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공학&기술2498 에탄 2 kg 연소시 이론적으로 발생되는 열량 에탄 2 kg 연소시 이론적으로 발생되는 열량 탄소 1 kg 연소시 이론적으로 30000 kcal의 열이 발생하고,수소 1 kg 연소시 이론적으로 34100 kcal의 열이 발생된다면,에탄 2 kg 연소시 이론적으로 발생되는 열량은? 에탄, C2H6의 몰질량 = 2(12) + 6(1) = 30 g/mol 이므로, > 에탄에서 C%(w/w) = [2(12) / 30] × 100 = 80%> 에탄에서 H%(w/w) = 20% 2 kg 에탄에서 탄소에 의한 열량= 2 kg × (80/100) × (30000 kcal/kg) = 48000 kcal 2 kg 에탄에서 수소에 의한 열량= 2 kg × (20/100) × (34100 kcal/kg) = 13640 .. 2021. 2. 16. 연소 후 배출가스 중 산소농도가 6.2% 완전연소시 공기비 연소 후 배출가스 중 산소농도가 6.2% 완전연소시 공기비 연소계산에서 연소 후 배출가스 중 산소농도가 6.2%라면완전연소시 공기비는?① 1.15② 1.23③ 1.31④ 1.42 ---------------------------------------------------▶ 참고: 오르자트(Orsat) 분석법[ https://ywpop.tistory.com/17176 ]--------------------------------------------------- ▶ 배출가스 중 O2%만 존재시 공기비(m) 공기비, m = 21 / (21 – O2%)= 21 / (21 – 6.2)= 1.42 답: 1.42 [키워드] 공기비 계산 기준 2021. 2. 16. C 86%, H 14% 액체연료 30 kg CO2 12.5%, O2 3.5%, N2 84% C 86%, H 14% 액체연료 30 kg CO2 12.5%, O2 3.5%, N2 84% 탄소, 수소의 중량 조성이 각각 86%, 14%인 액체연료를 매시 30 kg 연소한 경우 배기가스의 분석치가 CO2 12.5%, O2 3.5%, N2 84% 이라면 매시간 필요한 공기량(Sm3)은? 이론산소량, Oo = 1.867C + 5.6(H – O/8) + 0.7S = (1.867×0.86) + (5.6×0.14) = 2.3896 Sm3/kg 이론공기량, Ao = Oo / 0.21 = 2.3896 / 0.21 = 11.379 Sm3/kg 공기비, m = N2% / (N2% – 3.76×O2%) = 84 / (84 – 3.76×3.5) = 1.186 실제공기량, A = mAo = (1.186) (11.379) .. 2021. 2. 16. 탄소 85%, 수소 15% 액체연료 100 kg 연소 CO2 12.5%, CO 3%, O2 3.5%, N2 81% 탄소 85%, 수소 15% 액체연료 100 kg 연소 CO2 12.5%, CO 3%, O2 3.5%, N2 81% 43. 중량조성이 탄소 85%, 수소 15%인 액체연료를매시 100 kg 연소한 후 배출가스를 분석하였더니분석치가 CO2 12.5%, CO 3%, O2 3.5%, N2 81%이었다.이때 매시간당 필요한 공기량(Sm3/hr)은?① 약 13② 약 157③ 약 657④ 약 1,271 이론 산소량, O_o 계산O_o = 1.867(C) + 5.6(H) – 0.7(O) + 0.7(S)( 참고 https://ywpop.tistory.com/21789 ) = 1.867(0.85) + 5.6(0.15) – 0.7(0) + 0.7(0)= 2.427 Sm3/kg [참고] .. 2021. 2. 16. PVT는 일정. 표준상태 61.7 Sm3에서 25℃, 820 mmHg PVT는 일정. 표준상태 61.7 Sm3에서 25℃, 820 mmHg 표준상태에 있는 A 시료의 체적은 61.7 Sm3이다.25℃, 820 mmHg에서의 체적은 얼마인가? ▶ Sm3: 0℃, 1 atm에서 측정한 부피( 참고 https://ywpop.tistory.com/6441 ) P1V1 / T1 = P2V2 / T2( 참고 https://ywpop.tistory.com/7091 ) V2 = [P1V1T2] / [P2T1]= [(1) (61.7) (273 + 25)] / [(820/760) (273 + 0)]= 62.4 m3 답: 62.4 m3 [키워드] PVT는 일정 기준 2021. 2. 16. 0℃에서 DO 7.0 mg/L인 물의 DO 포화도(%) 0℃에서 DO 7.0 mg/L인 물의 DO 포화도(%) 0℃에서 DO 7.0 mg/L인 물의 DO 포화도는 몇 %인가? 단, 대기의 화학적 조성 중 O2는 21%(V/V), 0℃에서 순수한 물의 공기 용해도는 38.46 mL/L, 1기압 기준 기타 조건은 고려하지 않음. --------------------------------------------------- DO 포화도(%) = DO 포화율(%) = 용존산소 포화율(%) DO 포화율(%) = DO / [DO_t × (B/760)] × 100 > DO: 시료의 용존산소량 (mL/L 또는 mg/L) > DO_t: 순수 중의 용존산소 포화량 (mL/L 또는 mg/L) > B: 시료 채취시의 대기압 (mmHg) DO_t = (38.46 mL/L) (21/1.. 2021. 2. 16. M(OH)2의 용해도(g/L). M(OH)2의 Ksp=4.0×10^(-9) M(OH)2의 용해도(g/L). M(OH)2의 Ksp=4.0×10^(-9) 금속수산화물 M(OH)2의 용해도적(Ksp)이 4.0×10^(-9) 이면 M(OH)2의 용해도(g/L)는? 단, M은 2가, M(OH)2의 분자량=80 금속수산화물 M(OH)2의 용해도적(Kps)이 4.0×10-9이면 M(OH)2의 용해도적(g/L)는? (단, M은 2가, M(OH)2의 분자량 = 80) ① 0.04 ② 0.08 ③ 0.12 ④ 0.16 --------------------------------------------------- M(OH)2(s) ⇌ M^2+(aq) + 2OH^-(aq) Ksp = [M^2+] [OH^-]^2 = (s) (2s)^2 = 4s^3 ( 참고 https://ywpop.tistory.com.. 2021. 2. 16. 황산함량 0.049 g/L인 순환수의 pH 황산함량 0.049 g/L인 순환수의 pH 배출가스 중 황산화물을 처리하기 위해 물을 사용하는 충전탑으로 처리한 결과순환수의 황산함량은 0.049 g/L이었다. 이 순환수의 pH는? 배출가스 중 황산화물을 처리하기 위해물을 사용하는 충전탑으로 처리한 결과순환수의 황산함량은 0.049 g/L이었다.이 순환수의 pH는?① 1② 2③ 2.7④ 3 0.049 g/L= 0.049 g 황산 / 1 L 순환수= 0.049 g 황산 / 1 L 용액 황산, H2SO4의 몰질량 = 98.08 g/mol 이므로,0.049 g 황산의 몰수를 계산하면,0.049 g / (98.08 g/mol) = 0.0005 mol H2SO4 H2SO4(aq) → 2H^+(aq) + S.. 2021. 2. 16. 배출가스 분석결과로 공기비(m) 계산. 오르자트(Orsat) 분석법 ★ 배출가스 분석결과로 공기비(m) 계산. 오르자트(Orsat) 분석법 ▶ 배기가스 분석결과로 공기비(m) 계산. 오르자트 분석법 [1] 불완전연소 시: CO2%, O2%, CO% 주어질 때 공기비, m = N2% / [N2% – 3.76(O2% – 0.5×CO%)]> N2% = 100 – (CO2% + O2% + CO%) > N2%가 주어진 경우, CO2%는 무시.> CO2%는 N2%가 주어지지 않았을 때, N2% 계산에 필요. [2] 완전연소 시: CO2%, O2% 주어질 때 공기비, m = N2% / (N2% – 3.76×O2%)> N2% = 100 – (CO2% + O2%) [3] 완전연소 시: O2%만 주어질 때 .. 2021. 2. 15. 배기가스로 공기비 계산(orsat 분석). CO2 13%, O2 3% 배기가스로 공기비 계산(orsat 분석). CO2 13%, O2 3% 어떤 액체연료를 보일러에서 완전연소시켜 그 배기가스를 orsat 분석 장치로 분석한 결과 CO2 13%, O2 3%의 결과를 얻었다. 이때 공기비는? --------------------------------------------------- ▶ 참고: 오르자트(Orsat) 분석법 [ https://ywpop.tistory.com/17176 ] --------------------------------------------------- ▶ 배기가스 분석 결과로 공기비(m) 계산 > 완전연소 시(배기가스 분석결과 CO가 없을 때) 공기비, m = N2% / (N2% – 3.76 × O2%) > N2% = 100 – (CO2% + O2%).. 2021. 2. 15. 이전 1 ··· 209 210 211 212 213 214 215 ··· 250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