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공학&기술2213

폐기물의 단위중량. 폐기물의 밀도 폐기물의 단위중량. 폐기물의 밀도 --------------------------------------------------- 자주 사용되는 폐기물의 단위중량(밀도). 단위: ton/m3 > 금속철재류: 7.93 > 철근콘크리트: 2.40 > 무근콘크리트: 2.30 > 역청포장: 2.35 > 목조건물잔재: 1.70 > 목재(생나무): 0.80 > 목재(건조목): 0.70 > 기타구조물: 2.30 (PC블록, 경계석 등) > 혼합폐기물: 0.70 (가구 등 생활쓰레기) 2019. 1. 11.
4% NaOH 용액 1000 m3 중화에 필요한 95% H2SO4의 양(m3) 4% NaOH 용액 1000 m3 중화에 필요한 95% H2SO4의 양(m3) 어떤 공장에서 4% NaOH를 함유한 폐수가 1000 m3 배출되었다. 이 폐수를 중화하는데 필요한 95% H2SO4의 양(m3)은? (단, 폐수 비중은 1.0, 95% H2SO4의 비중은 1.84) --------------------------------------------------- 1 m3 = 1000 L 이므로, 폐수 1000 m3 = 10^6 L 폐수 밀도 = 1.0 g/mL = 1.0 kg/L 이므로, 폐수 10^6 L = 10^6 kg 폐수 10^6 kg에 들어있는 NaOH의 질량 = 10^6 kg × (4/100) = 40000 kg NaOH NaOH의 몰질량 = 40 g/mol 이므로, 40000 kg N.. 2019. 1. 11.
4% NaOH 폐수 1000 m3 중화에 필요한 37% HCl의 양(m3) 4% NaOH 폐수 1000 m3 중화에 필요한 37% HCl의 양(m3) 어떤 공장에서 4% NaOH를 함유한 폐수가 1000 m3 배출되었다. 이 폐수를 중화하는데 필요한 37% HCl의 양(m3)은? (단, 폐수 비중은 1.0, 37% HCl의 비중은 1.18) --------------------------------------------------- NaOH의 당량수 = 1 eq/mol 이고, HCl의 당량수 = 1 eq/mol 이므로, ( 참고 https://ywpop.tistory.com/4105 ) 즉, 둘 다 1당량(eq) = 1몰(mol) 이므로, 당량 개념으로 계산해도 되고, 보다 간단한 몰 개념으로 계산해도 됩니다. 1 m3 = 1000 L 이므로, 폐수 1000 m3 = 10^6 .. 2019. 1. 10.
0.1 N KMnO4 용액 500 mL 제조에 필요한 KMnO4의 양(g) ★ 0.1 N KMnO4 용액 500 mL 제조에 필요한 KMnO4의 양(g) 0.1 N KMnO4 용액 500 mL를 만들려면 KMnO4 몇 g이 필요한가? (단, KMnO4의 몰질량 = 158 g/mol) ▶ 계산(설명)이 바로 이해되면, 참고는 pass하세요. ( 참고는 이해를 돕기 위한 보충 설명입니다. ) 0.1 N KMnO4 용액 500 mL에 들어있는 KMnO4의 eq수를 계산하면, (0.1 eq/L) × 0.500 L = 0.05 eq KMnO4 ( 참고 https://ywpop.tistory.com/7787 ) KMnO4의 당량수 = 5 eq/mol 이므로, ( 참고 https://ywpop.tistory.com/3795 ) 0.05 eq KMnO4의 몰수를 계산하면, 0.05 eq / (5.. 2019. 1. 9.
금속산화물. 원자가 2가, 금속 80% 금속산화물. 원자가 2가, 금속 80% 어떤 금속의 원자가는 2가이며, 그 산화물의 조성은 금속이 80%이었다. 이 금속의 원자량은 얼마인가? 어떤 금속의 원자가는 2 이며, 그 산화물의 조성은 금속이 80wt% 이다. 이 금속의 원자량은? ① 32 ② 48 ③ 64 ④ 80 --------------------------------------------------- 금속산화물에서 금속(M)의 원자가가 +2이면, 금속산화물의 화학식은 MO. ( 산소의 산화수 = –2 이므로, M^2+ + O^2- → MO ) ( 원자가 = 이온전하 = 산화수, 이렇게 단순하게 생각할 수도 있다. ) 가령 금속산화물이 100 g 있다면, ( 금속산화물이 100 g 있든, 13 g, 91 g, 7777 g 있든 조성은 동일.. 2019. 1. 7.
BOD_5 213 mg/L, k 0.14인 하수의 7일 소모 BOD BOD_5 213 mg/L, k 0.14인 하수의 7일 소모 BOD BOD_5가 213 mg/L인 하수의 7일 동안 소모된 BOD는? (단, 탈산소계수는 0.14 /day(상용대수)이다.) 20℃에서 BOD_5가 213 mg/L이었다면, 이 시료의 BOD_7은? (단, 탈산소계수는 0.14 /day(상용대수)이다.) --------------------------------------------------- ▶ BOD 소비식과 BOD 잔존식 설명 http://ywpop.tistory.com/10437 --------------------------------------------------- [1 단계] BOD_5 값으로 BOD_u를 계산한다. BOD_t = BOD_u [1 – 10^(-k•t)] 213.. 2019. 1. 3.
BOD_u 300 mg/L, k 0.2인 오수의 5일 소모 BOD BOD_u 300 mg/L, k 0.2인 오수의 5일 소모 BOD 최종 BOD가 300 mg/L, 탈산소계수(자연대수를 base로 함)가 0.2 day^-1인 오수의 5일 소모 BOD는? --------------------------------------------------- ▶ 참고: BOD 소비식과 BOD 잔존식 [ https://ywpop.tistory.com/10437 ] --------------------------------------------------- BOD_t = BOD_u [1 – e^(–k•t)] BOD_5 = 300 [1 – e^(–0.2×5)] = 189.6 mg/L 답: 189.6 mg/L 2019. 1. 3.
[환경공학] BOD 소비식과 BOD 잔존식 ★ [환경공학] BOD 소비식과 BOD 잔존식       ※ 문제 지문에 “○일후 남아있는” 단어가 있으면 BOD 잔존식,없으면 BOD 소비식으로 계산한다.       [1] BOD 소비식   ▶ BOD_t = BOD_u [1 – 10^(–k×t)] 또는▶ BOD_t = BOD_u [1 – e^(–k×t)]( 문제의 조건이 상용대수이면 10을, 자연대수이면 e를 적용한다. )   > BOD_t: t시간(day)에서 소비된 산소량(mg/L)> BOD_u: 최종 소비된 산소량(mg/L) (?)( 개념은 총 BOD 또는 초기 BOD 인데, 왜 이름이 최종 소비된 BOD? )> k = 탈산소계수(/day)     > 최종 BOD (= 총 BOD = 초기 BOD), BOD_u = 소모 BOD + 잔존 BOD> .. 2019. 1. 3.
120 ppm NaCl 용액의 몰농도(M) 120 ppm NaCl 용액의 몰농도(M) 120 ppm NaCl의 농도(M) 120ppm의 NaCl의 농도(M)는? (단, 원자량은 Na 23, CI 35.5 이다.) ① 0.0015 ② 0.0017 ③ 0.0021 ④ 0.01 --------------------------------------------------- 120 ppm = 120 mg/L ( 참고 https://ywpop.tistory.com/5345 ) 120 mg = 0.120 g NaCl의 몰질량 = 23 + 35.5 = 58.5 g/mol 이므로, 0.120 g NaCl의 몰수를 계산하면, 0.120 g / (58.5 g/mol) = 0.00205 mol ( 참고 https://ywpop.tistory.com/7738 ) 몰농도를.. 2018. 11. 28.
[환경공학] 합류수질이 BOD5로 10 mg/L 이하로 유지 ★ [환경공학] 합류수질이 BOD5로 10 mg/L 이하로 유지 하수처리장의 유출수 내 BOD5 농도는 40 mg/L이며 방출량은 5000 m^3/d이었다. 방류하천의 하천수 BOD5 값이 3 mg/L일 때 하천수와 하수의 합류수질이 BOD5로 10 mg/L 이하로 유지되려면 하천수의 최소 필요유량(m^3/d)은 얼마인가? A B C BOD = 3 mg/L Q = x m^3/d BOD = 40 mg/L Q = 5000 m^3/d BOD = 10 mg/L 이하 Q = x+5000 m^3/d (A의 농도 × A의 유량) + (B의 농도 × B의 유량) = C의 농도 × C의 유량 C의 농도 = [(A의 농도 × A의 유량) + (B의 농도 × B의 유량)] / C의 유량 > C의 유량 = A의 유량 + B의 유.. 2018. 10. 2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