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일반화학/[19장] 화학 열역학67

ΔG 계산. O3(g) + NO(g) → NO2(g) + O2(g) ★ ΔG 계산. O3(g) + NO(g) → NO2(g) + O2(g) 대기권에서 오존은 일산화 질소와 반응한다. O3(g) + NO(g) → NO2(g) + O2(g) 25℃에서 다음 반응에 대한 표준 반응 자유 에너지 변화를 계산하시오. ΔH° = –199 kJ/mol ΔS° = –4.1 J/K•mol --------------------------------------------------- > ΔH는 kJ 단위이고, ΔS는 J 단위임에 주의할 것. ---> 일반적으로 ΔH의 kJ 단위를 J 단위로 환산해서 계산한다. ΔG° = ΔH° – TΔS° ( 참고 https://ywpop.tistory.com/7438 ) = (–199000 J/mol) – (273.15 + 25 K) (–4.1 J/K•mol.. 2021. 11. 4.
ΔS°_rxn 계산. SO2(g) + NO2(g) → SO3(g) + NO(g) ΔS°_rxn 계산. SO2(g) + NO2(g) → SO3(g) + NO(g) 표준 반응 엔트로피변화 계산 SO2(g) + NO2(g) → SO3(g) + NO(g) --------------------------------------------------- ΔS°_rxn = [생성물들의 S°의 합] – [반응물들의 S°의 합] ( 참고 https://ywpop.tistory.com/7404 ) = [(256.2) + (210.6)] – [(248.5) + (240.5)] = –22.2 J/K•mol 2021. 11. 4.
엔트로피변화(ΔS) 증가 순서에 따라 반응 배열 엔트로피변화(ΔS) 증가 순서에 따라 반응 배열 엔트로피변화(ΔS)가 증가하는 순서에 따라 이들 반응을 배열하시오. 1) H2O(g) → H2O(l) 2) 2NO(g) → N2(g) + O2(g) 3) MgCO3(s) → MgO(s) + CO2(g) --------------------------------------------------- ▶ 참고: 상변화에 따른 엔트로피 [ https://ywpop.tistory.com/10703 ] --------------------------------------------------- 1) H2O(g) → H2O(l) > 기체 몰수 감소. ---> ΔS 기체 몰수 변화 없음. ---> ΔS = 0 3) .. 2021. 11. 4.
자발적인 현상. 소듐과 산소의 반응 자발적인 현상. 소듐과 산소의 반응 다음 중 자발적인 현상은? 1) 두 가지의 기체 혼합물이 각각의 기체로 분리되는 것 2) 소듐과 산소의 반응 3) 포화 용액에서 용질이 석출되는 것 4) 물이 거슬러 올라가는 것 --------------------------------------------------- 답: 2) 소듐과 산소의 반응 4Na + O2 → 2Na2O 2021. 11. 4.
어떤 온도에서 다음 발열 반응의 평형상수 Kc = 9.6 어떤 온도에서 다음 발열 반응의 평형상수 Kc = 9.6 어떤 온도에서 다음 발열 반응의 평형상수 Kc = 9.6 일 때, 옳은 것은? N2(g) + 3H2(g) → 2NH3(g) --------------------------------------------------- 발열 반응 ---> ΔH ΔS 1 이므로, 자발적 반응 ---> ΔG < 0 ( 참고 https://ywpop.tistory.com/10336 ) [키워드] 평형상수와 자발적 기준문서, 평형상수와 자유에너지 기준문서, 평형상수와 자유 기준문서, 자유.. 2021. 8. 17.
엔트로피 변화량. 0℃ 1기압 H2O 표준 몰 용융엔탈피는 6 kJ/mol 엔트로피 변화량. 0℃ 1기압 H2O 표준 몰 용융엔탈피는 6 kJ/mol 0℃, 1기압에서 H2O의 표준 몰 용융엔탈피는 6 kJ/mol이다. 이 과정에 대한 엔트로피 변화량을 계산하면? H2O(s) → H2O(l) --------------------------------------------------- ΔS = q_rev / T = ΔH / T ( 참고 https://ywpop.tistory.com/10308 ) = 6000 J / 273 K = 21.98 J/K 답: +22 J/K ( 참고: 고체에서 액체로 상변화 시, 엔트로피는 증가한다. ) [키워드] 상변화시 엔트로피 기준문서 2021. 8. 8.
methane bp –161.6℃ mol vapor heat 2.04 kcal vapor entropy change methane bp –161.6℃ mol vapor heat 2.04 kcal vapor entropy change 메탄의 비점은 –161.6℃ mole 증발열은 2.04 kcal 증발에 수반되는 엔트로피 변화를 구하여라. --------------------------------------------------- ΔS = q_rev / T = ΔH / T ( 참고 https://ywpop.tistory.com/10308 ) = (2.04 kcal/mol) / (273.15 + (–161.6) K) = 0.0183 kcal/K•mol [키워드] 메탄의 증발 엔트로피 기준문서, 메탄의 증발 엔트로피 변화 기준문서, 메탄의 증발열 기준문서 2021. 6. 14.
어떤 특정 반응 ΔH° = +75.0 kJ ΔS° = +231 J/K 어떤 특정 반응 ΔH° = +75.0 kJ ΔS° = +231 J/K 어떤 특정한 반응의 ΔH° = +75.0 kJ; ΔS° = +231 J/K 이다. 이 반응은 몇 도에서 평형인가? 반응이 자발적으로 일어나려면 온도는 증가해야 하나 감소해야 하나? A certain reaction has ΔH° = +75.0 kJ; ΔS° = +231 J/K. At what temperature is the reaction at equilibrium? Should the temperature be increased or decreased to make the reaction spontaneous? --------------------------------------------------- ΔG° = ΔH° – TΔS°.. 2021. 6. 10.
–12℃ ice 27.9 g 115℃ steam entropy change –12℃ ice 27.9 g 115℃ steam entropy change What change in entropy occurs when a 27.9 g ice cube at –12℃ is transformed into steam at 115℃? --------------------------------------------------- > q = C m Δt > q = C m ... 상변화 시 ( 참고: 열용량과 비열 https://ywpop.tistory.com/2897 ) > ΔS = C m ln(T_f / T_i) = C m (ln(T_f) – ln(T_i)) > ΔS = C m / T ... 상변화 시 ( 참고: 상변화 시 ΔS https://ywpop.tistory.com/10308 ) ▶ 얼.. 2021. 6. 8.
제19장 화학 열역학. 목차 ★ 제19장 화학 열역학. 목차 Chemical Thermodynamics --------------------------------------------------- ▶ 참고: 일반화학 목차 [ https://ywpop.tistory.com/12971 ] --------------------------------------------------- 19.1 자발적 과정. Spontaneous Processes [ https://ywpop.tistory.com/2750 ] 자발적 과정과 비자발적 과정 [ https://ywpop.tistory.com/2751 ] 자발적 과정과 열역학 제1법칙 [ https://ywpop.tistory.com/16297 ] 가역 과정과 비가역 과정 19.2 엔트로피와 열역학 제.. 2020. 12. 23.
반응형