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신 글
-
A reaction has a ΔG° of -252 kJ
A reaction has a ΔG° of -252 kJ A reaction has a ΔG° of –252 kJ.What does this mean about the size of K andwhich side does the equilibrium lie? ------------------------ 자유에너지와 평형상수 관계ΔG° = –RT lnK( 참고 https://ywpop.tistory.com/10336 ) ΔG° ΔG°의 값이 매우 크므로,K > 1 이고,K의 값도 매우 클 것이다. K = e^(–ΔG° / RT)= e^( –(–252000) / (8.314 × 298) )= 1.49×10^44---> 매우 큰 K 값 K >>> 1 이..
2025.04.11
-
N2O4(g) ⇌ 2NO2(g) N2O4 0.452 atm NO2 0.122 atm
N2O4(g) ⇌ 2NO2(g) N2O4 0.452 atm NO2 0.122 atm The following reaction was observed at 25℃:N2O4(g) ⇌ 2NO2(g)(K = 0.113; ΔG° = 5.4 kJ/mol)Given initial pressures of N2O4 = 0.452 atm and NO2 = 0.122 atm,calculate ΔG for the reaction and predict the direction the reaction proceeds. ------------------------ Q = (P_NO2)^2 / (P_N2O4)= 0.122^2 / 0.452= 0.0329 ΔG = ΔG° + RTlnQ( 참고 https:..
2025.04.11
-
AgNO3 added to 0.02 M AsO4^3-, 0.02 M I^-, 0.02 M CO3^2-
AgNO3 added to 0.02 M AsO4^3-, 0.02 M I^-, 0.02 M CO3^2- AgNO3 is slowly added to an aqueous solution containing0.02 M AsO4^3-, 0.02 M I^- and 0.02 M CO3^2-.In what order (from first to last) would the silver salts precipitate?> Ksp of Ag3AsO4 = 1.0×10^(-22)> Ksp of Agl = 8.3×10^(-17)> Ksp of Ag2CO3 = 8.1×10^(-12) ------------------------ Ag3AsO4(s) ⇌ 3Ag^+(aq) + AsO4^3-(aq) Ksp = [Ag..
2025.04.11
-
What is the molar solubility of BaF2 in 0.30 M NaF
What is the molar solubility of BaF2 in 0.30 M NaF What is the molar solubility of BaF2 in 0.30 M NaF?Ksp of BaF2 = 1.0×10^(-6) ------------------------ [참고] 용해도곱상수와 몰용해도. Ksp와 몰용해도[ https://ywpop.tistory.com/8434 ] [참고] 난용성염의 용해도와 공통이온효과. CaF2 + Ca(NO3)2 or KF[ https://ywpop.tistory.com/3141 ] a. 순수한 물에서 BaF2의 몰용해도 BaF2(s) ⇌ Ba^2+(aq) + 2F^-(aq) Ksp = [Ba^2+] [F^-]^2 1...
2025.04.11
-
0.1 M 수용액 100 mL로 0.01 M 수용액 100 mL 만들기
0.1 M 수용액 100 mL로 0.01 M 수용액 100 mL 만들기 제조한 0.1 M 수용액 100 mL를 사용하여0.01 M 수용액 100 mL를 만드는 과정을 서술하시오. ------------------------ 묽힘법칙M1V1 = M2V2( 참고 https://ywpop.tistory.com/2859 ) 0.01 M 수용액 100 mL 제조에 필요한0.1 M 수용액의 부피(V1)를묽힘법칙으로 계산하면,V1 = M2V2 / M1= (0.01 M) (100 mL) / (0.1 M)= (0.01) (100) / (0.1)= 10 mL 100 mL 부피 플라스크에0.1 M 수용액 10 mL를 옮겨 넣고,( 10 mL 홀 피펫 사용 )플라스크 표선까지 증류..
2025.04.11
-
0.1 mol NaOH의 질량(g)
0.1 mol NaOH의 질량(g) 수산화나트륨 시약의 0.1몰에 해당하는 질량은? ------------------------ NaOH의 몰질량 = 40 g/mol 이므로,W = n × M= 0.1 mol × (40 g/mol)= 4 g( 참고 https://ywpop.tistory.com/7738 ) 답: 4 g [키워드] 화학량론 기준
2025.04.11
-
폴리카보네이트. polycarbonate
폴리카보네이트. polycarbonate [그림] Repeating chemical structure unit of polycarbonate. [ 관련 글 https://en.wikipedia.org/wiki/Polycarbonate ]Polycarbonate [키워드] 폴리카보네이트 기준, polycarbonate 기준, 폴리카보네이트 구조 기준, polycarbonate structure 기준, 폴리카보네이트 사전, polycarbonate dic, 폴리카보네이트 구조 사전, polycarbonate structure dic
2025.04.11
-
부유물질(SS) 1312 mg/L 여과 전 유리섬유여지 1.2113 g 시료량 100 mL
부유물질(SS) 1312 mg/L 여과 전 유리섬유여지 1.2113 g 시료량 100 mL 폐수의 부유물질(SS)을 측정하였더니 1312 mg/L이었다.시료 여과 전 유리섬유여지의 무게가 1.2113 g이고,이때 사용된 시료량이 100 mL이었다면시료 여과 후 건조시킨 유리섬유여지의 무게(g)는? 폐수의 부유물질(SS)을 측정하였더니 1,312mg/L이었다. 시료 여과 전 유리섬유여지의 무게가 1.2113g이고, 이 때 사용된 시료량이 100mL이었다면 시료 여과 후 건조시킨 유리섬유여지의 무게(g)는?① 1.2242② 1.3425③ 2.5233④ 3.5233 ------------------------ 농도(mg/L) = 용질의 양(mg) / 용액의 양(L) SS = (b ..
2025.04.10
-
30% H2SO4 용액(d 1.22)의 노르말농도와 몰농도
30% H2SO4 용액(d 1.22)의 노르말농도와 몰농도 30%의 H2SO4 용액의 비중이 1.22이다.이 용액의 N농도와 M농도는각각 얼마인가? (H2SO4 분자량 98) ------------------------ [참고] 96% w/w 황산(d 1.84, FW 98)의 노르말농도(N)[ https://ywpop.tistory.com/23034 ] 30% H2SO4 용액= (30 g H2SO4 / 100 g 용액) × 100 H2SO4의 몰질량(분자량) = 98 g/mol 이므로,30 g H2SO4의 몰수= 30 g / (98 g/mol)= 30/98 mol 30%의 H2SO4 용액의 밀도 = 1.22 g/mL 이므로,100 g 용액의 부피..
2025.04.09
-
1기압에 해당하는 물기둥의 높이
1기압에 해당하는 물기둥의 높이h = P / (ρ•g) 에서, ρ = 1000 kg/m3 ------------------------ P = ρgh> P: 압력 (Pa = kg/m•s2)> ρ: 밀도 (kg/m3)> g: 중력가속도 (m/s2)( g = 9.80665 m/s2 ≒ 9.81 m/s2 )> h: 높이 or 깊이 (m)( 참고 https://ywpop.tistory.com/20902 ) > 1 Pa = 1 N/m2 = 1 kg/m•s2> 1 atm = 101325 Pa( 참고 https://ywpop.tistory.com/13536 ) h = P / (ρ•g)= (101325 kg/m•s2) / ((1000 kg/m3) (9.81 m/s2))= (101325..
2025.04.09
인기 글
-
실험 오차 계산식. percent error formula ★★
실험 오차 계산식. percent error formula [1] 참값(true value)과 측정값(measured value)의 차이를절대오차 또는 간단히 오차라 한다.오차 = |참값 – 측정값| > 참값 = 이론값 (= 문헌값)> 측정값 = 실험값 [2] 오차와 참값의 비를 상대오차라 한다.상대오차 = 오차 / 참값 [3] 상대오차를 백분율로 나타낸 것을백분율 오차(percentage error)라 한다. 백분율 오차 = [ |참값 – 측정값| / 참값 ] × 100 (%)% 오차 = (오차 / 참값) × 100 (%) Percentage Error = |(measured value – real value) / real v..
2017.11.02
-
밀도와 비중 ★★
밀도와 비중, density vs. specific gravity 밀도는 어떤 물질의 질량을 부피로 나눈 양입니다. 밀도(g/mL) = 질량(g) / 부피(mL) 밀도의 단위는 g/mL (또는 g/cm3) 입니다.( 고체는 g/cm3, 액체는 g/mL )( 일반적으로, 고체 또는 액체의 밀도 단위는 g/mL를 사용합니다.단, 기체는 g/L를 사용합니다. ) 예를 들면, 4℃, 1기압에서 물의 밀도는 1.0 g/mL 입니다.( 거의 1.0 g/mL에 가깝습니다. )( 참고: 온도에 따른 물의 밀도 https://ywpop.tistory.com/4869 ) [참고] 밀도를 나타내는 기호> density의 d 또는> ρ (로, Rho)( 참고 https://ko...
2014.10.25
-
탄산칼슘과 염산의 반응. CaCO3 + HCl ★
탄산칼슘과 염산의 반응. CaCO3 + HClHCl + CaCO3 산-염기 반응 고체인 탄산칼슘에 염산 수용액을 가하면,다음과 같은 반응이 일어납니다.CaCO3(s) + 2HCl(aq) → CaCl2(aq) + H2CO3(aq) 이때 생성된 탄산은 (실제로는 탄산이 아니라,수소이온(H^+)과 탄산이온(CO3^2-)으로 존재합니다.)용액 중에서 다음과 같이 분해됩니다.2H^+(aq) + CO3^2-(aq) → CO2(g) + H2O(l) 따라서전체 반응식은 다음과 같습니다.CaCO3(s) + 2HCl(aq) → CaCl2(aq) + CO2(g) + H2O(l) ※ 탄산칼슘(CaCO3): 석회석(limestone, 석회암)의 주성분( CaCO3..
2016.01.20
-
원소 주기율표, 원자번호 20번까지 외우기(암기법) ★★
원소 주기율표, 원자번호 20번까지 외우기(암기법) [ 관련 글 https://ywpop.tistory.com/6661 ] [주기율표] 화학원소이름 (원자번호순) 화학을 공부하는 학생이라면, 고등학생이든 대학생이든,주기율표에서 원자번호 20번까지는, 족의 수와 함께 외워두면,여러 형태의 화학 문제를 풀이하는데 많은 도움이 됩니다. 수소, 헬륨은 별도로 전체 이름으로 외웁니다.리튬부터는 영문이름(또는 알파벳발음)과 한글이름의 첫 글자만 따와, (황은 예외)아래와 같이 외웁니다. ▶ 암기법: 읽기(발음)는 아래와 같이 하면서,쓰기는 실제 원소기호를 쓰면서 외웁니다. 암기할 때는 그냥 말로만 하지 말고,한글로 발음하면서 연습장에 원소기호를 쓰면서 외우도록 ..
2017.03.11
-
몰농도(M)와 노르말농도(N)의 관계식. 당량수 ★★
몰농도(M)와 노르말농도(N)의 관계식. 당량수 몰농도(M)와 노르말농도(N)의 관계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몰농도 × 당량수 = 노르말농도M × (eq/mol) = N(mol/L) × (eq/mol) = eq/L ※ 참고: 노르말농도 = 규정농도 = 당량농도 = normality 용액의 몰농도 개념은 매우 단순하기 때문에 구하기도 쉽습니다.너무나 쉽게도 “용질의 mol수를 구해, 용액의 L수로 나눠주면” 끝입니다.( 참고 https://ywpop.tistory.com/3222 ) 그러나 노르말농도는 몰농도만큼 단순하지 않습니다.( 노르말농도의 정의 https://ywpop.tistory.com/6131 ) 양이온의 전하(산화수) 값을 구할 줄 ..
2015.10.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