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공학&기술2471

Deacon식. 지상 25 m 풍속 10 m/s 지상 50 m 풍속 Deacon식. 지상 25 m 풍속 10 m/s 지상 50 m 풍속     4. 지상 25 m에서의 풍속이 10 m/s일 때지상 50 m에서의 풍속(m/s)은?(단, Deacon식을 이용하고, 풍속지수는 0.2를 적용한다.)① 약 10.8② 약 11.5③ 약 13.2④ 약 16.8   ---------------------------------------------------   Deacon 식. 데칸 식U2 = U1 × (H2 / H1)^p> U2: H2 고도에서의 풍속 (m/s)> U1: H1 고도에서의 풍속 (m/s)> H2, H1: 고도 (m)> p: 매개변수, 풍속지수       U2 = U1 × (H2 / H1)^p= 10 × (50 / 25)^0.2= 11.5 m/s       답:.. 2024. 12. 13.
직경 0.3 m 덕트 공기 1 m/s로 흐를 때 레이놀즈 수(NRe) 직경 0.3 m 덕트 공기 1 m/s로 흐를 때 레이놀즈 수(NRe)     55. 직경 0.3 m인 덕트로 공기가 1 m/s로 흐를 때이 공기의 레이놀즈 수(NRe)는?(단, 공기밀도는 1.3 kg/m3, 점도는 1.8×10-4 kg/m·s이다.)① 약 1083② 약 2167③ 약 3251④ 약 4334       레이놀즈 수, N_ReN_Re = ρ V D / μ> ρ: 유체의 밀도 (kg/m3)> V: 유체의 속도 (m/s)> D (또는 L): 관의 지름, 덕트의 직경 (m)> μ: 유체의 점도 (kg/m•s)       N_Re = ρ V D / μ= 1.3 × 1 × 0.3 / (1.8×10^(-4))= 2166.7       답: ② 약 2167         [키워드] 공기의 .. 2024. 12. 12.
입자의 cut size diameter. 가스 점도 2.0×10-4 poise 입구농도 7 g/m3 입자의 cut size diameter. 가스 점도 2.0×10-4 poise 입구농도 7 g/m3     58. A연마시설에서 배출되는 먼지를 제거하기 위해사이클론을 이용하고자 한다.처리가스의 점도가 2.0×10-4 poise,입구농도가 7 g/m3 일 때입자의 cut size diameter(μm)는?(단, 유효회전수 5, 사이클론의 입구폭 90 cm,입자의 밀도 2900 kg/m3, 배출가스의 밀도 1.2 kg/m3,입구 가스속도 12.5 m/s)① 8② 10③ 12④ 17       cut size diameter(d_c) 계산식( cut diameter of a cyclone )d_c = [(9 μ_g b) / (2 π N_e V_i (ρ_p – ρ_g))]^(1/2)> d_c: cut siz.. 2024. 12. 12.
사이클론 직경 56 cm 유입가스 속도 5.5 m/s 분리계수 사이클론 직경 56 cm 유입가스 속도 5.5 m/s 분리계수     57. 사이클론의 직경이 56 cm,유입가스의 속도가 5.5 m/s일 때분리계수는?① 약 11.0② 약 23.3③ 약 46.5④ 약 55.2       분리계수, SS = V^2 / (R × g)> V: 가스접선속도 (m/s)> R: 반지름 (m)> g: 중력가속도 (9.8 m/s2)       S = V^2 / (R × g)= 5.5^2 / ((0.56/2) × 9.8)= 11.024       답: ① 약 11.0         [키워드] 사이클론 분리계수 기준 2024. 12. 12.
고용량공기시료채취법으로 측정한 비산먼지의 농도 고용량공기시료채취법으로 측정한 비산먼지의 농도     39. 외부로 비산 배출되는 먼지를고용량공기시료채취법으로 측정한 조건이다음과 같을 때 비산먼지의 농도는?   > 대조위치의 먼지농도: 0.15 mg/m3> 채취먼지량이 가장 많은 위치의먼지농도: 4.69 mg/m3> 전 시료채취 기간 중주 풍향이 90° 이상 변했으며,풍속이 0.5 m/s 미만 또는 10 m/s 이상되는 시간이 전 채취시간의 50% 미만이었다.   ① 4.54 mg/m3② 5.45 mg/m3③ 6.81 mg/m3④ 8.17 mg/m3       비산먼지의 농도, C_mC_m = (C_H – C_B) × W_D × W_S> C_H: 채취먼지량이 가장 많은 위치의 먼지농도> C_B: 대조위치의 먼지농도> W_D: 풍향 변화 범위에 따른 .. 2024. 12. 12.
탄소 89% 수소 11% 경유 1 kg 공기과잉계수 1.2 연소 탄소 2% 그을음 탄소 89% 수소 11% 경유 1 kg 공기과잉계수 1.2 연소 탄소 2% 그을음     58. 탄소 89%, 수소 11%로 된 경유 1 kg을공기과잉계수 1.2로 연소 시탄소 2%가 그을음으로 된다면실제 건조 연소가스 1 Sm3 중그을음의 농도(g/Sm3)는 약 얼마인가?① 0.8② 1.4③ 2.9④ 3.7       경유 1 kg(= 1000 g) 중,> 탄소(C)의 질량 = 1000 g × (89/100) = 890 g> 수소(H)의 질량 = 1000 g × (11/100) = 110 g       890 g 탄소(C)의 몰수= 890 g / (12 g/mol) = 74.1667 mol   110 g 수소(H)의 몰수= 110 g / (1 g/mol) = 110 mol       C + O.. 2024. 12. 12.
Rosin-Rammler 분포 체상분포 R(%) 먼지 입경 35 μm 이하 Rosin-Rammler 분포 체상분포 R(%) 먼지 입경 35 μm 이하     45. 먼지의 입경(dp, μm)을 Rosin-Rammler 분포에 의해체상분포 R(%)=100exp(-βdp^n)으로 나타낸다.이 먼지는 입경 35 μm 이하가전체의 약 몇 %를 차지하는가? (단, β=0.063, n=1)① 11%② 21%③ 79%④ 89%       Rosin-Rammler 분포, R(%)R(%) = 100 exp(–β dp^n)> dp: 먼지의 입경> β: 입경 계수> n: 입경 지수       R(%) = 100 exp(–β dp^n)= 100 × e^(–0.063 × 35^1)= 11%       100 – R(%)= 100 – 11 = 89%( 이 과정은 이해할 수 없다. )     .. 2024. 12. 12.
최대착지거리. 유효 굴뚝높이 120 m 배출 SO2 지상 최대의 농도를 나타내는 지점(m) 최대착지거리. 유효 굴뚝높이 120 m 배출 SO2 지상 최대의 농도를 나타내는 지점(m)     9. 유효 굴뚝높이 120 m인 굴뚝으로부터배출되는 SO2가 지상 최대의 농도를 나타내는 지점(m)는?(단, sutton의 식 적용, 수평 및 수직 확산계수는 0.05,안정도계수(n)는 0.25)① 약 4457② 약 5647③ 약 6824④ 약 7296       [Sutton 확산식. 최대착지거리, Xmax 계산]Xmax = (He / σz)^[2 / (2 – n)]> Xmax: 최대착지거리 (m)> He: 유효굴뚝높이 (m)> σz: 수직확산계수 (m)> n: 안정도계수       Xmax = (He / σz)^[2 / (2 – n)]= (120 / 0.05)^[2 / (2 – 0.25)]= 729.. 2024. 12. 12.
하루 5톤 유비철광 아비산제조 공장 배출 SO2 NaOH Na2SO3 제거 하루 5톤 유비철광 아비산제조 공장 배출 SO2 NaOH Na2SO3 제거     59. 하루에 5톤의 유비철광을 사용하는 아비산제조 공장에서배출되는 SO2를 NaOH용액으로 흡수하여 Na2SO3로 제거하려 한다.NaOH 용액의 흡수효율을 100%라 하면이론적으로 필요한 NaOH의 양(톤)은?(단, 유비철광 중의 유황분 함유량은 20%이고,유비철광 중 유황분은 모두 산화되어 배출된다.)① 0.5② 1.5③ 2.5④ 3.5       5톤 유비철광 중 유황분 함유량 20% 이므로,5 ton × (20/100) = 1 ton S       > S의 몰질량 = 32 g/mol> NaOH의 몰질량 = 40 g/mol       1) S + O2 → SO22) SO2 + 2NaOH → Na2SO3 + H.. 2024. 12. 12.
농도 7%(w/v) H2O2 100 mL 이론상 흡수할 수 있는 SO2의 양(L) 농도 7%(w/v) H2O2 100 mL 이론상 흡수할 수 있는 SO2의 양(L)     39. 농도 7%(w/v)의 H2O2 100 mL가이론상 흡수할 수 있는 SO2의 양(L)으로 옳은 것은?① 약 0.1② 약 0.5③ 약 1.2④ 약 4.6       7%(w/v) H2O2 용액 100 mL에 들어있는순수한 H2O2의 질량= 100 × (7/100) = 7 g       H2O2의 몰질량 = 2(1) + 2(16) = 34 g/mol 이므로,7 g H2O2의 몰수= 7 g / (34 g/mol)= 0.20588 mol H2O2       H2O2 + SO2 → H2SO4   H2O2 : SO2 = 1 : 1 계수비(= 몰수비) 이므로,0.20588 mol H2O2와 반응하는SO2의 몰수 =.. 2024. 12. 1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