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공학&기술2497

폐수 COD 200 mg/L 0.025 N KMnO4 5.2 mL 공시험치 0.2 mL 폐수 COD 200 mg/L 0.025 N KMnO4 5.2 mL 공시험치 0.2 mL     폐수의 화학적 산소요구량의 측정에 있어서화학적 산소 요구량이 200 mg/L라고 추정된다.이때 0.025 N KMnO4 용액의 소비량은 5.2 mL이고공시험치는 0.2 mL이다.시료 몇 mL를 사용해서 시험하는 것이 적절한가?     41. 폐수의 화학적 산소요구량의 측정에 있어서 화학적 산소 요구량이 200mg/L라고 추정된다. 이 때 0.025N KMnO4 용액의 소비량은 5.2mL 이고 공시험치는 0.2mL이다. 시료 몇 mL를 사용해서 시험하는 것이 적절한가? (단, 산성 100℃에서 과망간산칼륨에 의한 화학적산소요구량, f=1)① 약 35② 약 25③ 약 15④ 약 5       COD = [(S .. 2024. 12. 21.
pH 2.8인 용액 중의 [H^+]은 몇 mol/L인가? pH 2.8인 용액 중의 [H^+]은 몇 mol/L인가?     20. pH 2.8인 용액중의 [H+]은 몇 mole/L인가?① 1.58×10^(-3)② 2.58×10^(-3)③ 3.58×10^(-3)④ 4.58×10^(-3)   ---------------------------------------------------   pH = –log[H^+] = 2.8 이므로,( 참고 https://ywpop.tistory.com/2706 )   [H^+] = 10^(-2.8)= 0.0015849 M       답: ① 1.58×10^(-3)         [키워드] pH의 정의 기준 2024. 12. 20.
몰농도가 가장 큰 용액. 30 mL 중 H2SO4 5.2 g 몰농도가 가장 큰 용액. 30 mL 중 H2SO4 5.2 g     6. 다음과 같은 용액을 만들었을 때몰농도가 가장 큰 것은?(단, Na=23, S=32, Cl=35.5)① 3.5 L 중 NaOH 150 g② 30 mL 중 H2SO4 5.2 g③ 5 L 중 NaCl 0.2 kg④ 100 mL 중 HCl 5.5 g   ---------------------------------------------------   ① 3.5 L 중 NaOH 150 gNaOH의 몰질량 = (23) + (16) + (1) = 40 g/mol 이므로,( 참고 https://ywpop.tistory.com/16840 )   NaOH 150 g의 몰수를 계산하면,150 g / (40 g/mol) = 3.75 mol( 참고 htt.. 2024. 12. 20.
바탕시험 적정 0.025 N 티오황산나트륨 5.6 mL 시료 적정 3.3 mL COD 46 mg/L 바탕시험 적정 0.025 N 티오황산나트륨 5.6 mL 시료 적정 3.3 mL COD 46 mg/L     알칼리성 과망간산칼륨에 의한 화학적 산소요구량을수질오염공정시험기준에 따라 측정하였다.바탕시험 적정에 소비된 0.025 N 티오황산나트륨 용액은 5.6 mL였고,시료의 적정에 소비된 0.025 N 티오황산나트륨 용액은 3.3 mL였다.COD가 46 mg/L였다면 분석에 사용된 시료량은?(단, 0.025 N 티오황산나트륨 용액의 농도계수는 1.0이다.)     58. 알칼리성 과망간산칼륨에 의한 화학적 산소요구량을 수질오염공정시험기준에 따라 측정하였다. 바탕시험 적정에 소비된 0.025N-티오황산나트륨 용액은 5.6mL였고, 시료의 적정에 소비된 0.025N-티오황산나트륨 용액은 3.3mL였다. C.. 2024. 12. 20.
500 mL 물에 125 mg 염이 녹아 있을 때 수용액의 % 농도 500 mL 물에 125 mg 염이 녹아 있을 때 수용액의 % 농도     500 mL 물에 125 mg의 염이 녹아 있을 때이 수용액의 농도를 %로 나타낸 값은?     20. 500mL 물에 125mg의 염이 녹아 있을 때이 수용액의 농도를 %로 나타낸 값은?① 0.125%② 0.250%③ 0.0125%④ 0.0250%   ---------------------------------------------------   (125 mg) (1 g / 1000 mg) = 0.125 g 염 (용질)       물의 밀도 = 1 g/mL 이므로,(500 mL) (1 g/mL) = 500 g 물 (용매)       % 농도 = 0.125 / (0.125 + 500) × 100( 참고 https://y.. 2024. 12. 19.
수질분석 결과 Ca^2+ 420 mg/L Mg^2+ 58.4 mg/L 총경도 수질분석 결과 Ca^2+ 420 mg/L Mg^2+ 58.4 mg/L 총경도     5. A시료의 수질분석 결과가 다음과 같을 때 이 시료의 총경도는?   > Ca^2+: 420 mg/L> Mg^2+: 58.4 mg/L   ① 525 mg/L as CaCO3② 646 mg/L as CaCO3③ 1,050 mg/L as CaCO3④ 1,293 mg/L as CaCO3   ---------------------------------------------------   [공식] CaCO3 환산 농도= 농도(mg/L) / (몰질량 / 당량수) × 50( 참고 https://ywpop.tistory.com/11274 )       [참고] 경도 유발물질 = +2가 금속 양이온---> +2가 금속 양이온 외 .. 2024. 12. 19.
배출가스 중 페놀류를 가스크로마토그래프법(내표준법)으로 분석. 71 ppm 배출가스 중 페놀류를 가스크로마토그래프법(내표준법)으로 분석. 71 ppm     33. A공장 굴뚝 배출가스 중 페놀류를가스크로마토그래프법(내표준법)으로 분석하였더니아래 표와 같은 결과와 값이 제시되었을 때,시료중 페놀류의 농도는?   > 건조시료가스량: 10 L> 정량에 사용된 분석용 시료용액의 양: 10 μL> 분석용 시료용액의 제조량: 5 mL> 검량선으로부터 구한 정량에 사용된 분석용시료액 중 페놀류의 양: 6 μg> 페놀류의 농도 산출식:C = (0.238 × a × V1) / (S_L × V_S) × 1000   ① 약 71 V/V ppm② 약 89 V/V ppm③ 약 159 V/V ppm④ 약 229 V/V ppm       C = [k × (a – b) × V1] / [S_L × V_S.. 2024. 12. 19.
등속흡인 유량. 굴뚝배출가스 먼지시료 보통형(1형) 흡인노즐 수동식 채취기 등속흡인 유량. 굴뚝배출가스 먼지시료 보통형(1형) 흡인노즐 수동식 채취기     31. 굴뚝배출가스 중의 먼지시료를보통형(1형) 흡인노즐을 가진수동식 채취기를 사용하여 채취하는 경우에다음의 조건에서의 등속흡인 유량은?(단, 대기압: 165 mmHg, 건식가스미터온도: 20℃,가스미터게이지압: 1 mmHg, 배출가스온도: 125℃,배출가스유속: 7.5 m/s, 배출가스 중 수증기의 부피백분율: 10%,흡인노즐내경: 6 mm, 측정점에서의 정압: -1.5 mmHg)① 2.4 L/min② 4.5 L/min③ 8.4 L/min④ 14.5 L/mim       > 흡인노즐내경: 6 mm(6 mm) (1 m / 10^3 mm)= 0.006 m       흡인노즐 단면적, AA = πr^2= π × (0.00.. 2024. 12. 19.
25℃ 1기압 NO2 농도 4.76 mg/m3 표준상태 ppm 환산 25℃ 1기압 NO2 농도 4.76 mg/m3 표준상태 ppm 환산     10. 25℃, 1기압에서 측정한 NO2 농도가 4.76 mg/m3 이다.이 농도를 표준상태의 ppm으로 옳게 환산한 것은?① 2.24② 2.53③ 2.72④ 2.98       [참고] 기체 ppm[ https://ywpop.tistory.com/5494 ]   [참고] 온도와 압력이 변하는 농도 환산이면,ppmv로 계산할 것.---> (오염물질의 부피 / 공기의 부피) × 10^6[ https://ywpop.tistory.com/11886 ]       25℃, 1기압에서,4.76 mg/m3 NO2= 4.76 mg NO2 / 1 m3 공기       표준상태에서,① 4.76 mg NO2의 부피(L)를 구한다.> 4.7.. 2024. 12. 19.
pH 6.0인 용액의 산도의 8배를 가진 용액의 pH pH 6.0인 용액의 산도의 8배를 가진 용액의 pH     8. pH = 6.0인 용액의 산도의 8배를 가진 용액의 pH는?① 5.1② 5.3③ 5.4④ 5.6   ---------------------------------------------------   pH = –log[H^+] = 6.0 이므로,( 참고 https://ywpop.tistory.com/2706 )   [H^+] = 10^(-6.0) M       “산도의 8배 = [H^+]의 8배” 이므로,8 × 10^(-6.0) = 8×10^(-6) M       pH = –log[H^+]= –log(8×10^(-6))= 5.0969       답: ① 5.1         [키워드] 산도의 8배 기준, 산도의 몇 배 기준 2024. 12. 1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