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화학/용액의 농도1353

70% 질산 시약(d 1.5, FW 63.0)으로 2.5 M HNO3 용액 150 mL 만들기 70% 질산 시약(d 1.5, FW 63.0)으로 2.5 M HNO3 용액 150 mL 만들기 --------------------------------------------------- [공식] 용액 제조에 필요한 질산 시약의 부피(mL) = 몰농도 × 부피(L) × 몰질량 / (순도/100) / 밀도 = 2.5 × 0.150 × 63.0 / (70/100) / 1.5 = 22.50 mL ( 공식 상세 설명 https://ywpop.tistory.com/13982 ) ( 용액 제조 방법 포함. ) [키워드] 70% 질산 몰농도 기준문서 2022. 6. 2.
0.5 M NaOH 용액 250 mL 만들기 0.5 M NaOH 용액 250 mL 만들기 단, 고체 NaOH 시약의 순도 = 99%, 몰질량 = 40.00 g/mol --------------------------------------------------- [공식] 용액 제조에 필요한 NaOH 시약의 질량(g) = 몰농도 × 부피(L) × 몰질량 / (순도/100) = 0.5 × 0.250 × 40.00 / (99/100) = 5.0505 g ( 공식 상세 설명 https://ywpop.tistory.com/17504 ) ( 용액 제조 방법 포함. ) [키워드] NaOH 몰농도 기준문서 2022. 6. 2.
36% 염산 시약(d 1.2, FW 36.5)으로 0.25 M HCl 용액 100 mL 만들기 36% 염산 시약(d 1.2, FW 36.5)으로 0.25 M HCl 용액 100 mL 만들기 --------------------------------------------------- [공식] 용액 제조에 필요한 36% 염산 시약의 부피(mL) = 몰농도 × 부피(L) × 몰질량 / (순도%/100) / 밀도 = 0.25 × 0.100 × 36.5 / (36/100) / 1.2 = 2.11 mL ( 공식 상세 설명 https://ywpop.tistory.com/8829 ) ( 용액 제조 방법 포함. ) [키워드] 36% 염산 몰농도 기준문서 2022. 6. 2.
NH3 30.0 g과 물 70.0 g 암모니아 용액의 몰농도와 몰랄농도 NH3 30.0 g과 물 70.0 g 암모니아 용액의 몰농도와 몰랄농도 단, 용액의 밀도 = 0.982 g/mL --------------------------------------------------- ▶ 참고: 몰농도와 몰랄농도 [ https://ywpop.tistory.com/2667 ] --------------------------------------------------- NH3의 몰질량 = (14) + 3(1) = 17 g/mol 이므로, 30.0 g / (17 g/mol) = 1.7647 mol NH3 ( 참고 https://ywpop.tistory.com/7738 ) 용액의 질량 = 100.0 g 이므로, 100.0 g / (0.982 g/mL) = 101.833 mL 용액 몰농도 =.. 2022. 6. 1.
35% HCl 시약(d 1.18)으로 0.2 N 염산 용액 500 mL 만들기 35% HCl 시약(d 1.18)으로 0.2 N 염산 용액 500 mL 만들기 0.2 N HCl 용액 500 mL 제조에 필요한 35% 염산 시약의 부피(mL) HCl 용액 35%, 비중 1.18을 가지고 0.2 N 500 mL를 제조하려고 한다. 필요한 염산의 부피를 구하는 식을 쓰시오. --------------------------------------------------- ▶ 참고: 35% 염산 시약(d 1.2, FW 36.46)으로 0.1 M HCl 용액 250 mL 만들기 [ https://ywpop.tistory.com/15626 ] --------------------------------------------------- 0.2 N HCl 용액 500 mL에 들어있는 HCl의 eq수를 .. 2022. 6. 1.
몰농도 사용할 때 문제점 몰농도 사용할 때 문제점몰농도의 문제점       몰농도 = 용질 mol수 / 용액 L수( 참고 https://ywpop.tistory.com/3222 )   ---> 분모항이 용액의 부피임에 주목.       ▶ 액체의 부피는 온도에 따라 변한다.       온도가 변하면, 용액의 부피가 변하고,용액의 부피가 변하면, 용액의 몰농도 또한 변한다.---> 용액의 농도를 몰농도로 표시할 경우에는용액을 제조할 당시의 실험실 온도도 함께 기록해 두자.         [참고] 일반적으로 어떤 실험을 할때는실험노트에 실험 당시의 실험실 온도를 기록하게 되어 있다. 2022. 5. 31.
온도에 의존하는 농도 단위 온도에 의존하는 농도 단위 부피에 기준을 둔 농도 단위는 온도에 의존한다. 다음 농도 단위 중 온도에 의존하는 단위는? 1) 몰농도 2) 몰랄농도 3) 노르말농도 4) 몰분율 5) 질량% 6) 부피% --------------------------------------------------- ▶ 참고: 농도 표시법 [ https://ywpop.tistory.com/2655 ] --------------------------------------------------- 답: 1) 몰농도 3) 노르말농도 6) 부피% 2022. 5. 30.
60% 질산(d 1.38, FW 63)으로 0.5 M 질산 용액 100 mL 만들기 60% 질산(d 1.38, FW 63)으로 0.5 M 질산 용액 100 mL 만들기 0.5 M 질산 용액 100 mL 제조에 필요한 60% 질산 시약의 부피(mL) --------------------------------------------------- [공식] 용액 제조에 필요한 시약의 부피(mL) = 몰농도 × 부피(L) × 몰질량 / (순도/100) / 밀도 = 0.5 × 0.100 × 63 / (60/100) / 1.38 = 3.8043 mL ( 공식 상세 설명 https://ywpop.tistory.com/13982 ) ( 용액 제조 방법 포함. ) [ 관련 예제 https://ywpop.tistory.com/20836 ] 0.1 M 질산 용액 250 mL 제조에 필요한 60% 질산 시약의 .. 2022. 5. 30.
몰농도 사용할 때 문제점 몰농도 사용할 때 문제점몰농도의 문제점       몰농도 = 용질 mol수 / 용액 L수( 참고 https://ywpop.tistory.com/3222 )   ---> 분모항이 용액의 부피임에 주목.       ▶ 액체의 부피는 온도에 따라 변한다.       온도가 변하면, 용액의 부피가 변하고,용액의 부피가 변하면, 용액의 몰농도 또한 변한다.---> 용액의 농도를 몰농도로 표시할 경우에는용액을 제조할 당시의 실험실 온도도 함께 기록해 두자.         [참고] 일반적으로 어떤 실험을 할때는실험노트에 실험 당시의 실험실 온도를 기록하게 되어 있다. 2022. 5. 30.
환자 혈청 1 mL에 증류수 4 mL 넣고 포도당 측정한 값이 100 mg 환자 혈청 1 mL에 증류수 4 mL 넣고 포도당 측정한 값이 100 mg 환자의 혈청 1 mL에 증류수 4 mL를 넣고 포도당을 측정한 값이 100 mg이었다. 환자의 혈청에서의 실제 포도당 값은? --------------------------------------------------- 용액에 증류수(용매)를 넣어 묽히더라도 용질의 양은 변함없으므로, 답: 100 mg [ 관련 글 https://ywpop.tistory.com/2859 ] 용액의 묽힘(희석, dilution) [키워드] 4 mL of distilled water was added to 1 mL of the patient’s serum and the glucose was measured to be 100 mg 2022. 5. 2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