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화학12780

고체의 분류 고체의 분류 1) 분자성 고체 : 비금속 원소 사이의 결합, van der Waals’ force, 공유 결합 : 결정 단위는 분자. 예) 요오드(I2), 황(S8), 나프탈렌(C10H8) 등 대부분의 탄소 화합물 2) 이온성 고체 : 금속 원소와 비금속 원소의 이온 결합 : 결정 단위는 양이온과 음이온. 예) 염화나트륨, 염화세슘 3) 공유성 고체 : 비금속 원소 사이의 공유 결합, 그물 구조 : 전체가 하나의 거대한 분자. 예) 다이아몬드(C), 흑연(C), 이산화규소(SiO2) 4) 금속성 고체 : 금속 원소 사이의 금속 결합 : 결정 단위는 금속 원자. 예) 모든 금속 2012. 9. 14.
콜로이드. colloid 콜로이드. colloid       ▶ 물질: 순물질 vs. 혼합물   ▶ 혼합물: 균일 혼합물 vs. 불균일 혼합물( 참고: 물질의 분류 https://ywpop.tistory.com/2390 )       ▶ 균일 혼합물 예) 설탕 + 물   ▶ 불균일 혼합물 예) 아주 고운 모래 + 물( 시간이 지나면 중력에 의해 분리 )       ▶ 콜로이드> 균일 혼합물 – 콜로이드 – 불균일 혼합물. 중간 상태.> 용액(균일 혼합물)과 불균일 혼합물의 경계선상의 혼합물.   즉, 균일 혼합물처럼 전체적으로 골고루 균일하지도 않고,그렇다고, 불균일 혼합물처럼중력에 의해 쉽게 분리되지도 않는, 이러한 혼합물.   [ 관련 글 https://ywpop.tistory.com/15431 ] 콜로이드의 종류에 .. 2012. 9. 14.
증기압 내림과 라울(Raoult)의 법칙 증기압 내림과 라울(Raoult)의 법칙 --------------------------------------------------- ▶ 증기압: 증기-액체 평형에서, 증기에 의한 압력 ( 증기압 설명 https://ywpop.tistory.com/2651 ) ▶ 비휘발성 물질 vs. 휘발성 물질 ( 관련 글 https://ywpop.tistory.com/2653 ) > 비휘발성: 증기압을 측정할 수 없는 물질 > 휘발성: 증기압을 측정할 수 있는 물질 ▶ Raoult의 법칙: 용액 위의 용매의 (부분) 증기 압력(P용매)은 용매의 몰분율(X용매)과 순수한 용매의 증기압(P°용매)의 곱과 같다. P_용매 = X_용매 • P°_용매 ΔP = X_용질 • P°_용매 ∴ 비휘발성 용질을 포함하는 용액 위의 휘.. 2012. 9. 13.
총괄성 총괄성 ▶ 용질의 종류에 상관없이 오로지 용질의 농도에 비례하는 용액의 물리적 성질 ▶ 용액 내에 있는 용질의 수에만 의존하는 성질 ▶ 4가지 총괄성 1) 증기압 내림 2) 끓는점 오름 3) 어는점 내림 4) 삼투압 2012. 9. 13.
몰농도(M) 몰랄농도(m) 환산(변환) ★ 몰농도(M) 몰랄농도(m) 환산(변환)※ 용액의 밀도가 주어지지 않으면, 환산할 수 없음.           ▶ 분자(numerator)가 “용질의 mol수”로 같기 때문에,몰농도 → 몰랄농도 환산할 때는 “용매의 질량(kg)”을,몰랄농도 → 몰농도 환산할 때는 “용액의 부피(L)”를계산하는 것이 농도 환산의 핵심이다.       ▶ 몰농도는 온도에 따라 변하지만, (분모가 부피)몰랄농도는 온도에 따라 거의 변하지 않는다. (분모가 질량)   ▶ 일반적으로, “몰랄농도 > 몰농도”.> 매우 묽은 용액의 경우, 몰랄농도 ≒ 몰농도.> 매우 진한 용액의 경우, 몰랄농도 >>> 몰농도.예) 98% 황산의 몰랄농도와 몰농도: 500 m >>> 18.4 M( 참고 https://ywpop.tistory.c.. 2012. 9. 11.
기체의 용해도와 온도 효과 기체의 용해도와 온도 효과 일반적으로, 고체의 용해도는 온도에 비례하고, 기체의 용해도는 온도에 반비례한다. 여기서, 용매는 물로 한정. 물질의 용해도는 실험적으로 결정된 것이다. 2012. 9. 10.
몇 가지 원소의 전기음성도(Pauling 척도) 몇 가지 원소의 전기음성도(Pauling 척도) [ 전기음성도 설명 http://ywpop.tistory.com/2567 ] 2012. 9. 4.
물리적 변화와 화학적 변화를 구분 짓는 잣대 물리적 변화와 화학적 변화를 구분 짓는 잣대 ----------------------------------------- ① 원자간(화학) 결합 파괴 + [ 새로운 결합 생성 유/무 ] ⇨ 기존 결합이 파괴됨과 동시에 새로운 결합이 생성되어야 화학적 변화이다. ⇨ 기존 결합이 파괴되었지만, 새로운 결합이 생성되지 않았으면, 물리적 변화이다. ② 반응열, Q의 차이 ... 결정적인 증거 ⇨ 물리적 변화가 일어날 때도 반응열의 출입이 발생하지만, 대부분 인간의 감각으로 느낄 수 없을 정도로 미미하다. (물론 예외는 있다.) ⇨ 진한 염산 또는 황산에 물을 가해 묽힐 때, 플라스크 표면을 만져보라. 따뜻하다는 것을 느낄 것이다. (맨손으로 쥘 수 없을 정도로 뜨겁다.) 화학적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는 증거이다. .. 2012. 7. 11.
흡착 이론 흡착 이론 --------------------------------------------------- 흡착은 어떤 물질이 이성분간의 계면에 축적되는 물리적 또는 화학적 현상으로써 정수에서는 물속의 오염물이 고형물 표면에 축적됨으로써 발생한다. 이때 물에서 계면으로 제거되는 오염물을 흡착질(adsorbate), 오염물이 축적되는 고형물을 흡착제(adsorbent)라 한다. 흡착질이 흡착제에 의하여 제거되는 것은 물로부터 흡착질을 흡착제의 표면으로 끌어당기는 힘이 있기 때문이며, 열역학적으로는 흡착질이 물속에 존재하는 것보다 흡착제의 표면에서 더 작은 자유 에너지(free energy)를 갖기 때문이다. 즉 흡착질을 고체-액체간의 계면으로 끌어당기는 힘이나 메커니즘은 물리적 또는 화학적인 것이다. [ 흡착.. 2012. 7. 11.
흡착열이 발생하는 이유 흡착열이 발생하는 이유 --------------------------------------------------- 흡착열이 발생하는 이유는 수증기가 기체 상태로 있는 것 보다 고체 표면에 붙어있는 것이 더 안정하기 때문이다. 안정하다는 것은 불안정한 것보다 에너지 준위가 낮은 상태이므로, 기체가 표면에 흡착되면 그 차이만큼 에너지(열)를 방출한다. 흡착열의 예를 생활 속에서 찾아보면, 양모섬유로 만든 옷을 들 수 있다. 겨울철에 양모 옷을 입으면 다른 옷보다 더 따뜻하다는 것을 느낄 수 있는데, 그것은 양모가 수분을 흡수하면서 흡착열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현상이 다른 섬유보다 양모에서 더 두드러지는 까닭은 양모가 다른 섬유보다 친수성이 강하여 수분을 쉽게 흡수하고 더 많이 흡수할 수 있기 때문이.. 2012. 7. 1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