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보기24938

부피 분석법과 적정 부피 분석법과 적정   ---------------------------------------------------▶ 참고: 제4장 수용액 반응. 목차[ https://ywpop.tistory.com/15191 ]---------------------------------------------------   ▶ 부피 분석법. volumetric analytical method분석하려는 물질과 화학량론적으로 반응하는 표준 용액의 부피를 재어분석 물질의 양을 구하는 화학 분석의 한 방법을 “부피 분석법”이라 하며,부피 분석법에 쓰이는 적정은 반응의 종류에 따라① 산-염기 중화 적정② 산화-환원 적정③ 침전 적정④ 킬레이트 적정이렇게 4가지가 있다.       부피 분석법에 이용될 수 있는 반응은 다음과 .. 2012. 6. 30.
반응 차수. 2차 반응 (second order rxn) ★ 반응 차수. 2차 반응 (second order rxn)   ---------------------------------------------------▶ 참고: 제14장 화학 반응 속도론. 목차[ https://ywpop.tistory.com/12739 ]---------------------------------------------------   A + B → P (product)         2차 반응 속도식(1 / C_t) = k•t + (1 / C_0)( 참고 https://ywpop.tistory.com/25 )         ▶ 2차 반응의 반감기t_1/2 = 1 / (k [A]_0)> 초기 농도, [A]_0에 반비례.           ▶ 1차 반응 vs. 2차 반응 .. 2012. 6. 29.
반응 차수. 1차 반응 (first order rxn) ★ 반응 차수. 1차 반응 (first order rxn)   ---------------------------------------------------▶ 참고: 제14장 화학 반응 속도론. 목차[ https://ywpop.tistory.com/12739 ]---------------------------------------------------   A → P(product)반응에서,         1차 반응 속도식ln([A]_t / [A]_0) = –k•t   또는ln(C_t / C_0) = –k•t( 참고 https://ywpop.tistory.com/26 )   > C_t / C_0 = e^(–k•t)> C_t = e^(–k•t) × C_0> N_t = e^(–k•t) × N_0      .. 2012. 6. 28.
반응물의 농도와 시간 사이의 관계 반응물의 농도와 시간 사이의 관계 --------------------------------------------------- 속도 법칙으로부터 반응을 분류할 수 있는데, 분류를 하는 이유? 어떤 이점이 있을까? 같은 그룹에 속한 반응은 반응 속도라든지, 시간별 반응물과 생성물의 농도 및 조성 변화 등이 유사할 것이기 때문이다. 그룹(종류)을 결정하면, 이와 같은 data 예측 가능. 이때 분류 기준 → 반응 차수. 2012. 6. 28.
콜로이드 (colloid) ★ 콜로이드. colloid   ---------------------------------------------------▶ 참고: 계면 과학[ https://ywpop.tistory.com/29 ]---------------------------------------------------   [1] 유래▶ 19C, 영국, Graham. (그레이엄의 확산 법칙으로 유명한데),(어떤 물질을 물에 용해시켜 만든) 수용액의 확산 속도 비교 실험,모든 물질을 두 집단으로 분류.① 확산 속도 빠른 물질 → 결정화 잘되더라 → crystalloid(결정질)② 확산 속도 느린 물질 → 결정화 잘 안되더라 → colloid(콜로이드). 여기서 유래.       [참고] 반투막(semipermeable membrane.. 2012. 6. 27.
계면 과학. interface science ★ 계면 과학. interface science       ▶ 계면, interface   이 단어를 찬찬히 들여다보면,inter- 서로, 사이; face[feis] 얼굴, 면→ “면과 면 사이, 얼굴과 얼굴 사이” 쯤으로 해석 가능하겠다.       앞으로 배울 내용을 묘사하기에는 2% 부족하다. 좀 더 명확한 단어는inter-phase[feiz]; 상과 상 사이       phase, 상, 이게 무얼 의미하는 지는 잘 알겠고.근데, 뭐지? 종류는 고체, 액체, 기체상이 있다는 것은 잘 아는데...       ▶ phase의 정의> 물리적 경계가 명확히 구별되는 계의 균일한 부분.> 상 내부의 어떤 부분도 물리적•화학적 성질은 완전히 같다.       물과 기름 둘 다 액체상이지만, 물리적/.. 2012. 6. 27.
속도 법칙(rate law)과 반응 차수(reaction order) ☆ 속도 법칙(rate law)과 반응 차수(reaction order)   ---------------------------------------------------▶ 참고: 제14장 화학 반응 속도론. 목차[ https://ywpop.tistory.com/12739 ]---------------------------------------------------   지난 시간에 정의한 반응 속도는 ‘평균값’임을 알고 있다.( 참고 https://ywpop.tistory.com/2668 )   따라서 반응이 일어나는 동안 특정 시간 영역(구간),가령, 5초~15초, 10초~30초를 선택하여,그 때의 반응물(생성물) 농도를 측정하면,반응 속도를 구할 수 있다.       그런데, 대부분의 화학 반응은반응 .. 2012. 6. 27.
a lot of, 많은 a lot of, 많은 a lot of에서 a는 단수형 명사 앞에 붙는 부정관사가 아님에 주의. There is water. → There is a lot of water.There is grass. → There is a lot of grass. There are cars. → There are a lot of cars.There are trees. → There are a lot of trees. 2012. 6. 27.
충돌 이론과 활성화 에너지 충돌 이론과 활성화 에너지 --------------------------------------------------- [1] 충돌 이론: 화학 반응은 반응 분자들간의 충돌에 의해 일어난다. 반응 속도는 단위 시간당 충돌 횟수에 비례한다. The rate of a reaction is proportional to the rate of reactant collisions. ① 너무 약한 충돌 ② 방향이 맞지 않은 충돌 ③ 효과적인 충돌 충돌하는 분자들의 전체 운동 에너지는 화학 반응에 필요한 최소한의 에너지인 활성화 에너지(activation energy, Ea) 이상이 되어야만 한다. [2] 활성화 에너지: 화학 반응이 일어나기 위해 필요한 최소의 에너지 - Ea가 크다는 의미: 반응이 일어나려면 주변에.. 2012. 6. 26.
반응 속도와 효과적 충돌(effective collision) 반응 속도와 효과적 충돌(effective collision) --------------------------------------------------- 반응이 일어나기 위해서는 먼저 반응물들이 충돌해야 된다. 그러나 모든 충돌이 반응을 일어나게 하지는 않는다. ‘효과적 충돌’만이 반응을 일어나게 만든다. ▶ ‘효과적 충돌’ 조건 (1) 반응물들은 결합이 끊어지거나 새로운 결합이 형성될 때 최외각전자들의 재배열이 일어나는데 필요한 최소한의 에너지를 가져야 하고, (2) 충돌할 때 서로 적합한 배향을 가져야만 한다. 분자들의 평균 운동 에너지는 절대 온도에 비례한다. 높은 온도에서는 보다 많은 수의 분자들이 반응하기에 충분한 에너지를 갖고 있다. 이들 분자들이 비록 반응에 필요한 충분한 에너지를 갖고 있.. 2012. 6. 2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