01로 감소한다. 0.01 / 0.1 = 0.1 = 1/1.. 2024. 12. 18. 슬러지 함수율 95%에서 90%로 줄어들면 슬러지 함수율 95%에서 90%로 줄어들면 38. 슬러지의 함수율이 95%에서 90%로 줄어들면슬러지의 부피는? (단, 슬러지 비중은 1.0)① 2/3로 감소한다.② 1/2로 감소한다.③ 1/3로 감소한다.④ 3/4로 감소한다. 함수율 95% 슬러지= 95% 수분 + 5% 고형물 탈수 전 슬러지의 양 = 100 m3 라 가정하면,고형물의 양 = 100 × (5/100) = 5 m3---> 탈수 과정에서고형물의 양은 변하지 않는다. 탈수 후,함수율 90% 슬러지 이므로,수분의 양 = x 라 두면,90% = x / (x + 5) × 100 x / (x + 5) = 90/100 x = 0.9x + 4.5 0.1x = 4.5 x = 4.5 / 0.1.. 2024. 12. 18. 아질산성 질소 표준원액 0.25 mg/mL 제조 NaNO2 500 mL 아질산성 질소 표준원액 0.25 mg/mL 제조 NaNO2 500 mL 45. 아질산성 질소 표준원액(약 0.25 mg/mL)을 제조하기 위해서아질산나트륨(NaNO2)을 데시케이터에서 24시간 건조시킨 후,일정량을 취하여 물에 녹이고클로로포름 0.5 mL와 물을 넣어 500 mL로 하였다.표준원액 제조를 위해 취한 아질산나트륨의 양(g)은?(단, 원자량 Na = 23)① 약 0.31② 약 0.62③ 약 1.23④ 약 2.46 --------------------------------------------------- > NaNO2의 몰질량 = (23) + (14) + 2(16) = 69 g/mol( 참고 https://ywpop.tistory.com/16840 ) “용액의 .. 2024. 12. 17. 함수율 95% 슬러지를 함수율 75% 탈수케익으로 만들었을 때 체적 변화 함수율 95% 슬러지를 함수율 75% 탈수케익으로 만들었을 때 체적 변화 28. 함수율 95%의 슬러지를 함수율 75%의 탈수케익으로 만들었을 때,탈수 전 슬러지의 체적대비 탈수 후 탈수케익의 체적의 변화는?(단, 분리액으로 유출된 슬러지양은 무시하며,탈수 전 슬러지와 탈수 후 탈수 케익의 비중은 모두 1.0으로 가정)① 1/3② 1/4③ 1/5④ 1/6 함수율 95%의 슬러지= 95% 수분 + 5% 고형물 탈수 전 슬러지의 양 = 100 m3 라 가정하면,고형물의 양 = 100 × (5/100) = 5 m3---> 탈수 과정에서고형물의 양은 변하지 않는다. 탈수 후,함수율 75%의 탈수케익 이므로,수분의 양 = x 라 두면,75% = x / (x + 5).. 2024. 12. 17. 이전 1 ··· 5 6 7 8 9 10 11 ··· 248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