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반화학/[09장] 분자의 기하구조와 결합 이론

결합 차수 (bond order) ★

by 영원파란 2017. 4. 15.

AdSense@ywpop

728x170

결합 차수 (bond order)

 

---------------------------------------------------

▶ 참고: MOT [ https://ywpop.tistory.com/6048 ]

---------------------------------------------------

 

결합 차수 = 1/2 (결합성 MO 전자 수 – 반결합성 MO 전자 수)

---> 이것이 결합 차수의 정의입니다.

 

결합 차수는 “화학 결합의 안정성 척도”로 사용됩니다.

0이면 결합이 존재하지 않고, 클수록 안정한 결합입니다.

 

 

 

 

MOT에서 공유 결합의 안정도는 결합 차수로 나타낼 수 있다.

공유 결합의 안정도 ∝ 결합 차수

결합 차수 = 1/2 (결합성 MO 전자 수 – 반결합성 MO 전자 수)

 

 

> 단일결합의 결합차수 = 1

> 이중결합의 결합차수 = 2

> 삼중결합의 결합차수 = 3

 

 

 

▶ 참고: 결합 차수가 분수인 경우 [ https://ywpop.tistory.com/5323 ]

 

 

---------------------------------------------------

 

반응형

 

음수인 결합 차수는 가능한가?

Q. Is it possible to have negative bond orders?

A. No, it's not possible, theoretically either.

 

 

결합 차수가 0보다 작을 수는 없다.

이론적으로도, 실제적으로도 가장 작은 결합 차수는 0이다.

왜냐하면, ‘반결합성 MO 전자의 최댓값 = 결합성 MO 전자의 수’ 이기 때문이다.

( 단, 들뜬 상태에서는 가능 https://ywpop.tistory.com/5318 )

 

 

---------------------------------------------------

 

 

▶ 어떤 물질의 결합 차수가 0보다 크면, 그 물질은 안정하다고 한다.

( ‘이론적으로’ 어느 정도 안정성을 가진다고 할 수 있다. )

 

 

그러나 어떤 물질의 결합 차수가 0보다 크다고 해서

전부 자연계에서(지구에서) 안정적으로 존재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He2^+의 결합 차수가 1/2이라고 해서

이 물질이 자연계에서 안정적으로 존재한다는 것은 아니다.

( 참고: He2^+의 결합 차수 https://ywpop.tistory.com/5363 )

 

 

다만, MOT의 이론상 He2^+는 결합 차수가 1/2이므로,

이론적으로는 존재할 수도 있다는 것이다.

( 지구 밖 어느 우주 공간에서는 존재할 수도 있지 않을까... )

 

 

 

 

[ 관련 글 https://ywpop.tistory.com/7353 ] 수소의 분자오비탈(궤도함수)과 결합차수

 

[ 관련 글 https://ywpop.tistory.com/10143 ] 결합차수와 결합길이는 반비례

 

 

 

[키워드] 결합차수 기준, 결합차수 사전, bond order dic

 

[Google 검색 실적] 2021년 6월 인기 상승 페이지

 

 

반응형
그리드형(광고전용)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