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공학&기술2495

연소 배출 가스량 5400 Sm3/hr 소각시설 정압 20 mmH2O 연소 배출 가스량 5400 Sm3/hr 소각시설 정압 20 mmH2O     연소 배출 가스량이 5400 Sm3/hr인 소각시설의 굴뚝에서정압을 측정하였더니 20 mmH2O 였다.여유율 20%인 송풍기를 사용할 경우 필요한 소요 동력(kW)은?(단, 송풍기 정압효율 80%, 전동기 효율 70%)   ------------------------   1 J = 1 Pa•m3 이고,1 W = 1 J/s 이므로,1 W = 1 Pa•m3/s( 참고 https://ywpop.tistory.com/21357 )   ---> 유량인 Sm3/hr는 Sm3/s (= m3/s) 단위로 환산하고,압력인 mmH2O는 Pa 단위로 환산하자.       1 hr = 3600 s 이므로,(5400 Sm3/hr) (1 hr / .. 2025. 2. 25.
폐수 분석 이론적 산소요구량 폐수 분석 이론적 산소요구량     어떤 폐수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이론적인 최종산소요구량은?> 유기탄소: 300 mg/L> NH3: 75 mg/L> 유기질소: 50 mg/L> NO2: 5 mg/L   ------------------------   C + O2 → CO2   C : O2 = 12 : 32 = 1 : ?   ? = 32 / 12 = 2.67 mg O2 / mg C---> 유기탄소 1 mg당 산소요구량   (300 mg C/L) × (2.67 mg O2 / mg C)= 300 × 2.67 = 801 mg O2/L       폐수에서 측정한 NH3= 암모니아성 질소(NH3-N)   NH4^+ + 2O2 → NO3^- + H2O + 2H^+또는NH3 + 2O2 → NO3^.. 2025. 2. 24.
에탄 5 Nm3 완전연소 이론공기량 중 N2 양(Nm3) 에탄 5 Nm3 완전연소 이론공기량 중 N2 양(Nm3)     에탄 5 Nm3을 완전연소시킬 때필요한 이론공기량 중N2의 양은 약 몇 Nm3인가?① 46② 66③ 83④ 103   ------------------------   에탄 연소 반응식2C2H6 + 7O2 → 4CO2 + 6H2O( 참고 https://ywpop.tistory.com/20631 )       C2H6 : O2 = 2 : 7 계수비(= 부피비) 이므로,에탄 5 Nm3 연소에 필요한 O2의 부피를 계산하면,C2H6 : O2 = 2 : 7 = 5 Nm3 : ? Nm3   ? = 7 × 5 / 2 = 17.5 Nm3 O2       공기 중 O2의 부피 비 = 21% 이고,공기 중 N2의 부피 비 = 79% 이므로,( 참고 .. 2025. 2. 22.
10% 고형분 사과주스 농축장치 50% 1000 kg/h 속도 10% 고형분 사과주스 농축장치 50% 1000 kg/h 속도     10% 고형분을 함유한 사과주스를 가공할 때농축장치를 사용하여 50% 고형분을 함유한농축사과주스로 제조하고자 한다.원료주스를 1000 kg/h 속도로 투입하면농축주스의 생산량(kg/h)은?   ------------------------   원료 주스의 고형분 함량 = 10% 이므로,원료 주스의 고형분= 1000 kg × (10/100)= 100 kg       농축 주스의 고형분 함량 = 50% 이므로,농축 주스의 생산량= 100 kg / (50/100)= 200 kg       답: 200 kg/h         [참고] 용액 = 용질 + 용매( 슬러지 = 고형분 + 수분 )   “주스 = 용액” 이라고 생각하면,용질.. 2025. 2. 17.
27℃ 750 mmHg에서 벤젠 1 kg 연소할 때 발생되는 CO2(m3) 27℃ 750 mmHg에서 벤젠 1 kg 연소할 때 발생되는 CO2(m3)     다음 반응식과 같이 벤젠 1 kg이 연소할 때발생되는 CO2의 양은 약 몇 m3인가?(단, 27℃, 750 mmHg 기준이다.)2C6H6 + 15O2 → 12CO2 + 6H2O   ------------------------   C6H6의 몰질량 = 6(12) + 6(1) = 78 g/mol 이므로,벤젠 1 kg의 몰수를 계산하면,1000 g / (78 g/mol) = 12.8205 mol C6H6( 참고 https://ywpop.tistory.com/7738 )       2C6H6 + 15O2 → 12CO2 + 6H2O   C6H6 : CO2 = 2 : 12 계수비(= 몰수비) 이므로,12.8205 mol C6H6.. 2025. 2. 12.
소화약제 4℃ 물 200℃ 과열수증기 몇 배 팽창 소화약제 4℃ 물 200℃ 과열수증기 몇 배 팽창     38. 소화약제로 사용된 4℃의 물이모두 200℃ 과열수증기로 변화하였다면,물은 약 몇 배 팽창하였는가?(단, 화재실은 대기압상태로화재발생 전•후 압력의 변화는 없으며,과열수증기는 이상기체로 가정한다.4℃에서의 물의 밀도 = 1 g/cm3,H 및 O의 원자량은 각각 1과 16이다.)① 1,700② 1,928③ 2,156④ 2,383   ------------------------   4℃에서의 물의 밀도= 1 g/cm3 = 1 g/mL( 1 cm3 = 1 mL )       4℃에서 물의 질량 = 1 g 이라 가정하면,이때 물의 부피 = 1 mL       물, H2O의 몰질량 = 18 g/mol 이므로,1 g 물의 몰수= 1 g / (1.. 2025. 2. 2.
폐수 알칼리도 CaCO3 2×10^(-3) M 납 농도 100 mg/L 소석회 Ca(OH)2 투입 폐수 알칼리도 CaCO3 2×10^(-3) M 납 농도 100 mg/L 소석회 Ca(OH)2 투입     어떤 폐수의 알칼리도 측정 결과 CaCO3로 2×10^(-3) M이고 납의 농도가 100 mg/L였다. 소석회(Ca(OH)2)를 투입하여 납을 응집침전 시킨 결과 납의 농도가 6.5 mg/L로 감소하였고 알칼리도가 CaCO3로 9.6×10^(-3) M로 증가했다면 첨가한 소석회의 양(mol/L)은? (단, 납의 원자량 207)   ------------------------   침전된 납의 농도를 계산하면,100 – 6.5 = 93.5 mg/L Pb^2+       93.5 mg/L를 몰농도로 환산하면,(93.5 mg/L) (1 g / 1000 mg) (1 mol / 207 g)= (93.5) .. 2025. 2. 1.
A 농도는 그대로 B 농도를 처음의 2배로 반응속도 A 농도는 그대로 B 농도를 처음의 2배로 반응속도     27. 다음과 같은 반응에서 A의 농도는 그대로 하고B의 농도를 처음의 2배로 해주면반응속도는 처음의 몇 배가 되겠는가?2A + 3B → 3C + 4D① 2배② 4배③ 8배④ 16배   ------------------------   [참고] 단일단계 반응의 속도 법칙[ https://ywpop.tistory.com/7877 ]       단일단계 반응이라 가정하면,2A + 3B → 3C + 4D 반응의 속도 법칙은v1 = k [A]^2 [B]^3( 참고 https://ywpop.tistory.com/30 )       A 농도는 그대로, B의 농도를 처음의 2배로 해주면,v2 = k [A]^2 [2]^3이므로,   v2 / v1 = {.. 2025. 1. 18.
287 kPa 1 m3 기체질량 2 kg 온도 기체상수 287 J/kg•K 287 kPa 1 m3 기체질량 2 kg 온도 기체상수 287 J/kg•K     압력이 287 kPa일 때 체적 1 m3의 기체질량이 2 kg이었다.이때 기체의 온도는 약 몇 ℃가 되는가?(단, 기체상수는 287 J/kg•K이다.)     35. 압력이 287kPa일 때 체적 1m3의 기체질량이 2㎏이었다. 이때 기체의 온도는 약 몇 ℃가 되는가? (단, 기체상수는 287J/㎏·K이다.)① 127② 227③ 447④ 547   ------------------------   기체상수가 287 J/kg•K 로 주어졌기에,> 1 J = 1 Pa•m3---> 기체의 압력은 Pa, 부피는 m3 사용.> 기체의 양은 kg 사용.       이상 기체 방정식PV = mRT 로부터,( 참고 https://y.. 2025. 1. 17.
물 10 g이 1 Gy 방사선량을 받으면 온도는 몇 ℃ 상승 물 10 g이 1 Gy 방사선량을 받으면 온도는 몇 ℃ 상승     물 10 g이 1 Gy의 방사선량을 받으면온도는 몇 ℃ 상승하는가?(단, 물의 비열은 1 cal/g•K이다.)   ------------------------   흡수선량, absorbed dose (D)1 Gy = 1 J/kg> Gy: 그레이       물의 비열= 1 cal/g•K= 4.184 J/g•℃       물이 흡수한 에너지, QQ = D × m> D: 흡수선량 (J/kg)> m: 물의 질량 (kg)       물 10 g = 0.01 kg 이므로,Q = (1 J/kg) (0.01 kg)= 0.01 J       Q = C m Δt( 참고 https://ywpop.tistory.com/2897 )   Δt =.. 2025. 1. 1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